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단풀 추출물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1 no.1, 2010년, pp.13 - 18  

최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Euphorbia humifusa ethanol-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250, 500, 1,000 or 2,000 mg/L on food poisoning microorganism were determined against Salmonella 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1), 그리고 terpenoids(정보성ㆍ김하균 1985)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약리현상으로서는 발병성 구균과 나선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포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등에 대해 살균작용을 나타내며, 사람의 뇌 암세포인 U-373 MG astrocytoma 및 SK-N-MC neuroblastoma 세포주에 대해 농도의존적인 세포독성이 보고되었으나(차배천 등 1996; 허성일 등 2008), 비단풀의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의 염려가 없고 오래 전부터 널리 한약 재료로 사용 되어온 비단풀 추출물을 사용하여 국내ㆍ외 가공식품과 즉석식품에서 문제를 야기시키는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색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비단풀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에 관련이 있는 세균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비단풀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균들의 배양액에 비단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250, 500, 1,000, 2,000mg/L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250 mg/L까지는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00 mg/L 이상에서는 유의적인(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극속이란? 대극속(Euphorbia L.)은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로서, 전 세계에 2000여종이 분포하고 있는 피자식물에서 가장 큰 속이며(Webster 1994), 우리나라에는 약 20종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규영 등 2003). 대극속(Euphorbia L.
합성보존료의 문제점은? 식품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합성보존료는 지속적으로 체내에 축적되면 만성독성, 발암성, 돌연변이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Brane 1975). 근래에는 소비자의 건강 지향적 요구가 증대되어 인공합성보존제의 기피현상이 사회전반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또 안정성이 문제시되는 인공합성보존제 대신에 천연소재로부터 얻은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식품저장 중 일어나는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신선함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수반되고 있다.
대극속에 속하는 비단풀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에 속하는 비단풀(Euphorbia humifusa)은 1년생 초본으로 전국의 전야나 노변에 야생하며 백색의 유액을 함유하고 있고, 줄기는 보통 뿌리의 상단에서 2가지로 갈러져 지면을 따라 옆으로 뻗으며 붉은 빛을 나타내는 식물로서 잎은 길이 5∼10밀리미터, 넓이 4∼6밀리미터의 긴 타원형이고 황달, 설사, 적리, 외상출혈 , 모유부족 등의 한방치료에서도 이용되고 있다(중약대사전 1999; Lee 2003). 주요성분은 플라보노이드(Fang et al. 1993), 탄닌 및 페놀성물질(Agata et al. 1991), 그리고 terpenoids(정보성ㆍ김하균 1985)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약리현상으로서는 발병성 구균과 나선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포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등에 대해 살균작용을 나타내며, 사람의 뇌 암세포인 U-373 MG astrocytoma 및 SK-N-MC neuroblastoma 세포주에 대해 농도의존적인 세포독성이 보고되었으나(차배천 등 1996; 허성일 등 2008), 비단풀의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의 염려가 없고 오래 전부터 널리 한약 재료로 사용 되어온 비단풀 추출물을 사용하여 국내ㆍ외 가공식품과 즉석식품에서 문제를 야기시키는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색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성구(1995) 갓(Brassica juncea)의 항균물질의 분리및 항균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4(6), 697-698. 

  2. 공영준.박부길.오덕환(2001) 식중독균에 대한 신갈나무 잎 추출물과 유기산의 항균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3(2), 178-183. 

  3. 김명희.김소영.신원선.이준수(2003) 마늘즙의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35(4), 752-755. 

  4. 김선희.박찬성(2001) 담자균 추출물의 항균작용 및항산화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8(1), 118-124. 

  5. 김용두.강성구.최옥자.이홍철.장미정.신수철(2000) 초피(Zanthoxylum piperitumm A.P. DC.)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6),1116-1122. 

  6. 김혜영.정성미(2005) Cook-Chill System을 위한 생산품의 냉장저장 중 녹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일부식중독균의 증식저해효과. 한국조리과학회지 21(1), 47-52. 

  7. 박찬성(1997) 향신료가 식중독세균의 증식에 미치는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3(3), 330-337. 

  8. 배지현(2005) 식중독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백화사설초 추출물의 영향. 한국식품영양 과학회지 34(1), 107-112. 

  9. 배지현.김미순.강은혜(2005) 식중독 유발세균의증식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7(4), 642-647. 

  10. 오덕환.이미경.박부길(1999) 식품유해균에 대한차류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 과학회지28(1), 100-106. 

  11. 전영옥.김건희.김순임.한영실(1998) 질경이(Plantagaasiatica L.)추출물의 항균성검색. 한국조리과학회지 14(5), 498-502. 

  12. 정규영.오병운.박기룡.김주환.김미숙.장창기(2003) 엽맥상에 의한 한국산 대극속 (EuphorbiaL., Euphorbiaceae)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3(2), 135-149. 

  13. 정미란.차정단.이영은(2005) 국내산 무화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1(1),84-93. 

  14. 정보성.김하균(1985) 애기땅빈대의 Terpenoid 성분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16(3), 155-159. 

  15. 정해성(2000) 손바닥 선인장의 항산화 및 항균특성.한국조리과학회지 16(2), 160-166. 

  16. 정해정.노경림(2000) Herb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검색. 한국조리과학회지 16(3), 372-377. 

  17. 중약대사전 편찬위원회 (1999) 중약대사전 4, 1500-1501. 

  18. 차배천.김정애.이용수(1996) 인삼비당부와 땅빈대의뇌암세포 독성작용. 생약학회지 27(4), 350-353. 

  19. 최무영.임태진(2008) 오레가노 추출물이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1(5),352-356. 

  20. 한지숙.신동화.윤세억.김문숙(1994) Listeriamonocytogenes의 증식을 억제하는 식용 가능한식물 추출물의 검색. 한국식품과학회지 26(5),545-551. 

  21. 허성일.호위성.한웅.왕명현(2008) 땅빈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 효과. 생약학회지39(4), 295-299. 

  22. Agata l, Hatano T, Nishibe Y, Sugaya T, Nishibe S,Yoshida T, Okuda T(1991) Tannin and relatedpolyphenols of Euphorbiaceous. Chem Pharm Bull 39, 630-638. 

  23. Brane AL(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 59-63. 

  24. Fang Z, Zeng X, Zhang Y, Zhou G(1993) Chemicalconstituents of spotted leaf euphorbia. Zhongcaoyae 24, 230-233. 

  25.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1). HyangMoon Sa: Seoul, 677. 

  26. Webster GL(1994) Synopsis of the genera and supragenerictaxa of Euphorbiaceae Ann Missouri Bot Gard 81,33-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