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석사의 석단 고찰 - "화엄경"."십지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one Platforms of the Buseoksa Temple - In Relations to the "Hwaeomgyeong" and "Sipjipum"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9 no.2, 2010년, pp.21 - 42  

홍재동 ((유)건축사사무소 홍원) ,  임충신 (울산대학교 건축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The structural system of "Hwaeomgyeong" has its core in the fact it deals with certain themes repeatedly on the basis of "Sipjipum" as a system of discipline.( The key of Euisang's ideas lay in referring to the whole "Hwaeomgyeong" as Beopseong and expressing it with the term, 'Haeng'. Here 'Ha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교가 한국건축사에 가지는 의미는? 불교는 한국건축사에 있어 새로운 건축양식의 창작 추구와 공간의 변화를 불러일으킨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의미를 가진다. 더욱이 불교의 전래 이후 그 전성기였던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사찰의 공간구성은 한국전통건축을 이해하려는 여러 연구에서 불교교리와 사상에 연유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교리와 사상 등에 나타난 건축 규범은 명확한 것이 없다.
화엄경의 내용은 어떠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화엄경』내용을 눈여겨 살펴보면. ㉮ 설법의 주인공인 보살들이 설법 장소마다 바뀌어 등장하거나, ㉯ 설법 무대가 지상과 천상을 오가며 바뀌기도 하고, ㉰ 그에 비례하여 설법 회수도 나누어지는 형식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ietrich Seckel?백승길 역, 불교미술, 열화당, 서울, 1985, 

  2. 平川彰?梶山雄一?高岐直道지음/鄭舜日옮김, 화엄사상, 경서원, 서울, 1988. 

  3. 鎌田茂雄 지음 / 한형조 옮김, 화엄의 사상, 고려원, 서울, 1988. 

  4. 玉城康四郞, 永遠の世界觀?華嚴經, 筑摩 書房, 동경, 1965. 

  5. 玉城康四郞 지음 / 이원섭 옮김, 화엄경, 현암사, 서울, 1991. 

  6. 末網怒一 지음 / 이기영 옮김, 화엄경의 세계, 한국불교연구원, 서울, 1992. 

  7. 鎌田茂雄 지음 / 장휘옥 옮김, 화엄경 이야기, 장승, 서울, 1996. 

  8. 木村淸孝 지음 / 김천학?김경남 옮김, 화엄경을 읽는다, 불교시대사, 서울, 2002. 

  9. 문화재관리국, 영주부석사보수정화준공보고서, 서울, 1980. 12. 

  10. 김보현?배병선?박도화, 부석사, 빛깔있는 책들, 대원사, 서울, 1997. 

  11. 조동일, 의식각성의 현장, 도서출판학고재, 서울, 2007. 

  12. 金奉烈, 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서울대 박론, 1989. 

  13. 金奉烈, 한국건축의 계획과정 : 부석사, 이상건축, 11월호, 부산, 1995. 

  14. 金相鉉, 신라화엄사상사연구, 동국대 박론, 1989. 

  15. 李種益, 한국불교사상사 위에서 본 均如法界圖記고찰, 불교학보 제17집 

  16. 李孝杰, 화엄경의 성립배경과 구조체계, 고려대 박론, 1991. 

  17. 趙南枓, 화엄경을 통해 본 화엄사찰의 배치 형식 연구 -화엄십찰을 중심으로-, 1998. 동국대 석론. 

  18. 陳景敦, 부석사의 입지선정배경과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론, 1988. 

  19. 洪宰東, 부석사의 공간구성 연구, 1998. 울산대 박론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