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은어의 수분 함량은 72.5%, 지방 함량은 5.3%, 회분 함량은 1.1%였다. 은어 지방 중에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34.0%였다. 그중 oleic acid가 21.1%, palmitoleic acid가 7.8%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28.2%였는데, 그중 DHA가 12.1%, linoleic acid가 8.1%, EPA가 5.7%였다. 통째인 은어를 12일 동안 냉장($2^{\circ}C$) 보관하며 TBA 값과 PV를 측정한 결과, ascorbic acid를 처리한 군과 진공포장한 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FFA는 12일 동안 세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잘게 다진 상태의 은어를 12일 동안 냉장($2^{\circ}C$) 보관하면서 TBA와 PV를 측정한 결과, ascorbic acid를 처리한 군과 진공포장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지방산화 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은어가 불포화지방산과 DHA와 EPA의 좋은 급원 식품이며, ascorbic acid 처리와 진공포장이 은어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fat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lipids in sweetfish cultured in Korea and lipid oxidation during storage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2^{\circ}C$). Whole or minced sweetfish were vacuum-packaged or treated with ascorbic acid.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mg은 공기 1 mL 중의 산소를 완전히 흡수한다고 알려져 있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양식 은어의 일반성분과 지방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하고 생선의 지방 산화방지에 매우 효과적으로 알려진 ascorbic acid와 진공 포장을 이용하여 은어의 저장성 향상을 검토하여 은어를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얻은 은어 지방의 지방산 조성 비율 결과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다른 이유는? 4%라고 보고한 기존의 연구 결과 (2)와 비교할 때, linoleic acid, EPA, DHA의 함량은 높고,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oleic acid의 함량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식 은어 사료의 지질 조성이 다르면 은어의 지질 함량에 차이가 난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 (3)에서와 같이 은어의 먹이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어류의 먹이에 의한 지방산은 식물성 플랑크톤, 동물성 플랑크톤, 소어의 순으로 저차 영양단계에서 고차 영양 단계의 지방산으로 이용 축적되어 최종 어류에서는 고도불포화 지방산으로 합성․변환되어 축적되며, 이로 인해 어류 지질의 구성 지방산 조성은 먹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9). 은어 지방의 지방산 조성 분석 자료는 많지 않으나, 기존의 은어 지방의 지방산 조성 분석에 의한 결과(2)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 사용한 양식 은어는 EPA 와 DHA가 현격히 높아 우수한 은어 자원임을 알 수 있었다.
어류의 지방산에는 어떤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나? 어류의 지방산에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감소(6,7), 항부 정맥효과(8), 염증과 면역학적 질병에 대한 효과(9) 등의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갖는 eicosapentaenoic acid(EPA)와 docosahexaenoic acid(DHA)와 같은 n-3계 지방산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최근 건강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생선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어류 지방이 산화에 민감하고 유지의 산화에 의한 산화생성물의 발생으로 불쾌한 냄새와 맛을 내면서 식품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은어는 어떤 향기를 가지고 있나? 하천에서 산란하고 부화된 새끼 은어는 연안에서 성장한 후 큰 하천이나 강의 중류까지 거슬러 올라와 산란하는 양측 회유형 어류이다(1,2). 은어는 수박 향과 같은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어 미식가들이 찾는 고급어로 알려져 있으며(3), 빠른 성장 때문에 중요한 양식 대상 종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4). 우리나라의 천연산 은어의 생산량은 점점 감소하는 반면, 양식 은어의 생산량은 양식기 술의 발달과 더불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계속될 전망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ishida M. 1986. Geographic variation in the molecular, morphological and reproductive characters of the ayu Plecoglossus altivelis (Plecoglossidae) in the Japan-Ryukyu Archipelago. Japan J Ichthyol 33: 232-248. 

  2. Moon SK. 1993.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in sweetfish from Korea-1. Bull Korean Fish Soc 26: 235-240. 

  3. Jeong BY, Moon SK, Jeong WG, Ha HS. 1999. Proximate compositions of wild and cultured sweet smelt (Plecoglossus altivelis) muscles and eggs. J Korean Fish Soc 32: 689-692. 

  4. Jeon MJ, Kang KH, Chang YJ, Lee JK. 1999.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nd osmoregulation of the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Aquacul 12: 123-135. 

  5.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998. Statistical yearbook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Dae Jung Printed Co., Seoul, Korea. p 1001. 

  6. Herold PM, Kinsella JE. 1986. Fish oil consumption and de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comparison of findings from animal and human feeding trials. Am J Clin Nutr 43: 566-598. 

  7. Hu FB, Bronner L, Willett WC, Stampfer MJ, Rexrode KM,Albert CM, Hunter D, Manson JE. 2002. Fish and omega-3 fatty acid intak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JAMA 287: 1815-1821. 

  8. Christensen JH, Christensen MS, Dyerberg J, Schmidt EB.1999. Heart rate variability and fatty acid content of blood cell membranes: a dose-response study with n-3 fatty acids. Am J Clin Nutr 70: 331-337. 

  9. Calder PC. 2001.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flammation and immunity: pouring oil on troubled waters or another fishy tale?. Nutr Res 21: 309-341. 

  10. Hwang KT, Regenstein JM. 1989. Protection of menhaden mince lipids from rancidity during frozen storage. J Food Sci 54: 1120-1124. 

  11. Barakat SM, Mahmoud, Yamazaki K, Miyashita K, Shin II, Susuki T. 2006. A new technology for fish preservation by combined treatment with electrolyzed NaCl solutions and essential oil compounds. Food Chem 99: 656-662. 

  12. Jittrepotch N, Ushio H, Ohshima T. 2006. Effects of EDTA and a combined use of nitrite and ascorbate on lipid oxidation in cooked Japanese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od Chem 99: 70-82. 

  13. Ito N, Fukashima S, Hasegawa A, Shibarts M, Ogiso T.1983. Carcinogenicit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in F 344 rats. J Natl Cancer Inst 70: 343-348. 

  14. Choi HS, Hwang JH. 1997. 식품 지방질의 과산화 반응 억제와 천연 항산화제의 활용.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8-30. 

  1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88. 

  16.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912-917. 

  17. AOCS. 1989. AOCS Official Method Ce 2-66, Preparation of methyl esters of long-chain fatty acids. In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18. Kayama M, Tsuchiya Y, Mead JF. 1963. A model experiment of aquatic food chain with special significance in fatty acid conversion. Bull Japan Soc Sci Fish 29: 452-459. 

  19. Ahn BH, Shin HK. 1987.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tent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major fishes caught in Korean s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181-187. 

  20. Cho YJ, Kim BK, Chun SS. 2004. Effect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green tea leaves on production of hydroperoxide for lipid oxidation in corn oil-in-water emuls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9-24. 

  21. Hwang KT, Regenstein JM. 1993. Characteristics of mackerel mince lipid hydrolysis. J Food Sci 58: 79-83. 

  22. Dyer WJ. 1951. Protein denaturation in frozen and stored fish. Food Res 16: 522-527. 

  23. Hwang KT, Kim JE, Kang SG, Jung ST, Park HJ, WellerCL. 2004.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on of lipids in Korean catfish. J Am Oil Chem Soc 81: 123-127. 

  24. Park JN, Hwang KT, Kim SB, Kim SZ. 2009. Partial replacement of NaCl by KCl in salt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fillet products: effect on sensory acceptance and lipid oxidation. Int J Food Sci Technol 44: 1572-15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