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was to assess the difference of the amount of tongue coating between halitosis and non-halitosis patients using a digital tongue diagnosis system (DTDS). Methods: Sixty-five patients complaining of oral malodor were recruited for the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설태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설태 변화가 두드러진 질환군의 경과관찰을 위한 DTDS의 임상적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DTDS 는 아직 설질이 창백한 경우에 설태와 설질을 구분 하기 어렵고, 설태의 분포부위만 계산할 뿐 설태가 쌓여있는 두께 자체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불완전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 특히 설 태는 胃氣가 脾濕을 薰蒸하여 생긴 것으로 인식하여 설태의 색의 차이나, 두터운 정도인 厚薄의 감별은胃氣의 유무, 胃液의 존망, 病邪의 성질, 病位의 深淺, 病程의 경중을 알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며 질병 예후 파악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15). 본 연구에 이용된 DTDS는 이러한 육안으로 이루어지는 설진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혀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표준화된 광원을 유지하고, 혀 표면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혀의 구역을 나누고, 설질에서 설태를 추출해서 분석할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4).
  • 저자들은 DTDS를 이용하여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구취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의 설태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①구강내 발생하는 VSC의 측정을 바탕으로 나누어진 구취군과 비구취군 사이의 설태를 WTCI 분획법으로 6등분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구취환자의 설태 특성을 확인하고, ② 설태 변화가 두드러진 구취환자의 경과 관찰에 대한 DTDS의 임상적용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 그러므로 구취 환자의 후방 설태 뿐만 아니라 전후방 설태의 차이도 두드러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설태가 구취의 주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는 것이며, 설태 상태를 백분율로 정량화함으로써 구취 환자의 평균적인 설태 양을 판정하는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는 어떻게 분류되나? 구취는 진성구취 (genuine halitosis), 가성구취 (pseudo halitosis), 및 구취공포증 (halitophobia)으로 분류되는데, 진성구취는 다시 생리적 구취 (physiological halitosis)와 병리적 구취 (pathological halitosis) 로 나눌 수 있다5). 병리적 구취의 85% 이상은 구강내 원인에 기인하며, 구강내 몇 가지 발생 원인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휘발성 황화합물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이 주요한 냄새 물질로 작용한다.
설태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중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그 가운데 혀를 6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각 구역의 설태 점수를 합산하는 Winkel tongue coating index (WTCI)가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11). 하지만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은 관찰자의 주관과 편견을 배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환자를 평가할 때 객관적이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기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구취가 미치는 영향은? 구취는 그 근원과 상관없이 호기 중에 타인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냄새를 뜻하며1), 사회생활이 더 활발해진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정신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대인 관계시 당혹감을 유발 하게 된다2). 유병율에 있어서도 미국에서는 인구의 10%-20%가3), 일본에서는 약 24%가 구취를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입 냄새가 주요 사회적 관심사가운데 하나임을 시사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angerman A. Halitosis in medicine: a review.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2002;52(3):201-6. 

  2. Bosy A. Oral malodour: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spects. Journal of the Canadian Dental Association. 1997;78(9):521-4. 

  3. Meskin LH. A breath of fresh air. Jo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996;127(9):1282-6. 

  4. Miyazaki H, Arao M, Okamura K, Kawaguch Y, Toyofuku A. Hoshi K, et al. Tentative classification of halitosis and its treatment needs. Niigata Dental Journal 1999;32:7-11. 

  5. Yaegaki K, Coil JM. Examination, classificationand treatment of halitosis; clinical perspectives. J Can Dent Assoc. 2000;66:257-61. 

  6. Tonzetich J, Ng S, Sc B. Reduction of malodor by oral cleansing procedur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6;42:172-81. 

  7. Waler SM. On the transformation of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and peptides to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 in the human mouth. Eur J Oral Sci. 1997;105:534-7. 

  8. Kim JS, Ryu B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Halitosis. J Koran Oriental Med 2007;28(2);13-21. 

  9. Shimizu T, Ueda T, Sakurai K. New method for evaluation of tongue-coating status. J Oral Rehabil. 2007;34(6):442-7. 

  10. Lee CH, Kho HS, Chung SC, Lee SW, Kim YK. The relationship between volatile sulfur compounds and major halitosis-inducing factors. JPeriodontol. 2003;74(1):32-7. 

  11. Winkel EG, Roldan S, Van Winkelhoff AJ, Herrera D, Sanz M. Clinical effects of a new mouthrinse containing chlorhexidine, cetylpyridunium chloride and zinc-lactate on oral halitosis. A dual-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Clin Periodontol. 2003;30(4):300-6. 

  12. Kim JS, Jung YJ, Park KM, Park JW. A Digital Tongue Imaging System for Tongue Coating Evaluation in Oral Malodour Patients. Oral Diseases. in press 

  13. Choe YS, Lee CS, Youn JY. Standalone breath analyzer for measuring halitosis. Breath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reath and Breath Odor Research. Book of Abstracts. 2009:88. 

  14. Eo YH, Yoo HS, Kim JY, Park KM. Quantative Study on Tongue Images according to Exterior, Interior, Cold and Heat Patterns. J Korean Oriental Med 2006;27(2):134-44 

  15. Kim KR, Hong S, Kang HJ. The Literary Study on The History of 'Fur of Tongue'. the Korean Society for Oriental Internal Medicine. 1999;20 (2):306-22. 

  16. Bosy A, Kulkarni GV, Rosenberg M, McCulloch CAG. Relationship of oral malodor to periodontitis: evidence of independence in discrete subpopulations. J Periodontol 1994;65:37-46. 

  17. Miyazaki H, Sakao S, Katoh Y, Takehara T.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phur compounds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Periodontol 1995;66:679-84. 

  18. Gomez SM, Danser MM, Sipos PM, Rowshani B, van der Welden U, van der Weijden GA. Tongue coating and salivary bacterial counts in healthy/gingivitis subjects and periodontal patients. J ClinPeriodontol 2001;28:970-8. 

  19. Shimizu T, Ueda T, Sakurai K. New method for evaluation of tongue-coating status. J OralRehabil 2007;34:442-7. 

  20. Rosenberg M, Kozlovsky A, Gelernter I, Cherniak O, Gabbay J, Baht R, et al. Self-estimation of Oral Malodor. J Dent Res. 1995;74(9): 1577-82. 

  21. Rosenberg M, McCulloch C. Measurement of Oral Malodor : Current Method and Future Prospects. J Periodontol. 1992;63:776-82. 

  22. Furne J, Majerus G, Lenton P, Springfield J, Levitt DG, Levitt MD. Comparis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 Concentrations Measured with a Sulfide Detector vs. Gas Chromatography. J Dent Res 2002;81(2):140-3. 

  23. Yaegaki K, Calenic B, Takatoshi M. A portable gas chromatography for detecting VSCs in human breath air. Breath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reath and Breath Odor Research. Book of Abstracts. 200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