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보건기획과 지역보건체계 강화: MAPP 모형의 사례
Community Health Program Planning and Local Public Health System : The MAPP Model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3, 2010년, pp.59 - 66  

곽민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 public health planning model, Mobilizing for Action through Planning and Partnership(MAPP), and to discuss its application in Korea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Local Public Health System (LPHS) component of MAPP. Methods: Literature content review was per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APP과 같은 지역사회 참여형의 보건기획과 총체적 체계 사고에 의한 협력 개발 과정은 지역사회 보건 문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인식, 진단, 지역사회 현실에 적합한 목표와 전략 설정, 운영 전반에 기여하고자 제시되었다. 그리고 MAPP의 지역보건 체계는 자신들의 지역사회 보건문제를 인식하고, 가용 자원이 제한적인 현실에서 지역사회의 자원을 협력적으로 활용하여 보건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지역사회 주인의식, 향후 지역사회 보건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상호 협력에 대한 인식과 논의를 통한 지역보건 체계의 적용은 한시적이고 산발적인 지역사회 보건사업을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모형의 수용 및 활용도 증가에 비해 모형 자체에 대한 논의는 한정적이었기에, 본 논문은 MAPP의 주요 요소 및 단계를 설명하고, 국내에서 MAPP의 일부 요소들을 도입한 예를 살펴보면서 국내 적용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논의에 있어 특히 MAPP의 구성과 진행상의 핵심이자 MAPP 모형의 두드러진 특성 중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보건체계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APP 핸드북과 가이드라인, MAPP 개발 및 적용에 관련된 논문, 5기 지역 보건의료계획 안내서, 보건소 평가체계개발에 대한 보고서 등 관련 문헌들에 대한 내용 고찰을 실시하였다.
  • 모형의 수용 및 활용도 증가에 비해 모형 자체에 대한 논의는 한정적이었기에, 본 논문은 MAPP의 주요 요소 및 단계를 설명하고, 국내에서 MAPP의 일부 요소들을 도입한 예를 살펴보면서 국내 적용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논의에 있어 특히 MAPP의 구성과 진행상의 핵심이자 MAPP 모형의 두드러진 특성 중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보건체계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보건체계란? MAPP은 지역사회를 진단하고, 건강문제의 우선순위와 목표, 전략들을 결정하며 순환적 수행(계획-실행-평가)을 하는 전 과정에서 지역보건체계의 중심 역할에 주목하면서 지역보건체계의 개발과 강화를 MAPP 전체 성공 여부에 가장 핵심점인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 ‘지역보건체계’란 지역사회 내에서 공중보건서비스 전달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든 개체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말하며, 공공, 민간, 자발적 조직, 개인, 비공식 단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NACCHO, 2004). 지역보건체계 진단은 외부 전문가나 기획 모형에 따라 지역사회 보건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안을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경험, 역량, 변화의 힘과 같은 내재된 특성들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자체적인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지역보건체계에 포함되는 것은? MAPP은 지역사회를 진단하고, 건강문제의 우선순위와 목표, 전략들을 결정하며 순환적 수행(계획-실행-평가)을 하는 전 과정에서 지역보건체계의 중심 역할에 주목하면서 지역보건체계의 개발과 강화를 MAPP 전체 성공 여부에 가장 핵심점인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 ‘지역보건체계’란 지역사회 내에서 공중보건서비스 전달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든 개체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말하며, 공공, 민간, 자발적 조직, 개인, 비공식 단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NACCHO, 2004). 지역보건체계 진단은 외부 전문가나 기획 모형에 따라 지역사회 보건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안을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경험, 역량, 변화의 힘과 같은 내재된 특성들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자체적인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미국의 MAPP 시범사업지인 샌안토니오와 시카고의 사례를 설명하면? 현재까지 MAPP 모형을 활용한 사례는 미국의 MAPP 시범사업지인 샌안토니오와 시카고의 사례를 들 수 있다.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에서는 지역사회의 결정에 의해 MAPP 을 활용하기로 선택하여, 지역보건에 대한 지역사회와 보건당국의 인식과 사업 수행상 차이를 줄여갈 수 있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지역사회 건강을 종합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초기에는 지역사회의 MAPP에 대한 경험이 충분하지 못해 보건당국이 주도하였으나 이후 전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지역사회보건을 위한 조직화 과정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선정된 전략적 이슈를 지역사회 건강 증진 계획의 기초로 삼았다. 샌안토니오의 MAPP 운영과정은 지역보건체계의 파트너들이 함께 모여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공중보건 우선순위를 함께 도출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다. 또한 MAPP을 통해 공중보건과 관련된 새로운 사업과 단체들을 발굴하고 이들을 향후 공중보건의 잠재적인 참여자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Shields 등, 2005).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서는 지역사회 요구 및 자원에 대한 진단,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MAPP을 채택하였다. 시카고 보건당국은 지역사회 역량 증가, 새로운 파트너십 개발, 정책 결정에 영향(예: 의사결정자에 대한 접근 강화, 지역보건체계 역할에 대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5개 지역사회 협력체들을 지원하였다. MAPP을 통해 협력체에 참여하는 서로 상이한 이해당사자들을 하나로 아울러 세부 전략들을 도출하고 결과물을 산출하며, 이들을 공중보건의 새로운 파트너로 협업함으로써 지역사회에 대한 더 많은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고 협력의 수준을 향상하였다(Salem,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나백주.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성과와 문제점. 2009 대한예방의학 추계학술대회자료. 2009 

