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원루(聚遠樓)를 통해서 본 영주 부석사(浮石寺) 건축 공간의 변천
The Architectural Vicissitude of Buseok Monastery Seen through Chwiweon Pavilion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0 no.3, 2011년, pp.59 - 82  

정기철 (캔사스대학교 미술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ravel literatures written by the Joseon literati, the different picture of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Buseok monastery from the one today emerges. Not only do the buildings removed from the monastery today reappear, but the quite different way of the monastic operation comes to l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석사의 취원루는, 조선 중기 무엇의 대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었는가? 1) 실제로 부석사의 취원루는 빠르게는 조선 초기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를 대표하는 누각으로 기록될 정도로 오랜 연원을 지닌 건축물이다.2) 조선 중기에 이르면 취원루는 주세붕, 이황, 김성일 등 당대의 사대부 문인들이 즐겨 유람하며 시문을 짓던 제영시(題詠詩)의 대상으로 빈번하게 나타난다. 취원루에서 읊은 상당히 많은 시문(詩文)이 현재 전해지고 있다3).
부석사의 취원루는 무엇인가? 취원루가 근대 이전, 즉, 조선 시대에 존재했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지적된 바가 있다.1) 실제로 부석사의 취원루는 빠르게는 조선 초기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를 대표하는 누각으로 기록될 정도로 오랜 연원을 지닌 건축물이다.2) 조선 중기에 이르면 취원루는 주세붕, 이황, 김성일 등 당대의 사대부 문인들이 즐겨 유람하며 시문을 짓던 제영시(題詠詩)의 대상으로 빈번하게 나타난다.
부석사의 배치와 건축에 대한 기록 자료는 어떻게 구별되는가? 부석사의 배치와 건축에 대한 기록 자료는 크게 국가나 사대부 개인에 의해 작성된 외부자료와 부석사 승려에 의해 남겨진 내부 자료로 대별될 수 있다.8) 두 가지 자료는 서술 관점이나 내용에 있어서 상이한 특징을 보여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문화재관리국, 榮州浮石寺補修淨化竣工報告書, 1980 

  2.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경상북도II 자료집, 2003 

  3. 杉山信三編, 韓國古建築の保存, 韓國古建築の保存刊行會, 1996 

  4. 金?,溪巖日錄, 국사편찬위원회, 1997 

  5. 朴琮, 淸凉山遊錄, ?洲集卷15 

  6. 高橋亨, 李朝佛敎, 민속원影刊, 1929 

  7. Jonathan Z. Smith, To Take Place , The University of Chicargo Press, 1987 

  8. 김봉렬, 극락정토신앙과 정토계사찰의가람구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 1988 

  9. 배병선 외, 부석사, 대원사, 1995 

  10. 淸水擴, 平安時代佛敎建築史の硏究,中央公論美術出版, 1992 

  11. 蕭?, 敦煌建築硏究, 文物, 198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