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셜 컴퓨팅에 대한 기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최근까지 사회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5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및 세부주제, 연구방법, 분석단위, 응용분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셜 컴퓨팅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의 몇 가지 경향이 발견되었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조직 개념을 다룬 연구보다 사회 개념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조직 개념 분야의 연구에서는 기술 이전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사회 개념 분야의 연구에서는 문화적 이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장 연구를, 분석단위로는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연구가 지배적이었다. 응용분야 측면에서는 블로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셜 컴퓨팅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소셜 컴퓨팅에 대한 기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최근까지 사회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5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및 세부주제, 연구방법, 분석단위, 응용분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셜 컴퓨팅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의 몇 가지 경향이 발견되었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조직 개념을 다룬 연구보다 사회 개념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조직 개념 분야의 연구에서는 기술 이전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사회 개념 분야의 연구에서는 문화적 이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장 연구를, 분석단위로는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연구가 지배적이었다. 응용분야 측면에서는 블로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셜 컴퓨팅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search articles on social computing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 total of 51 articles published in social scientific journals from 2006 to 2010 are analysed by research theme, methodology, level of analysis, and application area.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search articles on social computing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 total of 51 articles published in social scientific journals from 2006 to 2010 are analysed by research theme, methodology, level of analysis, and application area.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studies are addressing blogs and mainly focusing on societal concepts rather than organizational concepts. The predominant methodology is field study at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es on social computing need to address more various topics and application areas. Also diversity in terms of methodology and level of analysi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search articles on social computing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 total of 51 articles published in social scientific journals from 2006 to 2010 are analysed by research theme, methodology, level of analysis, and application area.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studies are addressing blogs and mainly focusing on societal concepts rather than organizational concepts. The predominant methodology is field study at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es on social computing need to address more various topics and application areas. Also diversity in terms of methodology and level of analysis is requir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서 최근 5년간의 소셜 컴퓨팅 관련 연구동향을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단위, 응용분야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향후 소셜 컴퓨팅에 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소셜 컴퓨팅의 대표적 애플리케이션인
후)소셜게임">소셜 게임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블로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경영정보학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셜 컴퓨팅 관련 연구는 언론 분야가 주도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셜 컴퓨팅 연구들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경영정보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분류체계 중의 하나를 사용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사회학, 커뮤니케이션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연구들을 분류한다면 또 다른 각도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안 방법
후)연구 주제,">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단위, 응용분야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향후 소셜 컴퓨팅에 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소셜 컴퓨팅의 대표적 애플리케이션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블로그,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소셜 컴퓨팅의 정의, 분류, 현황, 의의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셜 컴퓨팅
후)마이크로블로그를">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소셜 컴퓨팅의 정의, 분류, 현황, 의의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셜 컴퓨팅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분류기준을 마련한 후, 최근 5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소셜 컴퓨팅 관련 연구들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분류된 결과를 토대로 소셜 컴퓨팅 연구의 주요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소셜 컴퓨팅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소셜 컴퓨팅은 사회심리학, 커뮤니케이션, 컴퓨팅 등 다양한 이론과 웹,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학문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셜 컴퓨팅이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분야라는 점을 고려하여, 경영정보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측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소셜 컴퓨팅의 응용분야 또한
kr) 서비스를 활용하여 검색하였다. 먼저, 논문 제목과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 검색을 실시하였다. 검색 키워드로는 ‘소셜 컴퓨팅’, ‘소셜 소프트웨어’,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추출된 총 5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단위, 응용분야 차원에서 사전에 마련된 기준으로 코딩하여 통계 처리하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류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회분야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기술적인 분류 항목은 제외하고 특정 문제영역 개념, 시스템/ 소프트웨어 관리 개념, 조직 개념, 사회 개념, 학문적 이슈의 다섯 가지 분류항목만을 사용하였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설명 및
(2002)가 사용한 연구방법 및 분석단위 분류기준에 대한 개념적 설명은 와 과 같으며, 본 연구에서도 동일한 분류기준에 의거하여 연구방법과 분석단위를 분류하였다.
