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 장수군 오미자 자생지 토양 및 환경 특성
Soi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Located in Jangsu-gun, Jeollabuk-do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6, 2010년, pp.771 - 775  

임성진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이강수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  정혜란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  김영근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송미선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조재영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북도 장수군 오미자 자생지 토양 및 환경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생, 입지환경 및 토양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는 고도 500~700 m의 준산간지 산록 북서쪽 방향의 계곡에 자생하고 있으며, 경사도는 17.6~36.4%, 토층은 마사토와 부엽토가 쌓여 배수가 용이한 지반이 형성된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자생지 식물상은 34과 55종으로 나타났다. 갯버들은 거의 모든 조사지점에서 분포하였으며, 칡, 싸리, 옻나무, 쑥과 같은 식물의 세력이 자생지 내에서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자생지 토양의 화학적인 지표는 우리나라 일반 오미자 인공재배 토양과 비교시 식물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완충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인공재배 적지분석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역 이동에 따른 재배기술 확립시 자생지 토양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토양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an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habitat as a part of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plan for important medicinal crop resources in Jangsu-gun, Jeollabuk-do. These habitats a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ains fa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장수군 오미자 자생지식생, 환경 및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오미자 자생지 보전 및 복원대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오미자는 어떤 용도로 인공 재배되고 있는가? 목련과 (Magnoliaceae)에 속하는 오미자는 세계적으로 2속 49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속 3종이 분포하고 있다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2007). 식의약품 용도로 인공 재배 되고 있는 오미자는 북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北五味子; 赤五味子로도 불리우고 있음)로 우리나라 백두대간, 중국 동북3성 그리고 북한에서 인공 재배 되고 있으며,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南五味子)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도서지방에서 소규모로 자생하고 있으며, 흑오미자 (Schisandra nigra; 黑五味子)는 우리나라 한라산 해발 600~700 m 일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Kim et al., 1999, Kim et al.
오미자의 주요 약리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오미자의 주요 약리성분은 리그난 (lignan) 계열의 화합물로 Schisandrin과 Gomisin이다. 최근 오미자의 기능성과 관련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항산화 활성 (Kim and Choi, 2008; Kim et al.
우리나라 오미자가 전국적으로 보급, 확대된 계기는? 우리나라 오미자는 백두대간 전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다. 1970년도 초반에 전라북도 장수군과 무주군 선도농가들이 실생재배 (實生栽培)에 성공하면서 전국적으로 보급 확대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오미자 인공재배지는 덕유산을 중심으로 백두대간을 따라 주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Y.H. and Y.H. Kim. 2007.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Rubus coreanus in Korea. Kor. J. Env. Eco. 21:176-185. 

  2. Cho, J.Y. 2010.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rchard Soils Located in Jangsu-gun, Jeollabuk-do. Korean J. Soil Sci. Fert. 43:478-483. 

  3. Jangsu-gun. 2006. A study on the manufacture and commercialization for Omija. Jangsu, Korea. 

  4. Jangsu-gun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2000-2010 Meteorological data. 

  5.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2007. Manual of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ion for Omija. Iksan, Korea. 

  6. Kim, H.K., G.M. Na, S.H. Ye, and H.S. Han.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484-490. 

  7. Kim, J.S. and S.Y. Choi. 2008. Phy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on). Korean J. Food & Nutr. 21:35-42. 

  8. Kim, P.G., K.Y. Lee, S.H. Kim, and H.S. Han. 1999. Foliar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trees distributed in Korea. Korean J. Agri. and Forest Meteorol. 1:90-96. 

  9. Kim, S.H., K.Y. Lee, and E.S. Baik. 2010. Habitate environment, blooming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for Schisandra nigra Max. selected populations of Jeju island in Korea. Korean J. Apiculture. 25L 45-51. 

  10. Kim, S.I., K.H. Sim, S.Y. Ju, and Y.S. Han. 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 Nutr. 22:41-47. 

  11. Ko, B.S., S.K. Park, S.B. Choi, D.W. Jun, M.K. Choi, and S.M. Park. 2004. A study on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258-264. 

  12. Lee, K.Y., S.H. Kim, P.G. Kim, C.H. Shin, and S.S. Han. 1999. 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Schisandra nigra Maxim. in Cheju island of Korea. Korean J. Agri. and Forest Meteorol. 1:81-89. 

  1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The analysis method of soil and plant. 103-168. Suwon, Korea. 

  14. Park, S.H. and J.H. Han. 2004. A study of medicinal plants for applications in functional foods. 1. Effects of Schizandrae fructus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34-40. 

  15. Ryu, I.H., T.O. Kwon, K.S. Lee, and Y.G. Yun. 2007. Enzymological evaluation of bowel inflammation inhibitory activity and intestinal microbial flora improvement by enzymatic hydrolysate of Schizandrae fructus. Kor. J. Pharmacogn. 38:363-3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