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공별 Hydroxycinnamic Acid 유도체 및 Anthocyanin 색소의 함량 변화
Quantitative Changes of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and Anthocyanin in Corn (Zea mays L.) According to Cultivars and Heat Process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843 - 852  

유명화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상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수수를 이용한 고품질의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열처리에 따른 기능성 폴리페놀화합물인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HADs)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국내산 3가지 옥수수 품종(찰옥수수, 감미옥수수 및 사료용 옥수수)의 일반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4.13~10.07%, 무질소화합물 65.57~81.75%, 단백질 6.51~15.15%, 지방 3.16~12.35%, 섬유소 2.09~7.81%, 회분 1.40~1.96% 범위로, 찰옥수수의 일반성분의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감미종 옥수수는 찰옥수수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반면, 당 함량은 낮았으며, 특히 감미종 중 감미옥 품종은 지방과 섬유소 함량이 옥수수 품종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사료용 옥수수는 단백질 및 지방 함량이 매우 낮았으며, 특히 단백질 함량은 옥수수 품종 중 가장 낮았다. 옥수수 품종 중 찰옥수수는 5가지 HADs 함량이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반면, 사료용 옥수수는 2가지 FCAs의 함량은 낮은 반면, 3가지 PCs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P3394 품종이 가장 높았다. 감미 옥수수는 찰옥수수보다 FCAs의 함량은 대체로 높은 반면, PCs는 사료용보다 적어 대체로 찰옥수수와 사료용 옥수수의 중간 정도의 HADs 함량을 나타내었다. 찰옥수수 품종 중 박사찰옥수수의 총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은 2.03 mg/g(건물중), 알록이찰옥수수는 3.43 mg/g, 그리고 흑찰옥수수의 함량은 4.35 mg/g으로서 흑미백찰옥수수의 총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가열처리에 따라 흑찰옥수수의 2가지 FCAs는 다소 증가한 반면, 3가지 PCs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가열처리 중 볶음, retort 및 팽화처리는 FCAs를 증가시켰고 특히 팽화처리 시 크게 증가하였다. 가열처리에 따른 흑찰옥수수의 총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 함량은 4.35 mg/g이었으나 retort 처리(4.45 mg/g)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가열처리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팽화처리 경우 안토시아닌 함량이 크게 감소하여 거의 소실되었다. 흑미백찰옥수수로부터 주된 안토시아닌 색소인 pelargonidin 3-glucoside(P3G)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가열처리에 따른 P3G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retort 처리 경우 함량이 다소 증가한(20.03 mg%) 반면, 그 외 볶음, 마이크로파압출성형 처리에 의해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팽화처리 경우 색소가 거의 소실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옥수수의 기능성성분인 HADs 및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은 옥수수 품종 및 가공처리에 따라 다소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옥수수 품종 중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및 항노화성 FCAs 및 안토시아닌 색소 함량이 높은 흑찰옥수수의 대량 보급과 더불어 고압가열처리(retort)에 의한 고품질의 흑찰옥수수 가공품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HADs) and anthocyanins in corn (Zea mays L.)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o have anticarcinogenic, anti-hypertensive, antidiabetic,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Five HADs and anthocyanins in corn were quantified by HPLC according to c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옥수수의 소화성, 기능성 및 기호성을 향상시킨 고품질의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공별 HADs와 anthocyanin 색소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 옥수수를 이용한 고품질의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옥수수의 품종별 및 가열처리에 따른 기능성 폴리페놀화합물인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HADs)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국내산 3가지 옥수수 품종(찰옥수수, 감미옥수수 및 사료용 옥수수)의 일반성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수수에 존재하는 HADs는 어떠한 이점이 있는가? 옥수수에 존재하는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HADs)에는 free cinnamic acids(FCAs)인 ferulic acid(FA) 및 p-coumaric acid(CA)와 그들의 polyamine conjugates(PCs)인 N,N'-dicoumaroylputrescine(DCP), N-p-coumaroylN'-feruloylputrescine(CFP) 및 N,N'-diferuloylputrescine(DFP) 등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세포벽 또는 세포막의 phytosterol 성분이나 식이성섬유소 성분과 에스테르형이나 amide형으로 존재한다(7,8). HADs는 항암, 항염증, 항고혈압활성뿐만 아니라 최근 항당뇨(9), 항균(10), 항산화 및 항피부노화성(11) 생리활성물질로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흑옥수수는 흑미, 흑콩, 흑깨 등과 같이 최근 웰빙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블랙푸드로서 그들이 지니고 있는 안토시아닌 색소는 주로 cyanidin 3-glucoside, pelargonidin 3-glucoside, peonidin 3-glucoside 및 그들의 malonated anthocyanins로 존재하며(12,13), 최근 항암(14)뿐만 아니라 항균 및 항산화(15), 항비만 및 항당뇨(16)성 생리활성물질로 밝혀지면서 그를 이용한 여러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옥수수란 무엇인가? 옥수수(corn, maize, Zea mays L.)는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서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며, 쌀, 밀과 함께 세계 3대 작물 중의 하나이다(4). 옥수수 품종에는 경립종, 연립종, 마치종, 감미종, 폭립종 및 나종(찰옥수수) 등이 있으며, 이중 마치종은 주로 사료용이나 전분 및 식용유 제조 원료로, 나종 및 감미종은 간식용 및 통조림용으로, 그리고 폭립종은 주로 팝콘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4).
옥수수 품종에는 무엇이 있는가? )는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서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며, 쌀, 밀과 함께 세계 3대 작물 중의 하나이다(4). 옥수수 품종에는 경립종, 연립종, 마치종, 감미종, 폭립종 및 나종(찰옥수수) 등이 있으며, 이중 마치종은 주로 사료용이나 전분 및 식용유 제조 원료로, 나종 및 감미종은 간식용 및 통조림용으로, 그리고 폭립종은 주로 팝콘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4). 옥수수는 건물 중 72%는 전분이고, 나머지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tatistic of Death Cause. 200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eoul, Korea. 

