$\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과 항산화 활성
Resistance to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Mustard Leaf Kimchi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6 no.4, 2010년, pp.375 - 382  

임성미 (동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갓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5종(Lactobacillus acidophilus GK20, Lactobacillus brevis GK55, Lactobacillus paracasei GK74, Lactobacillus plantarum GK81,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GK104)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Hydrogen peroxide (0.5 mM)와 반응 5시간후 L. acidophilus GK20,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 plantarum GK81들은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superoxide anions에 의한 저해율은 L. acidophilus GK20와 L. paracasei GK74가 가장 낮았고, hydroxyl radical과의 반응에서는 L. paracasei GK74와 L. plantarum GK81이 가장 안정하였다. 한편, L. plantarum GK81는 실험 균주 중 가장 높은 DPPH 소거능($70.8{\pm}10.1%$)을 나타내었는데, 세포(IC)보다는 세포추출물(ICFE)의 활성이 더 높았다. 또한 L. plantarum GK81의 ICFE는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은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이 균주의 IC와 ICFE에 의한 환원력은 BHA와 vitamin C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L.paracasei GK74 IC의 환원력도 vitamin C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mesenteroides GK104 IC의 $Fe^{2+}$-chelating 활성은 30% 이상이었고, L. plantarum GK81의 ICFE는 45%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험 균주 중 L. plantarum GK81은 다른 균들에 비해 ROS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고, 항산화 활성도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resent study, five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GK20, Lactobacillus brevis GK55, Lactobacillus paracasei GK74, Lactobacillus plantarum GK81,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GK104 isolated from the mustard leaf kimchi were investigated for resistance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robiotic bacteria의 선정 기준의 하나인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 5종을 대상으로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anions 및 hydroxyl radical 등의 ROS에 대한 저항력과 DPPH radical,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환원력 및 Fe2+ chelating 활성 등을 측정하여 산화 억제 능력을 실험한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기능이 있는, 항산화 물질은?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기능이 있는 항산화 물질로는 vitamin C, glutathione, uric acid와 같은 수용성 항산화제, tocopherol, carotenoids, flavonoid/flavonoids 등의 지용성 항산화제, tertbutylhydroxytoluene (BHT), tert-butylhydroxyanisol (BHA) 등의 합성 항산화제,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등의 항산화효소가 있으며(7) 이들은 활성산소 중간물질을 제거하여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의 자연사(apoptosis)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다 (3, 35). 합성 항산화제는 산화 억제 효과는 뛰어나지만, 독성에 의한 여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최근 천연물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활성산소종의 종류는?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살아있는 생명체에 유해한 생화학 반응을 유발하고 죽상동맥경화증을 비롯한 각종 혈관계 질환, 돌연변이, 암, 신경퇴행성질환, 면역기능 장애 및 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7). 생체의 에너지 생산을 위한 호흡 대사 과정 중 일정량의 산소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라는 유해 물질을 생성하게 되는데 그 종류로는 hydroxyl radical (OH·), superoxide anion radical(O2¯·), peroxyl radical (RO2·)과 같이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를 가지는 free radical과 과산화수소(H2O2),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및 오존(O3) 등이 있다(30). Free radical에 의해 생성된 단백질 산화생성물은 세포 내 촉매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효소의 기능을 상실케 하며(26), 또한 다가불포화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과산화를 유발하여 2차 산물인 malondial-dehyde나 4-hydroxynonenal 등의 지질 과산화물을 축적하여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와 단백질합성 능력을 감소시킨다(12).
본 연구에서 갓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5종 중, 다른 균들에 비해 ROS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고 항산화 활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plantarum GK81의 ICFE는 45%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험 균주 중 L. plantarum GK81은 다른 균들에 비해 ROS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고, 항산화 활성도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kaike, T., K. Sato, S. Ijiri, Y. Miyamoto, M. Kondo, M. Ando, and H. Maeda. 1992. Bactericidal activity of alkyl peroxyl radicals generated by heme-iron-catalyzed decomposition of organic peroxides. Arch. Biochem. Biophys. 294, 55-63. 