(2002)는 연구방법을 개념적 분석(Conceptual Analysis), 개념적 분석/수리적 (Conceptual Analysis/Mathematical), 사례연구 (Case Study),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 현장 연구(Field Study), 도구개발(Instrument Development), 실험실 실험 (Laboratory Experiment-human Subjects), 시스템 평가 (System Evaluation)의 8가지 분야로 구분하였다. 분석단위로는 사회(Society), 전문가(Profession), 조직간 환경(Interorganizational Context), 조직 환경(Organizational Context), 프로젝트(Project), 그룹/팀(Group/Team), 개인(Individual), 추상적 개념(Abstract Concept), 컴퓨팅 시스템(Computing System), 컴퓨팅 요소(Computing Element)의 10가지 분야로 나누었다. Vessey, et al.
후)마이크로블로그">마이크로 블로그 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응용 분야는 위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으며, 논문들이 게재된 저널별, 연도별로 논문 게재 현황을 살펴 보았다.
검색 키워드로는 ‘소셜 컴퓨팅’, ‘소셜 소프트웨어’, ‘소셜 미디어’,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블로그’, ‘블로거’, ‘마이크로 블로깅’, ‘마이크로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사용하였으며, 영어 논문까지 고려하여 키워드 검색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후)연구동향을">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소셜 컴퓨팅의 응용분야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블로그, UCC, 위키, 소셜 북마킹, 평판, 추천 등 분야가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응용분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블로그, 마이크로 블로그로 분석 대상을 한정한다. 또한 대표적인
후)마이크로블로그로">마이크로 블로그로 분석 대상을 한정한다. 또한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페이스북이 2006년을 기점으로 전자우편 주소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대되었으며, 같은 시점에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인 트위터가 서비스를 개시했기 때문에, 소셜 컴퓨팅 분야의 연구동향을 이해하는데 2006년부터의 연구를 살펴보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2006~2010년 상반기까지 최근 5년 간의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한다.
분석 대상 논문은 학술논문 검색 및 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DBPIA(www.dbpia.co.kr)와 NDSL(www.ndsr.kr) 서비스를 활용하여 검색하였다. 먼저, 논문 제목과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 검색을 실시하였다.
후)‘마이크로블로그’,">‘마이크로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사용하였으며, 영어 논문까지 고려하여 키워드 검색을 실시하였다. 다음 단계로 검색된 논문이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 현재 한국연구재단으로 이름이 바뀜) 등재지 중 사회 분야 저널에 실린 논문인지를 확인함으로써 분석 대상을 사회 분야로 한정시켰다. 마지막으로는 논문이 게재된 각 저널을 대상으로 2006년
본 연구는 소셜 컴퓨팅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블로그, 마이크로 블로그 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2006~2010년 상반기까지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중 사회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블로그, 마이크로 블로그 관련 연구는 총 51편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 컴퓨팅의 연구 동향을 블로그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2006년부터 최근까지 사회분야 등재지에 게재된 5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단위, 응용분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측면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소셜 컴퓨팅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연구대상을 사회분야 학술지에 실린 2006년 이후의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하지만 연구의 범위를 공학 분야까지 확대하고 2006년 이전의 논문들까지 분석한다면, 관련된 기술의 변화,
이론/모형
후)응용분야이므로">응용 분야이므로
본 연구에서도 Vessey, et al.(2002)의 분류기준에 따라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단위를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후)소셜네트워크">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자신의 프로파일을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매달 평균 1억 6천만 명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방문하고 있으며, OECD 국가 중 몇몇 국가에서는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이메일 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블로그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이후 블로그 수가 이전보다 두 배로 늘어 현재
후)10만개의">10만 개의 블로그가 새로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유투브(www.youtube.com)와 같은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10억 개 이상의 사진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동영상이 4천만 개 이상 업로드 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인 소셜 컴퓨팅
특히, ‘한국언론학보’에 총 15편(29.4%)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다음으로는‘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에 총 6편(11.8%)의 논문이 게재되어 전체적으로 언론 분야에서 소셜 컴퓨팅에 대한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후)사회 개념">사회개념 분야의 연구에서는 문화적 이슈에 대한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현장연구가 많았으며, 분석단위 측면에서는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현장연구가 많았으며, 분석단위 측면에서는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마이크로 블로그에 대한 연구보다는 블로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2005).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살펴 본 소셜 컴퓨팅의 경우에는 조직 이슈에 대한 연구보다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한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시스템과 사회적 행위의 접점을 다루는 소셜 컴퓨팅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넷째, 연구의 다양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설문조사를 포함한 현장연구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분석단위 측면에서는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연구자들이 무엇보다도 자료 수집의 편리성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후)현장연구방법이">현장연구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개념적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 저널을 검토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개념적 분석/수리적 방법과 개념에 대한 측정항목 개발과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하는 도구개발 방법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조직개념을">조직 개념을 다룬 연구보다 사회적 개념을 다룬 연구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세부주제 측면에서 살펴보면, 조직개념 분야의 연구에서는 기술이전에 대한 연구가 많고, 사회개념 분야의 연구에서는 문화적 이슈에 대한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현장연구가 많았으며, 분석단위 측면에서는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연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후)연구 동향">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분류기준을 마련한 후, 최근 5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소셜 컴퓨팅 관련 연구들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분류된 결과를 토대로 소셜 컴퓨팅 연구의 주요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소셜 컴퓨팅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직 이슈에 관한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조직과 관련된 이슈를 다루는 연구가 많다(Vessey, et al.