  2. 배상수. 건강증진의 세계적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2009 보건정책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2009 

  3. 보건복지부. 2006년도 건강증진사업체계 수립 지침. 2006 

  4. 보건복지부. 제5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안내: 2011-2014년 계획. 2010 

  5. 서영준, 정애숙, 박태선, 김주경, 박남수, 이희원.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 수행과정의 질 평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 20(1):1-17 

  6.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지역사회 건강증진 역량강화를 위한 주민 및 조직네트워크 조사 연구. 2010 

  7. 유승현. 지역사회 건강증진 협력 개발 연구의 지향 과제.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9;26(4): 83-90 

  8. 윤태호. 부산광역시 건강증진사업 지지기반 구축 및 장기 발전 계획 개발. 부산대학교. 2005 

  9. 이선자. 건강증진과 타 분야와의 통합 접근모형 개발 - 중소도시형 건강도시 모형개발. 서울대학교. 2004 

  10. 이주열, 김창보.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방안. 건강증진학회지 2000;2(1):3-12 

  11. 장명화, 조원섭, 윤난희, 곽민선, 유승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협력유형 분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26(3): 125-135 

  12. 정민수, 길진표, 조병희. 지역사회 기반 조직을 이용한 지역사회 역량의 측정과 건강증진 기획: 서울시 S구를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9;26(3): 35-48 

  1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소 업무수행성과 평가체계 개발. 2007 

  14. Hodges BC, Videto DM. Assessment and planning in health programs. Sudbary,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05 

  15. Leischow SJ et al. Systems thinking to improve the public's health. Am J Prev Med 2008;35(2S):S196-S203 

  16. Lenihan P. MAPP and the Evolution of planning in public health practice.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5;11(5):381-386 

  17. Linnan LA et al. Planning and the professional preparation of health educators: Implications for teaching, research, and practice. Health Promot Pract. 2005 Jul;6(3):308-319 

  18. Mintzberg H. The Rise and Fall of Strategic Planning. New York; Free Press. 1994 

  19.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y and City Health Officials. Integrating Performance Improvement Process: MAPP, National Public Health Performance Standards, and Accreditation. 2009. http://www.naccho.org/topics/infrastructure/mapp/framework/cle aringhouse/upload/MAPP-NPHPSP-and-Accreditation-Preparatio n-Guidance.pdf 

  20.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y and City Health Officials. MAPP Basics. http://www.naccho.org/topics/infrastructure/mapp/framework/ma ppbasics.cfm 

  21.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y and City Health Officials. Mobilizing for Action through Planning and Partnerships-achieving healthier communities through MAPP : A User's handbook.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y and City Health Officials; Washington, DC, 2004 

  22. Pullen NC, Upshaw VM, Lesneski CD, Terrell A. Lessons from the MAPP Demonstration Sites.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5;11(5):453-459 

  23. Salem E. The promise of MAPP: a transformational tool for public health practice.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5;11(5): 379-380 

  24. Shields KM, Pruski CE. MAPP in action in San Antonio, Texas.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5;11(5):407-4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