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출산 직후 송아지와의 분리에 따른 어미소의 발성음특징을 파악하고자 출산 후 이틀 이내의 홀스타인 암소 16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미소와 송아지 사이의 후각적, 청각적 접촉이 가능한 경우(실험군 1)와 전혀 접촉을 하지 못하게 격리한 경우(실험군 2)로 나누어 오전 1시부터 4시까지와 오후 1시부터 4시하루 6시간 동안 3일에 걸쳐 디지털 녹음기와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하여 발성음을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어미소의 발성음은 특징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발성음의 빈도 및 스펙트로그램과 스펙트럼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발성음의 주파수, 강도 및 길이 역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날짜의 경과에 따라 어미소의 발성음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미소와 송아지의 분리 여부에 따라 어미소의 발성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성음은 어미소와 송아지 사이 유대관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Holstein dairy cow's vocalization in postpartum related with calf isolation. Vocalizations of 16 individuals of cows were recorded 6 hours per day (1:00am~4:00am and 1:00pm~4:00pm) using digital recorder and microphone during October 2008 and May 2009. Vocalizations were divided into 4 types.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intensity and duration were analyzed by GLM (general linear model) and Duncan's multi-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y and intensity based on analyses of spectrogram and spectrum among 4 types of vocalizations. Frequencies of vocalization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on 2nd and 3rd day. Vocalization would b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motheryoung bond in Holstein dairy cattle.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