  2. Hasler CM. 1998. Functional foods: Their role in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Food Technol 52: 63-70. 

  3. Kim HK. 2004.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nutraceuticals.Food Indus Nutr 9: 1-14. 

  4. Hyun YH, Goo BS, Song JE, Kim DS. 2008. Food material. Hyungseul Publishing Co, Daegu, Korea. p 55-57. 

  5. Duensing WJ, Roskens AB, Alexander RJ. 2003. Corn dry milling: processes, products, and applications. In Corn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AACC International, St. Paul, MN, USA. p 407-447. 

  6. Plate AYA, Gallaher DD. 2005.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corn components and products. Cereal Foods World 50:305-314. 

  7. Sosulski F, Krygier K, Hogge L. 1982. Free, esterified, and insoluble-bound phenolic acids. 3. Composition of phenolic acids in cereal and potato flours. J Agric Food Chem 30:337-340. 

  8. Sen A, Bergvomsp D, Miller SS, Atkinson J, Fulcher RG,Arnason JT. 1994. Distribution and microchemical detection of phenolic acids, flavonoids, and phenolic acid amides in maize kernels. J Agric Food Chem 42: 1879-1883. 

  9. Niwa T, Doi U, Osawa T. 2003. Inhibitory activity of cornderived bisamide compounds against α-glucosidase. J Agric Food Chem 51: 90-94. 

  10. Mellon JE, Moreau RA. 2004. Inhibition of aflatoxin biosynthesis in Aspergillus flavus by diferuloylputrescine and p-coumaroylferuloylputrescine. J Agric Food Chem 52: 6660-6663. 

  11. Choi SW, Lee SK, Kim EO, Oh JH, Yoon KS, Parris N,Hicks KB, Moreau RA. 2007.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polyamine conjugates from corn bran and related hydroxycinnamic acids. J Agric Food Chem 23:1090-1092. 

  12. Pascual-Teresa S, Santos-Buelga C, Rivas-Gonzalo JC.2002. LC-MS analysis of anthocyanins from purple corn cob. J Sci Food Agric 82: 1003-1006. 

  13. Yang ZD. 2010. Optimization of anthocyanins extract from purple corn (Zea mays L.)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of extract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Int J Food Sci Technol (accept) 

  14. Hagiwara A, Miyashita K, Nakanishi T, Sano M, TamanoS, Kadota T. 2001. Pronounced inhibition by a natural anthocyanin, purple corn colour, of 2-amino-1-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 (PhIP)-associated colourectal carcinogenesis in male F344 rats pretreated with 1,2-dimethylhydrazine. Cancer Letters 171: 17-25. 

