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3 no.2, 2010년, pp.187 - 196  

김하송 (고구려대학 한약자원개발과)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조사는 2006년 6월 9일부터 2008년 12월 30일까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지역중 여수시 금오도, 거문도, 고흥군 외나로도, 완도군 청산도, 소안도, 보길도, 진도군 하조도, 신안군 우이도, 흑산도, 홍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5과 100종이 조사되었다.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82종이 조사되어 전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진도군 하조도에서 68종, 흑산도와 금오도에서 각각 52, 55종으로서 비교적 많이 분포하며, 신안군 우이도에서 34종이 홍도에서 42종이 나타나, 조사지역중에서 상대적으로 귀화식물이 적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종은 오리새, 호밀풀, 큰이삭풀, 돌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유럽나도냉이,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아까시나무, 토끼풀, 덩이괭이밥, 자주괭이밥, 코스모스, 개망초, 실망초, 망초, 개쑥갓,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26종이 나타났다. 귀화식물 분포특성을 생육지의 특성에 따라 조림지역, 해수욕장, 항구, 공한지(나대지) 주변지역, 도로경계 주변지역, 도로절개지, 비탈면 주변지역, 폐경작지 지역, 쓰레기매립장 주변지역, 습지 주변 지역 등 7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주요 귀화식물 분포를 비교하였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은 국립공원내의 독특한 자연경관, 생물종, 식생경관,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하여 귀화식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10 islands (Kumodo and Komundo in Yeosu City; Oinarodo in Goheung County; Chongsando, Soando, and Pogildo in Wando County; Chodo in Jindo County; Uido, Huksando, and Hongdo in Shinan County) were surveyed to confirm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from June 2006 to December 2008. A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을 조사함으로서 국립공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조사는 2006년 6월 9일부터 2008년 8월 10일까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지역 중, 여수시 금오도, 거문도, 고흥군 외나로도, 완도군 청산도, 소안도, 보길도, 진도군 하조도, 신안군 우이도, 흑산도, 홍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현지답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관속 식물 이상을 대상으로 Lee(1990), Makino(1979), Terasaski(1977), Ohwi(1984) 및 Park(1995, 2001) 등의 문헌을 통하여 동정하였고, 조사자료를 종합하여 귀화식물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화식물이란 무엇인가? 귀화식물은 인간, 동물, 화물 등의 매개에 의하여 해외의 자생지로부터 국내에 유입되어 우리나라 국토에서 야생하게 된 식물과, 정책에 의한 의도적인 수입재배종이 자연에 逸出되어 야생화된 식물이다(Park, 1995). 귀화식물의 분포는 인문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그들의 분포는 기존 식물상 또는 식생의 조성, 자생종과의 경쟁에서 나타나는 생태적 지위 등을 반영하는 것으로써(Yim and Chun, 1980), 이들은 우리나라의 생육환경에서 자라오지 않았지만, 적응력이 강하여 살아 남은 개체들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서식영역의 확장 속도가 매우 빠르며, 선택하는 생육지의 환경조건도 매우 광범위하다(Koh et al.
귀화식물을 국내에서는 어떤 말로 같이 표현되고 있는가? 국내에서는 외래종, 도입종, 침입종, 귀화종, 이주종, 비토착종, 비자생종 등과 같이 표현되고 있으며(Park et al., 2001), 귀화식물은 외국 혹은 국내의 다른 지역에서 들여 온 모든 종의 총칭으로서 모든 귀화식물과 외국도입 재배종, 귀화 전단계의 종을 포함한다(Koh et al.
도로경계주변의 주요 귀화식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도로경계주변은 빛, 광량이 많고, 토양층이 얕으며, 차량통행과 답압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는 환경조건이다(Kim, 2006). 주요 귀화식물은 호밀풀, 큰이삭풀, 토끼풀, 큰김의털 등이며 부분적으로 코스모스와 기생초, 노랑코스모스, 족제비싸리 등이 나타났다. 조사지역에서는 일정한 밀도로 도로 경계부를 따라 좁은 틈을 따라 선모양으로 길게 분포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ng, S.W, M.H. Kim. and T.H. Noh. 2004.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egement Plan for Abating the Threats from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02. pp.325.(in Korean) 

  2. Groves, R.H. and J.J. Burden 1986. Ecology of biological invasions, Cambridge Univ. Press. pp.137-149 

  3. Jung, T.H. 1965. Korean Flora(Tree. Herbs). Samhwa Pub. Co. Seoul. 1,824 pp.(in Korean) 

  4. Kim, C.S. and J.G. Oh. 1992.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V) -The Vegetation of Soando and Chongsando-.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9:1-29.(in Korean) 

  5. Kim, C.S. and J.G. Oh. 1995. The Vegetation of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Chollanamdo. pp.372.(in Korean) 

