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단풀 물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항암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Ceramium kondo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0, 2006년, pp.1304 - 1308  

안덕호 (함안 가야초등학교) ,  조석자 (함안 문암초등학교) ,  정은실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이현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환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해룡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단풀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DMSO 용매에 녹인 후 항산화활성과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을 10, 100, 250, 500, $1,000{\mu}/mL$의 농도에서 측정하였을 때, 총 페놀함량,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은 각각 농도에 의존하여 결과값이 향상되었으며,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659.2{\mu}M$, 86.0%, 1.084의 수치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comet assay에서는 비단풀을 5, 10, 25,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hydrogen peroxide $200{\mu}M$의 농도로 처리하여 DNA손상을 유도한 결과 손상된 DNA tail 부분의 DNA 함량을 측정한 % fluorescence in tail이 각각 62.3, 39.8, 24.8, 16.4%로 83.0%인 $H_2O_2$ 처리 양성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MTT reduction assay 방법에서는 추출물을 처 리 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단풀 물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비교시 대장암 유래의 암세포주 HT-29에서는 $10{\mu}g/mL$농도에서 49%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유방암 유래의 암세포주 MCF-7에서 역시 $10{\mu}g/mL$농도에서 130%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현재 한약재를 비롯한 농산물 유래의 추출물이 항산화효과와 항암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비단풀도 하나의 천연물 소재로 생리활성물질 탐색에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cytotoxic effect of Ceramium kondoi.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 effect of the water extracts were evaluated by total phenolic contents (TP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reducing po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승인된 암치료제의 60% 정도는 식물유래 화합물(예, vin- ceristine, taxanes 등) 또는 미생물(예, dactinomicine, an- thracyclines 등) 등의 자연산물을 이용해 개발되었다(10). 연구에서는 전래적으로 다양한 약효가 있다고 알려진 비단풀의 물 주줄물을 제조하여 항산화능과 항암력을 측정하여 신규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JG. 2006. The medicine of grasses, flowers and trees 2. Hanmunwha, Seoul, Korea. p 193-201 

  2. Gutteridge JMC, Halliwell B. 1994.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p 1-62 

  3. Jayat C, Ratinaud MH. 1993. Cell cycle analysis by flow cytometry: principles and application. Biol Cell 78: 15-25 

  4. Chance B, Sies H,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 527-605 

  5.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Korea 

  6. Kim HJ, Wang SK. 1997. Dietary factors related with cancer. Liv Sic of Tj Univ 3: 99-130 

  7. Lee SR. 1993. Food Safety Research.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8. Kang TB, Liang NC. 1997.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on the growth of HL-60 leukemia cells. Biochem Pharm 54: 1013-1018 

  9. Park KY, Moon SH, Rhee SH, Baek KY, Lim SY. 1995. Effect of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on the growth inhibition and the synthesis of mRNA of type IV collagen in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Envirron Mut Carcino 15: 32-37 

  10. Grever MCB. 2001. Cance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In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De Vita VHS, Rosenberg SA, eds. Lippincott-Raven, Philadelphia, USA. p 328-339 

  11.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2.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13.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pn J Nutr 44: 307-315 

  14. Shahidi F, Wanasundara PK. 1992. Phenolic antioxidant.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15. Herrmann K. 1989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8: 315-347 

  16. Meir S, Kanner J, Akiri B, Philosoph-Hadas S. 1995. Determination and involvement of aqueous reducing compounds in oxidative defense systems of various senescing leaves. J Agric Food Chem 43: 1813-18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