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절 운동의 상완·전완좌표계 타당도 및 굴곡/신전과 회내/회외의 상호작용
The Validity Test of Upper·Forearm Coordinate System and the Exploratory Analysis of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Flexion/Extension and Pronation/Supination during Elbow Joint Motion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20 no.2, 2010년, pp.117 - 127  

김진욱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xes of upper forearm coordinate system have been considered as principal axis of each segment which was component of elbow j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mean direction(principal axis) of instantaneous axes of rotation for pure flexion/extension motion coincided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 째, 회내/회외운동과 굴곡/신전운동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것이다. 두 연구문제를 통해서 상지분절 좌표계의 타당성과 회내/회외축, 굴곡/신전축이 서로 직교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두 번째 연구문제인 두 회전운동요인의 직접적인 교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는 검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회내, 중립, 회외 간 굴곡/신전회전축의 변화양상과, 굴곡, 중립, 신전 간 회내/회외회전축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식 (3)의 분산분석분해모형을 보면 표본벡터들의 관성모멘트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값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두 개의 회전자유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 주관절에서 순수한 굴곡/신전, 회내/회외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순간회전축들의 평균방향이 전완과 상완좌표계의 해당 축과 일치하는가와 두 회전운동이 상호작용하고 있는가에 대해 운동학적 자료로서 통계적 가설검정을 수행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두 회전운동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하나의 회전운동을 세 개의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러나 더욱 타당한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회전운동이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에서 관련성을 찾아낼 수 있는 실험설계가 요구된다.
  • 좌표계의 설정이 잘못되었을 경우 전혀 다른 운동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타당한 좌표계의 수립이 올바른 인체운동의 해석에 있어 필수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역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인체의 상지분절 지역좌표계의 타당성에 대해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마커로 정의된 좌표계 축은 관성 주축(principal axis of inertia)으로 해부학적 회전축이라 가정을 하는데 이 축과 운동학적 회전축이 일치하는가에 대한 본 연구의 검정결과 대부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첫 째, 주관절의 굴곡/신전회전축과 회내/회외회전축이 상완좌표계와 전완좌표계의 해당축과 일치하는가에 대한 가설검정이다. 둘 째, 회내/회외운동과 굴곡/신전운동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것이다. 두 연구문제를 통해서 상지분절 좌표계의 타당성과 회내/회외축, 굴곡/신전축이 서로 직교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해부학적 랜드마크(anatomical landmark)에 의해서 정의된 분절좌표계는 항상 오차가 포함된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좌표계의 타당성 검증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만일 주관절이 순수한 굴곡/신전운동을 수행하였다고 가정한다면 상완좌표계와 전완좌표계에서의 회전축(axis of rotation)은 이상적으로 굴곡/신전 성분만 나타나야 한다. 실제는 이와 같은 관측값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며 여러 종류의 오차가 포함된 좌표계에서 관측된 값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 본 연구에서 주관절 모형은 운반각(carrying angle, valgus angle)이 없으며 굴곡/신전, 회내/회외운동만 존재하는 자유도 2의 관절이라 가정하였다. 좌표계는 직교좌표계와 구형좌표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관절의 부상경험이 없고 젊기 때문에 수동 운동과 능동운동의 가동범위에 차이가 없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관절구조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van Andel et al.
  • 본 연구의 대상인 주관절은 회전자유도가 두 개인 모형으로 가정했다. 주관절은 굴곡/신전과 내전/외전이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Neumann, 2002).
  • 이 통계량이 크다면 귀무가설은 기각되며, 순간회전축의 평균방향과 좌표계축은 일치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자료의 차원으로 본 연구에서는 3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절의 역할이란? 공간에서 손(hand)의 정교한 움직임을 조절하고, 물건을 힘껏 잡기, 그리고 전완(forearm)의 받침점으로서 역할을 하는(Zampagni, Casino, Martelli, Visani & Marcacci, 2008) 주관절(elbow joint)은 대개 굴곡/신전, 회내/회외의 자유도가 2인 관절(Prokopenko, Frolov, Biryukova, Robi-Brami, 2001; Veeger, Yu, An & Rozendal, 1997)로 모형화 한다.
Veeger et al.이 분석한 사항은? Veeger et al.(1997)은 주관절의 굴곡/신전, 회내/회외 회전축을 단위벡터로 표현하여 성분별로 분석하였다. 대표축은 Woltring(1990)이 제안한 최적방향벡터(optimal direction vector)를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각 순간회전축과 최적방향벡터간의 차이에 대한 평균 각도를 오차로서 보고하였다.
순수하게 주관절의 굴곡/신전운동을 시켰을 때 좌표계의 다른축에서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관측하여 수량화 하였을 때 발생오차가 생기는 이유는? Cutti, Garofalo, Davalli, 와 Cappello(2006)는 순수하게 주관절의 굴곡/신전운동을 시켰을 때 좌표계의 다른 축에서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관측하여 수량화 하였다. 발생오차는 각 축들의 대략적인 정의(approximated definition)때문이라 하였다. 사용된 좌표계는 ISB(international society of Biomechanics)에서 권장하는 두 개의 상완좌표계와 한 개의 전완좌표계이며 사체를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진욱(2009). 방향통계학을 이용한 슬관절 회전축자료의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8, 615-623. 

  2. Campbell, A. C., Lloyd, D. G., Alderson, J. A., & Elliott, B. 

  3. Challis, J. H.(1995). A procedure for determining rigid body 

  4. Cutti, A. G., Garofalo, P., Davalli, A., & Cappello, A.(2006). How accurate is the estimation of elbow kinematics using ISB 

  5. Figueiredo, A.(2006). Two-way analysis of variance for data from 

  6. Fisher, N. I., Lewis, T., & Embleton, B. J. J.(1993). Statistical 

  7. Goto, A., Moritomo, H., Murase, T., Oka, K., Sugamoto, K., 

  8. Greenwood, D. T.(2003). Advanced dynamics. New York, NY : 

  9. Kontaxis, A., Cutti, A. G., Johnson, G. R., & Veeger, H. E. 

  10. Mardia, K. V., & Jupp, P.(2000) Directional statistics (2nd 

  11. Meskers, C. G. M., van der Helm, F. C. T., Rozendaal, L. A., & 

  12. Neumann, D. A.(2002).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 

  13. Nordin, M., & Frankel, V. H.(2001). Basic biomechanics of the 

  14. Prokopenko, R. A., Frolov, A. A., Biryukova, E. V., & 

  15. Soderkvist, I., & Wedin, P.(1993). Determining the movements of 

  16. Spoor, C. W., & Veldpaus, F. E.(1980). Rigid body motion 

  17. Stephens, M. A.(1982). Use of the von Mises distribution to 

  18. van Andel, C. J., Wolterbeck, N., Doorenbosch, C. A. M., Veeger, 

  19. Veeger, H. E. J., Yu, B., An, K. N., & Rozendal, R. H.(1997). 

  20. Woltring, H. J.(1990). Data processing and error analysis. In N. 

  21. Wu, G., van der Helm, F. C. T., Veeger, H. E. J., Makhsous, M., 

  22. Zampagni, M. L., Casino, D., Martelli, S., Visani, A., & Marcacci,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