  6. Kim, C.S. Y.U. Park, Y.S. Yang and J.G. Oh. 1990.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 The Vegetation of Komundo -.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7:1-23.(in Korean) 

  7. Kim. C.S, J.G. Koh. G.P. Song, M.O. Moon, J.E. Kim, E.J. Lee, S.I. Hwang. and J.H. Jeong. 2006.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Korea. Korean J. Plant Res. 19(5):640-648.(in Korean) 

  8. Kim. H.S. 2006. Ecological Studies on the Changes of Community of Naturalized Plants in Limja Island, Shinan Gun. Korean J. Plant Res. 19(5):586-591.(in Korean) 

  9. Kim. H.S, B.S. Ihm, J.S. Lee. and J.W. Kim. 1998. Ecological Studies on the Flora and Community of Naturalized Plants in Kumho-island. The J. of Korean Island. 9:139-146.(in Korean) 

  10. Kim. H.S, B.S. Ihm, J.S. Lee. and J.W. Kim. 2002. Ecological Studies on the Naturalized Plants in Anmado. The J. of Korean Island. 14(2):33-42.(in Korean) 

  11. Kim. H.S, B.S. Ihm, J.S. Lee. and S.H. Park. 2003.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bandoned Salt Field in Gasado. Kor. J. Env. Eco. 17(2):123-132.(in Korean) 

  12. Kim. H.S, D.O. Lim. and M.S. Park. 2007.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Naturalized Plants in Jeollanamdo, Korea. Korean J. Plant Res. 20(4):353-361.(in Korean) 

  13. Kim. H.S. 1999. Ecological Studies on the Flora and Community of Naturalized Plants in Limjado. The J. of Korean Island. 10:21-28.(in Korean) 

  14.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E.S. Chun and Y.M. Lee. 1997.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J. Kor. Biota. 2:139-164.(in Korean) 

  15. Koh, K.S, J.G. NA, M.H. Suh, J.H. Kil, Y.B. Ku, J.H. Yoon. and H.K. Oh. 2000. The Effects of Alien Plants on Ecosystem and Their Management(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96.(in Korean) 

  16. Koh, K.S, M.H. Suh, J.H. Kil, Y.B. Ku, H.K. Oh, M.H. Yeon, S.H. Park. and Y.H Yang. 2004. Research on the Effects of Alien Plants on Ecosystem and Their Management(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6:105-117.(in Korean) 

  17. Koh, K.S, M.H. Suh, J.H. Kil, Y.B. Ku, H.K. Oh, S.G. Suh, S.H. Park and Y.H Yang. 2002. Research on the Effects of Alien Plants on Ecosystem and Their Management(I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4:121-133.(in Korean) 

  18. Koh, K.S, M.H. Suh, J.H. Kil, Y.B. Ku, H.K. Oh, S.H. Park. and Y.H Yang. 2003. Research on the Effects of Alien Plants on Ecosystem and Their Management(I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5:125-137.(in Korean) 

  19. Lee, C.B. 199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990.(in Korean) 

  20. Lee, D.B. and Y.C. Kim. 1961. Introduction Study of American Origin plants. J. of Plant Biology. 4:25-30.(in Korean) 

  21. Lim, D.O, H.S. Kim. and M.S. Park. 2009.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North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Korea. Kor. J. Env. Eco. 23(6):506-515.(in Korean) 

  22. Makino, T. 1979. Makino's new illustrated Flora of Japan, Tokyo(in Japanese) p.1137. 

  23. Mooney, H.A. 1996. The SCOPE initiatives: The background and plans for a global strategy on invasive species. pp.30-37. 

  24. Newsome, A.E. and I.R. Noble 1986. Ecological of Biological Invasions(Ed., R.H. Groves and J.J. Burdon, Cambridge Univ. Press). pp.1-33. 

  25. Ohwi Jisaburo. 1984. Flora of Japan. p.1066. 

  26. Park, S.H. 1994. A Study on Naturalized Plants introduced into Korea. Nature conservation. 85:39-49.(in Korean) 

  27.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ok. pp.371.(in Korean) 

  28.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supplement edition). Seoul. Ilchokok. pp.178.(in Korean) 

  29. Park, S.P. and J.J. Oh. 2002.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 due to Embankment at the Bay Mouth of Anmado. The J. of Korean Island. 14(2):43-54.(in Korean) 

  30. Terasaski, T. 1977. Terasaki's illustrated Flora of Japan, Tokyo (in Japanese) p.1181. 

  31. Yang, Y.H, S.H. Park. and M.H. Kim. 2001. The Flora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14(3):277-285.(in Korean) 

  32. Yang, Y.H. 1998. Distribution Survey on Naturalized Plants in Chejudo. Nature Conservation. 102:47-54.(in Korean) 

  33. Yim, Y.J. and E.S. Chu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of Plants Taxonomy. 22:69-83.(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