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1, 2010년, pp.43 - 50
강종옥 (단국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이상길 (단국대학교 동물자원학과)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tosan-adding (0.5-1.5%) on nitrite-reduced (30 ppm) and sodium lactate-reduced (0-2%) sausages to avoid using excessively sodium lacte, which is substituted for sodium nitrite, The number of 24 rats for blood properties were used in this ex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아질산염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 육제품에 첨가되는 아질산염(NaNO2 또는 KNO2)의 주요 기능은 발색, 항미생물, 항산화 및 풍미이며,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제품의 상표에 명시되고 있는 것처럼 발색제로서의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발색은 아질산염이 육색소인 마이오글로빈과 반응하여 가열, 훈연에 의해 NO-hemochromogen으로 환원되어 아름다운 선홍색을 띠게 된다. | |
육제품에 첨가되는 아질산염은 섭취 시 체내에서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가? | 한편 NO의 긍정적인 면으로 생체 내에서 효소에 의해 생 합성된 NO는 신경계 신경전달물질로서 뇌세포의 활성화, 혈압조절 및 면역체계에서 암세포의 DNA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mpbell과 Farrell, 2003). 반면, 아질산염의 섭취는 체내에서 HNO2로 변하게 되면 2급 아민과의 반응으로 nitrosoamine이라는 발암성 물질이 생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육제품에는 발색에 참여하지 못한 잔류 아질산염이 문제가 된다. | |
아질산염에 의한 발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육제품에 첨가되는 아질산염(NaNO2 또는 KNO2)의 주요 기능은 발색, 항미생물, 항산화 및 풍미이며,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제품의 상표에 명시되고 있는 것처럼 발색제로서의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발색은 아질산염이 육색소인 마이오글로빈과 반응하여 가열, 훈연에 의해 NO-hemochromogen으로 환원되어 아름다운 선홍색을 띠게 된다. 한편 NO의 긍정적인 면으로 생체 내에서 효소에 의해 생 합성된 NO는 신경계 신경전달물질로서 뇌세포의 활성화, 혈압조절 및 면역체계에서 암세포의 DNA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mpbell과 Farrell, 2003). |
류미라, 김은영, 정경숙. 2003. 홍국첨가가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5:229-234.
전유진, 이응호, 김세권. 1996. 키틴, 키토산의 생리기능(1). 한국 키틴 키토산 연구회지. 1:4-13.
진구복, 최순희. 2001. 젖산나트륨과 지방대체제의 첨가가 냉장저장 중 저지방 볼로나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858-864.
진구복, 김경훈, 이홍철. 2006. 국내 시판 육제품의 이화학적, 조직적 특성 및 미생물의 성상.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6:98-105.
Campbell, Mary K. and Farrel, Shawn O. 2003. The biochemical role of nitric oxide. Biochemistry Fourth ed. Thomson. pp. 645-651.
Choi, S. H. and Chin, K. B. 2003. Evaluation of sodium lactate as a eplacement for conventional chemical preservatives in comminuted sausages inocula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Meat Sci. 65:531-537.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7. Codex standard for cooked chopped meat. CODEX STAN 98-191 (rev. 1 1991). In: Official website of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http://www.codexalimentarius.net.
Judge, M. D., Albert, E. D., Forrest, J. C., Hedrick, H. B. and Merkel, R. A. 1975. Principles of meat science. 2nd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pp. 145.
Maezaki, Y., Tsuji, K., Nakagawa, W., Terada, Y., Akimoto, M., Tsugita, T., Takekawa, W., Terada, A., Hara, H. and Mitsuoka, T. 1993.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chitosan in adult males. Biosci. Biotech. Biochem. 57:1439-1444.
Mass, M. R., Glass, K. A. and Doyle, M. P. 1989. Sodium lactate delays toxin production by Clostridium botulinum in ccook-inbag turkey products. Appl. Environ. Microbiol. 55: 2226-2229.
O'Boyle, A., Rubin, L. J., Diosady, L. L., Aladin-Kassam, N., Comer, F. and Brightwell, W. 1990. A nitrite-free meat cur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oduction of wieners. Food Technol. 44:88-104.
Pearson, A. M. and Gillett, T. A. 1996. Processed meats 3rd Ed., Chapman & Hall. p 57.
Sagoo, S., Board, R. and Roller, S. 2002 Chitosan inhibits growth of spoilage microorganisms in chilled pork products. Food Microbiol. 19:175-182.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Sugano, M., Fujikawa, T., Hiratsuji, Y., Nakashima, K., Fukuda, N. and Hasegawa, Y. 1980. A novel use of chitosan as a hypocholesterolemia agent in rat. Am. J. Clin., Nutr. 33:787-793.
Yang, A., Larsen, T. W., Powell, V. H. and Tume, R. K. 1999. A comparison of fat composition of Japanese and long- term gained fat Australian steers. Meat Sci. 51:1-9.
森田重廣. 1982. 畜肉とその加工. 建帛社. pp. 11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