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초균을 이용한 조직대두단백의 고체 발효 기간에 따른 라디칼 소거 활성 및 물성 평가
Evalu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extured Vegetable Protein Fermented by Solid Culture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872 - 879  

김지은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전통 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전통 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직대두단백을 이용하여 B. subtilis HA에 의한 장기간 동안 고체 발효를 통해 얻어진 발효물의 품질, 항산화 활성 및 물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라 발효물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고 a, b 값은 증가하였으며 수용성 추출물의 갈색도는 발효 48시간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나 그 후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VP 발효물의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 24시간째 70% 에탄올 추출물의 $ IC_{50}$값이 0.99 mg/mL로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고 발효시간이 길어져도 활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70% 에탄올 추출물이 발효 72시간째 $ IC_{50}$값이 1.68 mg/g으로 가장 높았다. TVP 발효물의 점조도는 발효 48시간째 7.89 $Pa{\cdot}s^n$으로 가장 높았고 그 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질물 함량은 발효 24시간째 26.4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물의 점탄성은 발효 48시간째 가장 높았으며 이후 감소하였고 탄성(G')보다 점성(G")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amma$-PGA 함량은 발효시간이 증가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168시간에 37.72% 생산되었고, 분자량은 발효시간이 경과될수록 감소하였다. Levan 함량은 발효 초기인 12시간째 7.83%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xtured vegetable protein (TVP) was fermented by the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HA and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were produced by fermentation for 7 days. The longer fermentation time resulted in the color change of fermented TVP with strong dark red and yellow color. Me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두보다 가공적성이 뛰어난 조직대두단백을 이용하여 고초균에 의한 고체 발효를 장기간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 생산된 발효물의 품질, 항산화 활성과 γ-PGA 함량 및 물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성분들이 강화된 조직대두단백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변 물질 이외의 대두 및 대두 발효 식품에 있는 항산화 물질의 종류는? 항산화식품 소재 개발의 관심이 더욱 증대되면서 대두 발효식품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두 및 대두 발효 식품의 항산화 물질로는 갈변 물질 이외에도 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isoflavone, 저분자 펩타이드 등이 알려져 있다(8).
대두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은 무엇이며, 그 물질은 의학적으로 어떤 가능성이 보고되었나? 최근 대두 단백의 가수분해물과 대두 발효식품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면서 대두는 중요한 식품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2). 대두는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원이면서 saponin, phytic acid, isoflavones, hemaglutinins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암을 비롯한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3).
대두 발효식품이 갈색화 반응을 일으킬 때 효소적 반응과 비효소적 반응은 무엇인가? 대두 발효식품은 발효과정 중에 식품 고유의 갈색화 반응이 효소적 조건 또는 비효소적 조건에서 다양하게 일어나고 있다. 비효소적 갈변화 반응은 당류와 아미노화합물간의 maillard 반응이며 효소적 갈색화 반응은 아미노산이 tyrosinase에 의하여 산화되어 결국 melanin이 된다. 이때 관여하는 발효 미생물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고, 원료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르나 발효 중 색깔의 40~50%가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him JJ, Seo JH, Soh HS, Yoo BS, Lee SP. 2003. Rheological properties of soymilk and curd prepared with micronized full-fat soy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5-81. 

  2. Song HN, Jung K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soybean by lactic acid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75-482. 

  3. Heo S, Lee SK, Joo HK.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Chungkookjang.Agric Chem Biotechnol 41 :119-124. 

  4. Kim EB, Kim EJ, Lee HN, Lee MK, Oh JS, Kim SO, LeeSY.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cultures using textured soy protein treated with different enzymes. Korean J Food Culture 23: 507-513. 

  5. Lee MK. 2009.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wan-ja using proteolytic enzyme treated textured soy protein.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6. Park SK, Kyung KH. 1986. Pigment-forming bacteria in the presence of L-tyrosine and their possible role in the browning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376-381. 

  7. Eiserich JP, Shibamoto T. 1992.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heterocyc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2:1060-1063. 

  8. Im SK.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Doenjang prepared by different conditions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s.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9. Seo JH, Kim CS, Lee SP.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y- $\gamma$ -glutamic acid produced by a novel Bacillus subtilisHA isolated from Cheonggukjang. J Food Sci Nutr13: 354-361. 

  10. Hahm JH, Lee TY, Lee JS, Park C, Sung MH, Poo H. 2004.Antitumor effect of poly- $\gamma$ -glutamic acid by modulatingcytokine production and NK cell activity. Abstract No. H003 presented at 2004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Federation of Korean Microbiological Societies, Seoul, Korea. Oct 21-22. 

  11. Lee JS, Park C, Poo H, Kim CJ, Sung MH. 2004. Enhancement of immunogenicity for the target antigen expressed on the surface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poly- $\gamma$ -glutamic acid. Proceeding of the 3rd Japan-Korea Joint Meeting on Molecular Dispaly, Kobe, Japan, July 22. p 9-11. 

