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8 no.1, 2010년, pp.107 - 114
최영윤 (한국교통연구원) , 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 박민철 (한국교통연구원) , 성홍모 (한국교통연구원) , 신승진 (한국교통연구원)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logistics industry o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To do this, we used a MRIO table provided by the Bank of Korea which includes inter and intra regional relationship of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for 6 areas - the Seoul Metropolitan, Gangwon, Chungc...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후방연쇄효과란? | 후방연쇄효과는 확산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영향력 계수라 불리며 전체 평균 생산유발계수에 대한 산업별 생산유발계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영향력 계수(BLj)는 j번째 산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생산유발계수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 식(1)은 산업연관분석의 기본수식으로써 특히 (I-A)-1을 레온티에프 역행렬 또는 생산유발계수라 한다.이것은 최종수요로부터 파생되는 파급효과를 나타내는 승수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산업의 최종수요 한 단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그 산업과 연관된 여러 타산업의 생산이 몇 단위가 직/간접으로 유발되는지를 나타내준다. 이런 의미에서 레온티에프 역행렬의 원소를 생산유발계수라고 한다. | |
전방연쇄효과란? | 산업간 연쇄효과7)는 전방연쇄효과와 후방연쇄효과가 있다. 전방연쇄효과는 확산감응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감응도 계수라 한다. n은 각 산업부문의 수를 뜻하고, 감응도 계수(FLi)는 전 부문의 최종수요를 모두 한 단위씩 증가시키기 위해 i번째 산업이 생산해야 할 단위의 전체 평균치에 대한 비율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진다. |
강광하(2000),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곽승준.유승훈.장정인(2002),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양정책연구 제17권 제1호 pp.1-31.
김상봉(2004), "지방공항산업에 의한 지역경제영향분석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3), pp.91-117.
김의준.김홍석.박추환.신동진(2006), "도로 및 철도사업의 중장기 권역별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지역연구 제22권 제3호 pp.3-28.
박창귀(2007), "우리나라 6대 광역 경제권역 간 산업연관관계", 국토연구 제55권 pp.115-136.
박지영.박창근(2008), "산업별 시, 도간 경제교역량 추정", 지역연구 제24권 제2호 pp.27-57.
박창호(2001), "인천지역 물류산업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항만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인천발전연구원
박희정.한표환(2002), "지방양여금에 의한 지방도로 정비사업의 성과", 한국지방재정논집 제7권 제1호 pp.75-98
장영태.이태우.김승곤.신성호(2006),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 부문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pp.35-60.
정봉민(2004), "산업연관분석방법에 의한 해운.항만서비스 가격변동의 물가파급효과 추정", 로지스틱스 연구 제12권 제2호.
지해명.강현.안홍기(2003), "MRIO 시산표 작성: 지역간 교역계수 추정 연구", IDI정책연구보고서
최영윤.하헌구(2008), "물류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산업연관분석의 적용", 로지스틱스연구 제16권 제2호 pp.81-102
이태우.장영태.신성호(2006),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운송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의 상호비교 분석", 한국해운물류학회, 제51권 단일호 pp.47-69.
한국은행(2007) 2003년 지역산업연관표
한상용(2007), "수단별 운송서비스산업의 산업간 경제파급효과 분석", 교통정책연구, 제5권 제1호.
Gosh, A.(1958), "Input-output Approach in an Allocation System", Economica, Vol.25, pp.58-64.
Harry W. Richardson(1972), "Input-Output and Regional Economics", Redwood Press pp.63-67.
Isard,W(1951), "Interregional and Regional Input- Output Analysis : A Model of a Space Economy",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33.
Leontief, W(1970), "Environmental repercussions and the economic structure : an input-output approach",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2, No.3 pp.262-271.
Pierre Vilanin, Louie Nan Liu and David Aimen (1999), "Estimation of Commodity Inflows to a Substate Reg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99.
Thomas J. Zlatoper and Ziona Austrian(1989), "Freight transportation demand: A survey of recent econometric studies", Transportation Vol.16, No.1 pp.27-46.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