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식생구조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ive Habitats of 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3, 2014년, pp.331 - 341  

윤정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명훈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용식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흥, 부산 및 울산지역에 분포하는 거문도닥나무 자생지의 입지 환경,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거문도닥나무 자생지는 해발 28~242m에 위치하고, 경사는 $0{\sim}40^{\circ}$로 다양하며, 수관개방율은 57.56%로 나타났다. PC-ORD를 이용한 이단계 군집분석 결과 군집 I(밤나무-소나무군집), 군집 II(떡갈나무-곰솔군집), 군집 III(곰솔군집) 등 세 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종다양도는 평균 1.3650이며, 균등도와 우점도는 각각 0.8666과 0.1333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지의 토성은 미사질양토와 사양토이며, 토양산도는 pH5.5, 전기전도도는 0.15dS/m, 토양유기물함량은 2.60%, 유효인산함량은 4mg $kg^{-1}$으로 확인되었다. 환경 특성과 식생 및 토양분석 결과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종다양도와 균등도, 유기물함량과 전질소함량은 정의상관관계를 보였고, 경사와 초본층의 피도, 종다양도와 우점도는 부의관계를 형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to survey the site environment,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the wild habitats of Wikstroemia ganpi in Goheung, Busan and Ulsan, and offers basic information for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ost of the wild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betw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거문도닥나무의 자생지의 입지환경,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을 파악하여 자생지 보전과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문도 닥나무는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 1999). 우리나라에서 희귀종(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인 거문도 닥나무는 오스트레일리아, 열대지역인 아시아의 동부·말라야 군도, 대만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Kitamura, 1957; Ohwi, 1984; Satake et al., 1989; Hong et al., 1999), 우리나라에는 여수, 고흥, 남해, 마산, 부산 등 남부 해안지방에 분포한다(Hong et al., 1999;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2013).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산닥나무속은 세계적으로 몇 종이 분포하고 있는가? 팥꽃나무과(Thymelaceae)에 속하는 산닥나무속(Genus Wikstroemia)은 세계적으로 약 60여종이 분포하며(Satake et al., 1989; Hong et al.
거문도닥나무의 꽃의 특징은 어떠한가? 거문도닥나무는 흔히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낙엽소관목으로, 높이 1m 내외이며 가지는 원줄기의 아래쪽에서 분지해 총생하고 위쪽에서 원추상으로 많은 소지를 낸다. 당년 가지의 윗부분은 매년 대부분 말라 죽으며, 꽃은 흰색으로 7월~9월에 갈라진 가지 끝과 상부의 엽액에서 짧은 총상화서를 만들고 통상의 꽃이 여러개 달린다(Hong et al., 1999). 꽃이 아름답고, 많이 달리며, 식물체의 키가 1m내외로 조경및 원예용 소재로의 개발 잠재력이 매우 높은 식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J.K., H.C. Lee, C.H. Kim, D.O. Lim and B.Y. Sun(2008) Phylogeny and conservation of the genus Bupleurum in Nor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B. latissimum, endemic to Ulleung Island in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1): 18-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rower, J.R.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3. Cheon, K.S., J.S. Han, K.A. Kim, K.H. Ok and K.O. Yoo(2012)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lypodium vulgare L. in Ulleung-do.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ox, G.W.(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 232pp. 

  5.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6.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T.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Walter. H.(Hrsg.) Einfubrung in die Phytologie IV. Stuttgart, 136pp. 

  7. Falk, D.A. and P. Olwell(1992) Scientific and policy conservations on reintroduction of endangered species, Rhodora 94(879): 287-315. 

  8. Hong, H.H., H.T. Im and S.G. Hong(1999) One species of Korean Wikstroemia (Thymelanaceae) : W. ganpi (Sieb. et Zucc.) Maxim.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9(4): 391-3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IUCN(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32pp. 

  10.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lra, Y.P. and D.G. Maynard(1991) Methods manual for forest soil and plant analysis. Forestry Canada, Northwest Region, Northern Forestry Centre, Edmonton, CA, pp. 1-116. 

  12. Kim, E.H.(2007)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ontice microrhyncha community in Mt. Jumbong. Master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49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J.(2009) Conservation biology of Wikstroemia trichotoma Community. Ph. 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0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H.J., M.Y. Kim and H.K. Song(2008)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ikstromia Community focused on Wikstromia trichotoma and Wikstromia ganp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9(2): 51-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W and Y.K. Lee(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Seoul, 240pp. (in Korean) 

  16. Kitamura, S., G. Murata and M. Hori(1957) Coloured Illustrations of Woody Plants of Japan. Vol. I, Hoikusha, Osaka, pp. 225-226.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3) http://www.kma.go.kr 

  18.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332pp.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2013) http:www.nature. go.kr 

  20. Lee, S.H., M.H. Yeon and J.K. Shim(2011) Habitat and Distribution Feature of Endangered Species Leontice microrhyncha S. Moore.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6): 819-8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W.(1981)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II).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54: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Machado, J. and P.B. Reich(1999) Evaluation of several measures of canopy openness as predictors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in deeply shaded conifer-dominated forest understory.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9: 1438-144. 

  23. McCune, B. and M.J. Mefford(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 10.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egon, USA. 

  24. Miller, H.G. and R.L. Donahue(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ill, NJ., 768pp. 

  2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91pp. (in Korean) 

  26. Noh, T.H., B.H. Han, J.Y. Kim, M.Y. Lee and K.J. Yoo(2013) Actual vegetation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Daegwallyeong Ranch, Gangwon-do (Province).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5): 579-5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Ohwi, J.(1984) Flora of Japan. Smithonian Ins., Washington D.C., pp. 646. 

  28. Pearson, K.(1895) Mathematical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evolution, On homotyposis in homologous but differentiated orga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71: 288-313. 

  29.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 

  30. Primack, R.B.(2004)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3rd ed.). Sinaurer Associates, Sunderland, U.S.A., 292pp. 

  31. Qiaoming, L., Z. Xu and T. He(2002) Ex situ genetic conservation of endangered Vatica guangxiensis (Dipterocarpaceae) in China. Biological Conservation 106(2): 151-156. 

  32. Satake, Y., H. Hiroshi, W. Shunji and T. Tadao(1989) Wild Flowers of Japan. Woody Plant, Heibonsha Ltd., Tokyo, pp. 81-82. 

  33. Shin, H.T and M.H. Yi(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Seed Bank and Ground Layer of Actual Veget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1): 127-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Sung, J.W., M.H. Yi, J.W. Yoon, G.S. Kim, H.T. Shin and Y.S. Kim(2013)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ive habitat of Corydalis cornupetal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3): 271-2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1): 1-80. 

  36. Yi, M.H., Y.S. Kim, D.G. Kim, S.G. Park and H.T. Shin(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Seed Bank and Actual Vegetatio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6): 638-6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