  2. Aoshima, H., H. Tsunoue, H. Koda, and Y. Kiso. 2004. Aging of whisky increase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 Food Chem. 52, 5240-5244. 

  3. Bai, J., A.M. Rodriguez, J.A. Melendez, and A.I. Cederbaum. 1999. Over-expression of catalase in cytosolic or mitochondrial compartment protests Hep G2 cells against oxidative injury. J. Bio. Chem. 274, 26217-26224. 

  4. Barreto, J.C., G.S. Smith, N.H.P. Strobel, P.A. McQuillin, and T.A. Miller. 1995. Terephthalic acid: a dosimeter for the detection of hydroxyl radicals in vitro. Life Sci. 56, 89-96. 

  5. Bauer, A.W., W.M.M. Kirby, J.C. Sherris, and M. Turck. 1966.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6. Brand-Williams, W., M.E. Cuvelier, and G. Barnes. 198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 Wiss. Technol. 28, 25-30. 

  7. Castro, L. and B.A. Freeman. 2001. Reactive oxygen specie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Nutrition 17, 161-165. 

  8. Chang, J.H., K.M. Yoo, and I.K. Hwang. 2006. Screening of natural herb methanol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in V79-4 cells. Kor. J. Food Cookery Sci. 22, 428-437. 

  9. Cho, Y.H., J.Y. Imm, H.Y. Kim, S.G. Hong, S.J. Hwang, D.J. Park, and S.J. Oh. 2009.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isoflavone transforming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 for potential probiotic use. Kor. J. Food Sci. Ani. Resour. 29, 640-646. 

  10. Choi, S.S., Y. Kim, K.S. Han, S. You, S. Oh, and S.H. Kim. 2006. Effects of Lactobacillus strains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vitro. Lett. Appl. Microbiol. 42, 452-458. 

  11. Fu, R.Y., R.S. Bongers, I.I. Swam, J. Chen, D. Molenaar, M. Kleerebezem, J. Hugenholtz, and Y. Li. 2006. Introducing glutathione biosynthetic capability into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NZ9000 improves the oxidative-stress resistance of the host. Metab. Eng. 8, 662-671. 

  12. Gardner, H.W. 1975. Decomposition of linoleic acid hydroperoxides. J. Agric. Food Chem. 23, 129-136. 

  13. Jain, S., H. Yadav, and P.R. Sinha. 2009. Antioxidant and cholesterol assimilation activities of selected lactobacilli and lactococci cultures. J. Dairy Res. 76, 385-391. 

  14. Kaizu, H., M. Sasaki, H. Nakajima, and Y. Suzuki. 1993. Effect of antioxidative lactic acid bacteria on rats fed a diet deficient in vitamin E. J. Dairy Sci. 76, 2493-2499. 

  15. Kim, E.Y., I.H. Baik, J.H. Kim, S.R. Kim, and M.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6. Kim, H.S. and J.S. Ham.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Sci. Ani. Resour. 23, 186-192. 

  17. Kullisaar, T., M. Zilmer, M. Mikelsaar, T. Vihalemm, H. Annuk, C. Kairane, and A. Kilk. 2002. Two antioxidative lactobacilli strains as promising probiotics. Int. J. Food Microbiol. 72, 215-224. 

  18. Lee, B.J., J.S. Kim, Y.M. Kang, J.H. Lim, Y.M. Kim, M.S. Lee, M.H. Jeong, C.B. Ahn, and J.Y. Je.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sea tangle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BJ20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Chem. 122, 271-276. 

  19. Lee, J., K.T. Hwang, M.S. Heo, J.H. Lee, and K.Y. Park. 2005. Resistance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099 from Kimchi to oxidative stress. J. Med. Food 8, 299-304. 

  20. Lee, S.E., N.S. Seong, C.G. Park, and J.S. Seong. 2002.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plant materials. Kor. J. Med. Crop. Sci. 10, 171-176. 

