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토양인 제주통의 분류 및 생성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Jeju Serie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3 no.2, 2010년, pp.230 - 236  

송관철 (국립농업과학원) ,  현병근 (국립농업과학원) ,  문경환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전승종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임한철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이신찬 (제주도 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중산간지대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며 현무암 및 현무암에서 유래된 화산분출쇄설물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And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제주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제주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제주통은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3~2.1%, 인산보유능이 65.3~72.2%, 용적밀도가 0.99~1.27 Mg $m^{-3}$으로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22~150 cm 깊이에서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토층에서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제주통은 argillic층의 상부 15 cm 깊이에서의 유기탄소 함량이 0.9% 이상이므로 Humults 아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기준깊이에서 fragipan, kandic층, sombric층, plinthite 등을 보유하지 않으며, Haplohum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제주통은 무기질 토양 표면에서 75 cm 이내 깊이에서 세토의 용적밀도가 1.0 Mg $m^{-3}$ 이하이고,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0% 이상인 토층의 두께가 18 cm 이상이므로 Andic Haplohumults로 분류할 수 있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제주통은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nds가 아니라 Fine, mixed, themic family of Andic Haplo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 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 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한다. 제주도 서부와 북부 지역에서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고 강우량이 많아져 증발산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Andisols이 생성되기 시작한다. 제주도 북부 중산간 지역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는 제주통은 And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생성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non-Andisols 토양에서 Andisols 토양이 분포하는 전이 지대에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그 특성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Ultisols의 Andic 아군으로 발달되고 있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제주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 층이 생성되고,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인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eju Island is a volanic island which is located about 96 km south of Korean Peninsula. Volcanic ejecta, and volcaniclastic materials are widespread as soil parent materials throughout the island. Soils on the isl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volcanic ash soi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주제어

참고문헌 (25)

  1.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 (ASI). 1992. General remarks of Korean soils. revised edition, 

  2. Hunter, C.R., and A.J. Busacca, 1987. Pedogenesis and surface charge of some Andic soil in Washington. U.S.A. Geoderma. 39:249-265. 

  3. Jeju 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 (JARES). 1991. Climatological report of mid-mountaineous area in Jeju Island. 

  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0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1971-2000). 

  5. Mizota, C., and J. Chapelle. 1988. Characterization of some Andepts and Andic soils in Rwanda, Central Africa. Geoderma. 41:193-209. 

  6. Moon, K.H. 2010. Spatial analysis of soils in Jeju Island. Ph.D.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7.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tion of Korean soils. 

  8. Parfitt, R.L., C.W. Childs, and D.N. Eden. 1988. Ferrihydrite and allophane in four Andepts from Hawaii and implications for their classification. Geoderma. 41:223-241. 

  9. Parfitt, R.L., and J.M. Kimble. 1989.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in soils. Soil Sci. Soc. Am. J. 53:971-977. 

  10. Park, J.B., and K.H. Park. 1996. Petrology and petrogenesis of the Cenozoic alkali volcanic rocks in the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 (1): Petrography, mineral chemistry and whole rock major element chemistry. J. Geol. Soc. of Korea. 32:223-249. 

  11. Song, K.C., and S.H. Yoo. 1991.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I. Characterization of volcanic ash soils by selective dissolution analysis. J. Korean Soc. Soil Sci. Fert. 24:86-94. 

  12. Song, K.C., and S.H. Yoo. 1994.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III.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J. Korean Soc. Soil Sci. Fert. 24:149-157. 

  13. Song, K.C. 1997. Distribution, and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in soils in Cheju Island. Mineralogy and Industry. 10(2):26-45. 

  14. Song, K.C., S.J. Jung, B.K. Hyun, Y.K. Sonn, and H.K. Kwak. 2005. Classification and properties of Korean soils. In NIAST. Fruits and future prospects for soil survey in Korea. p. 35-107. Suwon, Korea. 

  15. Song, K.C., B.K. Hyun, Y.K. Sonn, Y.S. Zhang, and C.W. Park. 2009a.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Jangho series. Korean J. Soil Sci. Fert. 42:330-335. 

  16. Song, K.C., B.K. Hyun, Y.K. Sonn, H.C. Lim, and S.C. Lee. 2009b.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Namweon series, black volcanic ash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42:384-391. 

  17. Song, K.C., B.K. Hyun, K.H. Moon, S.J. Jeon, and H.C. Lim. 2009c.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Korean J. Soil Sci. Fert. 42:478-485. 

  18. USDA, Soil Survey Staff. 1975.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Agric. Handbook 436. USDA-SC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9. USDA, Soil Survey Staff. 1990. Keys to Soil Taxonomy. SMSS Technical Monograph No. 19, 4th ed. USDA-SMSS, Blacksbury, Virginia. 

  20. USDA, Soil Survey Division Staff. 1993. Soil Survey Manual. Agricultural Handbook 18. USDA-NRCS, Washington. 

  21. USDA, NRCS. 1996. Soil survey laborarory methods manual. Soil Survey Investigation Report No.42(revised). USDA-NRCS, Washington. 

  22. USDA, Soil Survey Staff. 1999.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2nd ed. Agric. Handbook 436. USDA-NRCS. CRC Press, Boca Paton, Fla., USA. 

  23. USDA, Soil Survey Staff. 2006. Keys to Soil Taxonomy. 10th ed. USDA- NRCS, Blacksbury, Virginia. 

  24. Weon, J.K. 1983. A study on the quaternary volcanism in the Korean Peninsula - in the Choogayong rift valley. J. Geol. Soc. of Korea. 19:159-168. 

  25. Weon, J.K., and M.W. Lee. 1988. The study on petrology for the quaternary alkali vocanic rock of the Korean Peninsula. J. Geol. Soc. of Korea. 24:181-1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