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ODIS LAI 데이터를 이용한 툰드라-타이가 경계의 식생 공간분포분석
Vegetation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undra-Taiga Boundary Using MODIS LAI Data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18 no.5, 2010년, pp.27 - 36  

이민지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한경수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식생의 분포 변화를 관측하였다.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인간 활동 혹은 기후 변화에 따른 신호로 나타나는 식생패턴의 이동을 관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극지의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조금의 변화에 대해서도 두드러진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으므로 다른 곳에 비해 기후변화에 대한 반응과 확인이 명확하다. 연구 자료로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총 10년간 매년 8월을 Terra위성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로부터 취득한 LAI(Leaf Area Index) 8-Day 자료를 사용하였고, 보조 자료로서 기후지도와 GLC 2000(Global Land Cover 2000)토지피복 지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엽면적 지수의 10년치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 분석과 식생의 밀도가 저조한 지역을 중심으로 위도대 별, 토지피복 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에 대하여 엽면적 지수의 기준값을 바탕으로 한 분석에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LAI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툰드라 기후에서 식생의 감소가 일어난 면적($22,372km^2$) 보다 식생의 성장을 보인 면적은 $730,325km^2$ 로서 식생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도대 별 면적 분석을 통해 위도 $62^{\circ}$ N의 주위와 위도 $64^{\circ}$ N~$66^{\circ}$ N을 중심으로 면적 증가가 나타났으며,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식생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전반적인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식생 감소가 일어나는 면적 변화는 다소 적은 것에 비해 식생의 성장과 발달이 일어나는 곳의 면적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bserved distribution of vegetation to confirm change of tundra-taiga boundary. Tundra-taiga boundary is used to observe the transfer of vegetation pattern because it is very sensitive to human activity, natural disturbances and climate change. The circumpolar tundra-taiga boundary coul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한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LAI는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며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의 식생 정보를 얻기에 적절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총 10년간 알래스카 지역을 연구 영역으로 선정하여 식생 변화의 파악이 용이한 8월을 지정해 툰드라와 타이가의 경계영역 변화를 식생을 통해 관측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년도에 따른 식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LAI 변화량을 산출하였다.
  • Sinusoidal projection에 의해 세계지도를 그릴 경우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2:1의 방추형으로 나타나므로 지구 중심부는 비교적 정확한 반면 지도 가장자리 지역은 심한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지도 가장자리에 위치한 본 연구 영역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툰드라-타이가 경계탐지는 어떤 방법이 대부분인가요? 이처럼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이 중요하고 역동적이지만 사실상 경계영역의 위치와 정량적인 토지피복 특징에 대해서는 여전히 무지한 상태이다[9, 10]. 툰드라-타이가 경계탐지는 원격탐사 데이터 타입에 따라 탐지하는 방법[1, 5, 7]이 대부분인 반면 식생 분포 변화에 따라 탐지하는 방법은 드물게 나타난다. 식생관계에 따른 연구들은 보통 장기간 관측에 의한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대부분인[2] 반면 LAI(Leaf Area Index)를 이용한 툰드라-타이가 경계변화 탐지에 대한 정량적 제시는 부족한 실정이다.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무엇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나요?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북반구 주변으로 13,400㎞ 이상 뻗어있고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9, 10]. 이에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변화에 따른 신호로 나타나는 식생 패턴의 이동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러 연구에서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 변화의 경향을 예측하고 관측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지적한다[4, 5].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만약 식생의 성장과 번식이 온도에 의해 조절된다면, 툰드라-타이가의 수목한계선(tree line)의 급속한 진전을 예상할 수 있다[3].
툰드라-타이가 지역의 기후를 파악하기 위한 보조 자료로 무엇을 사용하나요? 0˚ E 이며 북아메리카 북서쪽 끝에 존재하는 알래스카의 툰드라-타이가 지역이 주요 연구영역이다(그림 1). 연구영역의 기후를 파악하기 위한 보조 자료로 사용한 쾨펜의 기후지도에서 툰드라 기후는 한대 기후에 속하며 강우량 자체는 많지 않지만 증발량이 매우 적어 습지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연구영역에 해당하는 기후 중에서 Polar, Moderate polar를 툰드라 기후로 간주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 A. Stow, A. Hope, D. McGuire, D. Verbyla, J. Gamon, F. Huemmrich, S. Houston, C. Racine, M. Sturm, K. Tape, L. Hinzman, K. Yoshikawa, C. Tweedie, B. Noyle, C. Silapaswan, D. Douglas, B. Griffith, G. Jia, H. Epstein, D. Walker, S. Daeschner, A. Patersen, L. Zhou and R. Myneni, 2004, "Remote sensing of vegetation and land-cover change in Arctic tundra ecosystem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9, no. 3, pp. 281-308. 

  2. I. Olthof and R. H. Fraser, 2006, "Mapping northern land cover fractions using Landsat ET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07, pp. 496-509. 

  3. J. Grace, F. Berninger and L. Nagy, 2002, "Impacts of climates change on the tree line," Annals of Botany, vol. 90, no. 4, pp. 537-544. 

  4. J. Heiskanen, 2008, "Evaluation of global land cover data sets over the tundra-taiga transition zone in northernmost Fin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9, no.13, pp. 3727-3751. 

  5. K. J. Ranson, G. Sun, V. I. Kharuk and K. Kovacs, 2004, "Assessing tundra-taiga boundary with multi-sensor satellite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93, pp. 283-295. 

  6. G. B. Bonan, 1996, "A Land Surface Model(LSM version 1.0) for ecological, hydrological, and atmospheric studies: Technical Description and user's guide," NCAR/TN--417-STR pp. 88-102. 

  7. G. Rees, I. Brown, K. Mikkola, T. Virtanen and B. Werkman, 2002, "How can the dynamics of the tundra-taiga boundary be remotely monitored?," AMBIO Special Report, vol. 12, pp. 56-62. 

  8. R. Harding, P. Kuhry, T. R. Christensen, M. T. Sykes and R. Dankers, 2001, "Climate feedbacks at the taiga/tundra interface," AMBIO Special Report, vol. 12, pp. 47-55. 

  9. T. V. Callaghan, R. M. M. Crawford, M. Eronen, A. Hofgaard, S. Payette, W. G. Rees, O. Skre, J. Sveinbjornsson, T. K. Vlassova and B. R. Werkman, 2002a, "The dynamics of the tundra- taiga boundary: An overview and suggested coordinated and integrated approach to research," AMBIO Special Report, vol. 12, pp. 3-5. 

  10. T. V. Callaghan, B. R. Werkman and R. M. M. Crawford, 2002b, "The tundra-taiga interface and its dynamics: Concepts and applications," AMBIO Special Report, vol. 12, pp. 6-14. 

  11. V. I. Kharuk, S. G. Shiyatov, M. M. Naurzbaev and E. V. Fedotova, 1998, "Forest-tundra ecotone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Severin Woxhott, Proceeding of IBFRA-98, pp. 19-23. 

  12. 국립산림과학원, 2007, "극다중분광 영상자료의 산 림정보해석 및 활용기법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pp. 53-62. 

  13. 박정술, 김경탁,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 평가. 가뭄지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제 17권, 제1호, 2009, pp. 117-129. 

  14. 최현아, 이우균, 곽한빈, 최성호, 변재균, 유성진, Guishan Cui,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지, 제11권 제3호, 2009, pp. 63-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