  15. Cevallos-Casals BA, Cisneros-Zevallos LA. 2003. A comparative study of antimicrobial,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from purple corn and bilberry colourant extracts. In Book of Abstracts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Technical Program Abstracts. Chicago, IL, USA. Poster No. 14E-1, p 29. 

  16. Tsuda T, Horio F, Uchida K, Aoki H, Osawa T. 2003. Dietary cyanidin 3-O- $\beta$ -D-glucoside rich purple corn colour prevents obesity and ameliorates hyperglycemia in mice. J Nutr 133: 2125-2130. 

  17. Suher CS, Chun JK. 1981. Relationships among the roasting conditions, colors and extractable solid content of roast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34-339. 

  18. Moreau RA, Hicks KB, Powell MJ. 1999. Effect of heat pretreatment on the yield and composition of oil extracted from corn fiber. J Agric Food Chem 47: 2869-2871. 

  19. Saulnier L, Vigouroux J, Thibault JF. 1995.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feruloylated oligosaccharides from maize bran. Carbohydr Res 272: 241-253. 

  20. Singh V, Johnston DB, Moreau RA, Hicks KB, Dien BS,Bothast RJ. 2003. Pretreatment of wet-milled corn fiber to improve recovery of corn fiber oil and phytosterols. Cereal Chem 80: 118-122. 

  21.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4959-4964. 

  22. Roussel L, Vieille A, Billet I, Cheftel JC. 1991. Sequential heat gelatiniza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of corn starch in an extrusion reactor. Optimization for a maximum dextrose equivalent. Lebensm Wiss Technol 24: 449-458. 

  2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Standard Code (Appendix). Seoul, Korea. p 3-29. 

  24. Kim EO, Yu MH, Lee KT, Yoon KS, Choi SW. 2009. Effect of thermal pretreatment on the functional constituents of waxy corn (Zea mays L.). Food Sci Biotechnol 18: 1336-1341. 

  25.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2002. Food Composition Table 48. 6th revision, RDA, Suweon, Korea. p 13-15. 

  26. Zhang LP, Ji ZZ. 1992. Synthesis,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y of cinnamic acids, their derivatives and analogues. Yao Xue Xue Bao 27: 817-823. 

  27. Graf E. 1992. Antioxidant potential of ferulic acid. Free Radic Biol Med 13: 435-448. 

  28. Natella F, Nardini M, Di Felice M, Scaccini C. 1999. Benzoic and cinnamic acid derivatives as antioxidants: structureactivity relation. J Agric Food Chem 47: 1453-1459. 

  29. Ohnishi M, Matuo T, Tsuno T, Hosoda A, Nomura E,Taniguchi H, Sasaki H, Moricita H.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hypoglycemic effect of ferulic acid in STZinduced diabetic mice and $KK-A^y$ mice. BioFactors 21:315-319. 

  30. Moreau RA, Nunez A, Singh V. 2001. Diferuloyputrescine and $\rho$ -coumaroyl-feruloylputrescine, abundant polyamine conjugates in lipid extracts of maize kernels. Lipids 36: 839-843. 

  31. Corn cultivars. http://www.jeilseed.com/front/php/category.php?cate_no36 

  32. Lee KT, Lee JY, Kwon YJ, Yu F, Choi SW. 2004. Changes in functional constituents of grape (Vitis vinifera) seed by different heat pretreatments. J Food Sci Nutr 9: 144-149. 

  33. Cevallos-Casals BA, Cisneros-Zevallos L. 2004. Stability of anthocyanin-based aqueous extracts of Andean purple corn and red-fleshed sweet potato compared to synthetic and natural colorants. Food Chem 86: 69-77. 

  34. Choi SW, Kang WW, Osawa T. 199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rice. Foods Biotechnol 3: 131-136. 

  35. Strack D, Wray V. 1994. The anthocyanins. In The Flavonoids. Harvone JB, ed. Chapman & Hall, London, UK. p 234-250. 

  36. Francis F. 1989. Food colorants: anthocyanins. Crit Rev Food Sci Nutr 28: 273-3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