후)것이다 (Qualman,">것이다(Qualman, 2009). 따라서 단순히 수용 요인, 영향 등의 차원에서만 소셜 컴퓨팅을 접근할 것이 아니라, 소셜 컴퓨팅을 비즈니스에 어떻게 접목시켜야 하는지, 조직 구조는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 소셜 컴퓨팅으로 인한 변화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소셜 컴퓨팅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셜 컴퓨팅의 역기능에 대한 연구도 고려되어야 한다. 소셜 컴퓨팅은 오늘날 정보사회의 중요 트렌드로서 ICT 산업을 견인하는 동력이 되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부정적인 측면 또한 존재한다.
후)기업비밀">기업 비밀 자료 유출 등의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소셜 컴퓨팅이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도 확대될 필요가 있다.
후)수밖에">수 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급성장과 정치, 행정, 기업 등 사회 각계의 관심을 고려해 볼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마이크로 블로그가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비즈니스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등의 관련 연구가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후)사회 분야">사회분야 학술지에 실린 2006년 이후의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하지만 연구의 범위를 공학 분야까지 확대하고 2006년 이전의 논문들까지 분석한다면, 관련된 기술의 변화, 웹 2.0 이전과 이후의 변화 등 폭 넓은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후)분류하는 데">분류하는데 있어서 경영정보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분류체계 중의 하나를 사용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사회학, 커뮤니케이션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연구들을 분류한다면 또 다른 각도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 컴퓨팅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에는 무엇이 있나?
소셜 컴퓨팅(Social Computing)에 대한 개념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지만, 인간의 사회적 관계와 행위를 지원하는 컴퓨팅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통칭하여 소셜 컴퓨팅이라고 한다. 소셜 컴퓨팅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블로그 (Blog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UCC, 위키(Wikis), 소셜 북마킹(Social Bookmarking) 등이 있다. 웹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네트워크의 고속화,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장비의 보급으로 최근 소셜 컴퓨팅은 개화기를 맞고 있으며, 웹 진화 과정의 다음 단계로 인정되고 있다(Parameswaran, et al.
소셜 컴퓨팅의 애플리케이션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나?
소셜 컴퓨팅의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지원하는 분야이다. 특히, 사회적 커뮤니티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웹 2.0 서비스와 도구들을 말한다. 블로그, 위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북마킹 등이 이에 해당된다. 두 번째는 사람들의 집단적 협력과 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 분야이다. 협력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추천 (Recommendation), 예측(Forecasting), 평판 (Reputation)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 분야를 말한다(한상기, 2010).
소셜 컴퓨팅은 무엇인가?
소셜 컴퓨팅(Social Computing)에 대한 개념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지만, 인간의 사회적 관계와 행위를 지원하는 컴퓨팅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통칭하여 소셜 컴퓨팅이라고 한다. 소셜 컴퓨팅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블로그 (Blog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UCC, 위키(Wikis), 소셜 북마킹(Social Bookmarking) 등이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