  21. Lin, M.Y. and C.L. Yen. 1999.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J. Agric. Food Chem. 47, 1460-1466. 

  22. Lin, M.Y. and F.J. Chang. 2000. Antioxidative effect of intestinal bacteria Bifidobacterium longum ATCC 15708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Digest. Dis. Sci. 45, 1617-1622. 

  23. Nishino, T., H.S. Sone, H.K. Hayakawa, and F. Ishikawa. 2000. Transit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ilk products prepared by mailliard reaction and Lactobacillus casei strain Shirota fermentation through the hamster intestine. J. Dairy Sci. 83, 915-922. 

  24. Oyaizu, M. 198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row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5. Park, S.K., S.S. Chun, Y.S. Cho, J.S. Moon, J.S. Choi, and S.W. Lee. 1995. Changes in mineral, pigment, texture, sensory score and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Gat(Leaf Mustard)-Kimchi.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2, 131-138. 

  26. Pelicano, H., D. Carney, and P. Huang. 2004. ROS stress in cancer cells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Drug Resist. Update 7, 97-110. 

  27. Rogosa, M. 1986.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In R.E. Buchanan and N.E. Gibbons (ed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USA. 

  28. Saide, J.A.O. and S.E. Gilliland.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Lactobacilli measured b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J. Dairy Sci. 88, 1352-1357. 

  29. Sallmyr, A., J. Fan, and F.V. Rassool. 2008. Genomic instability in myeloid malignancies: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NA double strand breaks (DSBs) and error-prone repair. Cancer Lett. 270, 1-9. 

  30. Scandalios, J.G. 2005. Oxidative stress: molecular perception and transduction of signals triggering antioxidant gene defenses. Braz. J. Med. Biol. Res. 38, 995-1014. 

  31. Shim, S.M. and J.H. Lee. 2008. PCR-Based det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orean fermented vegetables with recA gene targeted species-specific primer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96-100. 

  32. Shimamura, S., F. Abe, N. Ishibashi, H. Miyakawa, T. Yaeshima, T. araya, and M. Tomita. 1992. Relationship between oxygen sensitivity and oxygen metabolism of Bifidobacterium species. J. Dairy Sci. 75, 3296-3306. 

  33. Su, L., J.J. Yin, D. Charles, K. Zhou, J. Moore, and L. Yu. 2007. Total phenolic contents, chelating capacities, and radicalscavenging properties of black peppercorn, nutmeg, rosehip, cinnamon and oregano leaf. Food Chem. 100, 990-997. 

  34. Tampo, Y., M. Tsukamoto, and M. Yonaha. 1999. Superoxide production from paraquat evoke by exogenous NADPH in pulmonary endothelial cells. Free Radical Bio. Med. 27, 588-595. 

  35. Tome, M.E., A.F. Baker, G. Powis, C.M. Payne, and M.M. Briehl. 2001. Catalase-overexpressing thymocytes are resistant to glucocorticoid-induced apoptosis and exhibit increased net tumor growth. Cancer Res. 61, 2766-2773. 

  36. Virtanen, T., A. Pihlanto, S. Akkanen, and H. Korhonen. 2007. Development of antioxidant activity in milk whey during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J. Appl. Microbiol. 102, 106-115. 

  37. Wei Han, M.D., A. Mercenier, A.A. Belgnaoui, S. Pavan, F. Lamine, I.I. Swam, M. Kleerebezem, C.S. Cartier, M. Hisbergues, L. Bueno, V. Theodorou, and J. Fioramonti. 2006. Improvement of an experimental colitis in rats by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superoxide dismutase. Inflamm. Bowel Dis. 12, 1044-1052. 

  38. Yu, L., J. Perret, D. Davy, J. Wilson, and C.L. Melby.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cereal products. J. Food Sci. 67, 2600-2603. 

  39. Zitzelsberger, W., F. Gotz, and K.H. Schleifer. 1984. Distribution of superoxide dismutases oxides and NADH peroxides and various streptococci. FEMS Microbiol. Lett. 21, 243-2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