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밭작물 토양물리성 지표관련 인자의 상관분석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oil Physical Property in Upland Soil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6, 2010년, pp.793 - 797  

김찬용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서영진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권태영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박준홍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허민순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하상건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북지역내 밭토양 20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속별로 토양물리성의 주요 지표인 용적밀도와 토양경도에 대한 토양층위별 분포비율을 분석한 결과 밭토양의 표토의 용적밀도는 전체평균값인 1.2 Mg $m^{-3}$ 보다는 높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표토의 경도는 일반작물의 정상생육 범위인 20 mm 보다는 낮게 분포되어 있어, 정상생육에는 크게 지장은 없으나 토양물리성은 전반적으로 악화되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토양물리성 특성별 회귀식에 의한 용적밀도와 경도의 결정계수는 0.325로 용적밀도와 유기물함량의 결정계수 0.093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주요 물리성 지표와 토양유기물 함량과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양의 물리성은 작물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물리성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는 용적밀도와 토양경도 등이었다. 용적밀도와 토양경도가 낮을수록 작물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분석결과 이들 값, 특히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것으로 나타나 밭토양의 물리성 개선을 위해서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by analyz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different soil families of textures at 20 upland fields located in the parts of Gyengsangbuk-do area.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bulk density, hardness, poro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토양의 용적밀도는 토양의 부피에 따른 토양의 무게로서 고상, 액상, 기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토양의 입단구조, 공극량, 용적밀도, 토양 수분 등을 종합하여 대별할 수 있는 것은 토양경도 (Cho and Kim, 1997)로, 경도는 토양의 치밀정도로 외부에서 가하는 저항을 수치화한 것으로 경도가 클수록 뿌리의 생육이 저해되는 것으로 종합적인 토양의 물리성이 나쁘다는 것으로 알려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밭토양 중 재배면적이 많은 토양인 사양질, 미사사양질, 사질 및 식양질 토양을 선정하여, 토양경도와 토양물리성 인자들과의 상호관련성을 보다 명확히 분석하여, 밭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코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이 생장하는데는 어떻게 해주어야 합니까? 식물이 생장하는데는 양․수분과 공기를 필요한 적기에 공급해 주워야 하고 온도 등 모든 재배환경이 작물생육에 불편한 점이 없어야 한다. 토양이 아무리 좋은 양분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토양조건이 단단하거나 물에 잠겨 있으면 작물의 생육은 불량하게 성장한다.
식물생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로 토양 물리성에 지배된다고 할 수 있는데, 작물뿌리의 신장은 어떤 영향을 받으며 생육하나요? 이와같이 식물자체에 필요한 성분은 아니면서도 식물생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로 토양물리성에 지배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작물뿌리의 신장은 토양중의 수분과 양분의 흡수속도 (Hallmark and Barber, 1981a) 및 지하부의 생육에 관여하는 토양은 토양의 입경조성, 수분함량, 경도, 삼상분포, 통기성등의 물리적인 면과 pH, 유기물, 무기물 등 토양의 화학적인 면에 많은 영향을 받아서 생육한다 (Kim, et al., 2003; Yang et al., 2001).
토양이 좋은 양분을 보유해도 불량하게 성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식물이 생장하는데는 양․수분과 공기를 필요한 적기에 공급해 주워야 하고 온도 등 모든 재배환경이 작물생육에 불편한 점이 없어야 한다. 토양이 아무리 좋은 양분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토양조건이 단단하거나 물에 잠겨 있으면 작물의 생육은 불량하게 성장한다. 이와같이 식물자체에 필요한 성분은 아니면서도 식물생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로 토양물리성에 지배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J.H. and K.R. Kim. 1997. Effects of bulk density volumeric water and gravel contents on hardness in prepared sandy loam. Korean J. Soil Sci. Fert. 30:46-50. 

  2. Hallmark, W. and S.A. Barber. 1981a. Root growth and morphology, nutrient uptake and nutrient status of soybean as affected by soil K and bulk density. Agr. J. 73:779-781. 

  3. Hallmark, W. and S.A. Barber. 1981b. Root growth and morphology, nutrient uptake and nutrient status of soybean as affected by soil P and K. Agr. J. 76:209-212. 

  4. Hur, B.K. 1992. The effect of annual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the yield of soybean on the newly-reclaimed sloped land. RDA. J. Agri. Sci. 34:25-29. 

  5. Hur, B.K., L.Y. Kim, I.S. Jo, Y.S. Park, K.T. Um, and M.S. Kim. 1986. Effects of organic matter resources on the soil improvement and crop growth. Korean J. Soil Sci. Fert. 28:7-12. 

  6. Jo, I.S. 1990.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Technical Bulletin 119:1-16. Food & Fert. Tech. Center. Suwon. Korea. 

  7. Jo, I.S. 1991.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ybean growth. Korea Soybean Digest. Vol. 8. No. 2. 

  8. Jo, I.S., B.K. Hur, L.Y. Lee, Y.K. Cho, and K.T. Um. 1987.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fields and plant growth. Korean J. Soil Sci. Fert. 20: 205-208. 

  9. Jo, I.S., L.Y. Kim, N.S. Ju, and J.M. Lee. 1984.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and plant growth. Annual Report of NIAST p. 133-138. 

  10. Kim, L.Y., H.J. Cho, and K.H. Han. 2003. Effects of tile drai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of soils under newly constructed plastic film house. Korean J. Soil Sci. Fert. 36:154-162. 

  11. Kim, L.Y., H.J. Cho, and K.H. Han. 2004.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by organic material application in farm land. Korean J. Soil Sci. Fert. 37:304-314. 

  12. Marinari, S., G. Masciandaro. B. Ceccanti, and S. Grego. 2000. Influence of organic and mineral fertilizers on soil biologycal and physical properties. Bioresour. Technol. 72:9-17. 

  13.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4. Park, C.S. 1978. Effects of organic matterials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crop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11:175-194. 

  15. Park, J.M., H.M. Ro, and K.Y. Kim. 1994.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 composition of the fruit tree in the orchard converted from paddy field. RDA. J. Agri. Sci. 36:277-282. 

  16. Shin, W.K., J.N. Im, K.S. Ryu, and K.T. Um. 1983.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yield in relation to clay content of surface soil. Korean J. Soil Sci. Fert. 16:301-304. 

  17. Singh, A., J.N. Singh, and S.K. Tripathi. 1971. Effect of soil compaction on the growth of soybean. Indian J. Agri. Sci. 41:422-426. 

  18. Taylor, H.M., G.M. Roberson, and J.J. Parker. 1966. Soil strength and root penetration relations for medium to coarse-textured soil material. Soli Sci. 102:18-22. 

  19. Yang, J.E., B.O. Cho, Y.O. Shin, and J.J. Kim. 2001. Fertility status in northeastern alpine soils of south korea with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s. Korean J. Soil Sci. Fert. 34:1-7. 

  20. Yeon, B.Y., H.K. Kwak, B.L. Huh, C.W. Hong, and J.H. Lee. 1997. Influence of long term application of compost, lime and silicate fertilizer on some properties of paddy soil. RDA. J. Agro-Envir. Sci. 39:9-15. 

  21. 농촌진흥청. 1981.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22. 농촌진흥청. 1986. 농업기술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