  12. Lee NK, Hahm YT. 2005.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glucose-poly- $\gamma$ -glutamate (Glu-PGA) obtained from amino-carbonyl re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12-815. 

  13. Lee MS, Kang JI, Kim HS. 2006. Effect of $\gamma$ -PGA (poly- $\gamma$ -glutamic acid) supplement on calcium absorption and bone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255-261.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15.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lala A, Yang M, Riceevans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6. Genc M, Zorba M, Ova G. 2002. Determin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boza by using physical and sensory analysis. J Food Eng 52: 95-98. 

  17. Kang TH, Jung SJ, Kang SA, Jang KH, Jang EK, Kim SH,Kim IH, Kim SH, Rhee SK, Chun UH. 2002. Preparation of levan oligosaccharides by acid hydrolysis and its application in growth of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KoreanJ Biotechnol Bioeng 17: 137-141. 

  18. Hong X, Min J, Hui L, Dingqiang L, Pingkai O. 2005.Efficient production of poly( $\gamma$ -glutamic acid) by newlyisolated Bacillus subtilis NX-2. Proc Biochem 40: 519-523. 

  19. Kim JK.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an soybean paste. J Fd Hyg Safety 19: 31-37. 

  20. Kwak EJ, Park WS, Lim SI. 2003.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and phytic acid. Koran J Food Sci Technol 35: 455-460. 

  21. Kim MH, Kang WW, Lee NH, Kwon DJ, Kwon OJ, ChungYS, Hwang YH, Choi UK.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76-680. 

  22. Morales FJ, Jimeanez S.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as related to colour and fluorescence. Food Chem 72: 119-125. 

  23. Hondo S. 1993. Browning and color of miso, brightness and darkness. J Brew Soc 88: 41-49. 

  24. Yamaguchi N, Naito S, Yokoo Y, Fujimaki M. 1982.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y of non salted soybean miso during maturation. J Food Sci Technol 29: 407-412. 

  25. Lee JW, Park CK, Do JH.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from Korean red ginseng. J Ginseng Res 29: 44-48. 

  26. Kirigaya M, Kato H, Fujimaki M. 1969.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J Agric Chem Soc Jpn 43: 484-491. 

  27.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8.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 353-358. 

  29. Kim JE, Lee SP. 2009.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grit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HA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79-185. 

  30. Shon MY, Lee J, Choi JH, Choi SY, Nam SH, Seo KI, LeeSW, Sung NJ, Park SK. 2007.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Cheonggkukjang. J Food Compos Anal 20: 113-118. 

  31. Ryu SH. 2001.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oxidative components of soybean and Chongkukjang. PhD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32. Matsuo M, Nakamura N, Shidoji Y, Muti Y, Esaki H, Osawa T. 1997. Antioxidative mechanism and apoptosis induction by 3-hydroxyanthranilic acid, an antioxidant in Indonesian food, Tempeh, in the human hepatoma derived cell line, HuH-7. J Nutr Sci Vitaminol 43: 249-259. 

  33. Chen HM, Muramoto K, Yamauchi F, Nokihara K. 1996.Antioxidant activity of designed peptides based on the antioxidative peptide isolated from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c Food Chem 44: 2619-2623. 

  34. Lee JJ, Cho CH, Kim JY, Kee DS, Kim HB.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ookjangpowder. Korean J Microbiol 37: 177-181. 

  35. Shon MY, Seo KI, Park SK, Cho YS, Sung NJ. 2001. Some biological activities and isoflavone content of Chungkukjang prepared with black beans and Bacillus st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62-667. 

  36. Ashiuchi M, Nakamura H, Yamamoto T, Kamei T, SodaK, Park C, Sung MH, Yagi T, Misono H. 2003. Poly- $\gamma$ -glutamate depolymerase of Bacillus subtilis: production, simple purification and substrate selectivity. J Mol Catal23: 249-255. 

  37. Oh SM, Jang EK, Seo JH, Ryu MJ, Lee SP. 2007. Characterizationof $\gamma$ -polyglutamic acid produced from the solid-state fermentation of soybean milk cake using Bacillussp. Food Sci Biotechnol 16: 509-514. 

  38. Jang EK, Seo JH, Park SC, Yoo BS, Lee SP. 2007. Characterization of mucilage produced from the solid state fermentation of soybean grit by Bacillus firmus. Food Sci Biotechnol 16: 722-727. 

  39. Johnes MR, Greenfield PF, Dolle HW. 1991. Byproducts from Zymomonas mobilis. Adv Biochem Eng Biotechnol 44: 97-121. 

  40. Han YW. 1990. Microbial levan. Adv Appl Microbiol 35:171-194. 

  41. Yao J, Jing J, Xu H, Liang J, Wu Q, Feng X, Ouyang P.2009. Investigation on enzymatic degradation of $\gamma$ -polyglutamic acid from Bacillus subtilis NX-2. J Mol Catal 56:158-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