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검화도의 폴리(비닐 알코올)/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에서의 점성도 특성과 탐침입자의 확산
Probe Diffusion and Viscosity Properties in Dimethyl Sulfoxide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 with High Degree of Hydrolysi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4 no.5, 2010년, pp.415 - 423  

엄효상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박일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검화도(98%이상)의 폴리(비닐 알코올)(PVA)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용매에 녹인 뒤 PVA 준희박 용액 대에서 농도 $C{\simeq}0.14\;g/mL$까지 점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매트릭스로 하여 폴리스티렌(PS) 라텍스 입자의 확산운동 지연을 동적 광산란법으로 조사하였다. PVA/DMSO계의 점성도를 고유점성도 $[{\eta}]$로 스케일된 환산농도 $C[{\eta}]$에 대하여 도시하였을 때 C$[{\eta}]$ >2에서는 분자량 의존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그 원인은 PVA 용액 내에 존재하는 불균일 영역때문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매트릭스 내에서 탐침입자의 확산운동은 모든 측정농도에서 단일모드로 관찰되었고, 용액상 및 용매상에서의 확산계수의 비인 D/Do를 $C[{\eta}]$로 도시할 때 전체 농도 범위에서 분자량 의존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장지수함수의 적용 한계는 C$[{\eta}]$ >2.5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vinyl alcohol)(PVA) with high degree of hydrolysis of above 98%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DMSO), and the shear viscosity was measured up to $C{\simeq}0.14\;g/mL$ in the semi-dilute solution regime. Next, as probe particle, polystyrene(PS) latex was introduced into this matr...

주제어

참고문헌 (42)

  1. G. D. J. Phillies, G. S. Ullmann, and K. Ullmann, J. Chem. Phys., 82, 5242 (1985). 

  2. G. D. J. Phillies, Macromolecules, 19, 2367 (1986). 

  3. G. D. J. Phillies, Macromolecules, 21, 3101 (1988). 

  4. G. D. J. Phillies and P. Peczak, Macromolecules, 21, 214 (1988). 

  5. L. M. Wheeler and T. P. Lodge, Macromolecules, 22, 3399 (1989). 

  6. G. D. J. Phillies, J. Phys. Chem., 96, 10061 (1992). 

  7. G. D. J. Phillies and D. Clomenil, Macromolecules, 26, 167 (1993). 

  8. C. N. Onyenemezu, D. Gold, M. Roman, and W. G. Miller, Macromolecules, 26, 3833 (1993). 

  9. H. S. Park, J. Sung, and T. Chang, Macromolecules, 29, 3216 (1996). 

  10. D. Gold, C. N. Onyenemezu, and W. G. Miller, Macromolecules, 29 5700 (1996). 

  11. K. L. Ngai and G. D. Phillies, J. Chem. Phys., 105, 8385 (1996). 

  12. G. D. Phillies, M. Lacroix, and J. Yambert, J. Phys. Chem. B, 101, 5124 (1997). 

  13. K. A. Streletzky and G. D. J. Phillies, Macromolecules, 32, 145 (1999). 

  14. K. E. Bremmell, N. Wissenden, and D. E. Dunstan, Adv. Colloid Interface Sci., 89-90, 141 (2001). 

  15. K. E. Bremmell and D. E. Dunstan, Macromolecules, 35, 1994 (2002). 

  16. S. S. Jena and V. A. Bloomfield, Macromolecules, 38, 10551 (2005). 

  17. C. Yang, B. Meng, X. Liu, M. Chen, Y. Hua, and Z. Ni, Polymer, 47, 8044 (2006). 

  18. Y.-W. Choi, S. Lee, K. Kim, P. S. Russo, and D. Sohn, J. Colloid Interface Sci., 313, 469 (2007). 

  19. A. Michelman-Ribeiro, F. Horkay, R. Nossal, and H. Boukari, Biomacromolecules, 8, 1595 (2007). 

  20. Y. Suzuki and I. Nishio, Phys. Rev. B, 45, 4614 (1992). 

  21. M. Shibayama, Y. Isaka, and Y. Shiwa, Macromolecules, 32, 7086 (1999). 

  22. H. B. Bohidar and S. Ghosh, Eur. Polym. J., 36, 2545, (2000). 

  23. R. Biehl, X. Guo, R. K. Prud'homme, M. Monlenbusch, J. Allgeier, and D. Richter, Physica B, 350, 76 (2004). 

  24. P. Diaz-Leyva, E. Perez, and J. L. Arauz-Lara, J. Chem. Phys., 121, 9103 (2004). 

  25. A. Michelman-Ribeiro, H. Boukari, R. Nossal, and F. Horkay, Macromol. Symp., 227, 221 (2005). 

  26. K. Kwon and T. Chang, Polym. Sci. Tech., 13, 384 (2002). 

  27. K. Park, Polym. Sci. Tech., 19, 556 (2008). 

  28. H. W. Park, J. Jung, and T. Chang, Macromol. Res., 17, 365 (2009). 

  29. A. S. Verkman, Trends Biochem. Sci., 27, 27 (2002). 

  30. B. C. Shin, S. H. Cho, and M. S. Kim, Polym. Sci. Tech., 14, 298 (2003). 

  31. E. J. Oh, J.-A. Yang, S. Y. Yang, J. K. Kim, and S. K. Hahn, Polym. Sci. Tech., 18, 444 (2007). 

  32. J. I. Lee and H. S. Yoo, Polym. Sci. Tech., 19, 146 (2008). 

  33. S. Park, T. Chang, and I. H. Park, Macromolecules, 24, 5729 (1991). 

  34. L. H. Sperling, Introduction to Physical Polymer Science, 4th Ed., Wiley, New York, 2006. 

  35. J. E. Mark, Polymer Data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9. 

  36. W. W. Graessley, Adv. Polym. Sci., 16, 43 (1974). 

  37. W. M. Kulicke and R. Keniewske, Rheol. Acta, 23, 75 (1984). 

  38. A. Ren, P. R. Ellis, S. B. Ross-Murphy, Q. Wang, and P. J. Wood, Carbohydrate Polym., 53, 401 (2003). 

  39. I. H. Park, Y.-C. Yu, K. S. Park, D. I. Lee, and W. S. Lyoo, Polymer(Korea), 30, 271 (2006). 

  40. D. W. Ovenall, Macromolecules, 17, 1458 (1984). 

  41. E. Donath, A. Krabi, M. Nirschl, V. M. Shilov, M. L. Zharkikh, and B. Vincent, J. Chem. Soc. Faraday Trans., 93, 115 (1997). 

  42. C. W. Hoogendam, J. C. W. Peters, R. Tuinier, A. de Keizer, M. A. Cohen Stuart, and B. H. Bijsterbosch, J. Colloid Interface Sci., 207, 309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