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 초본이 107 분류군(42.13%)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생육형 구성은 직립형이 79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1.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결과 휴면형 구성은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2%)의 순이었다. 원산지별 구성은 유럽이 115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아시아가 69 분류군(22.0%), 북아메리카가 59 분류군(18.8%)의 순이었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혼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 초본이 107 분류군(42.13%)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생육형 구성은 직립형이 79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1.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결과 휴면형 구성은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2%)의 순이었다. 원산지별 구성은 유럽이 115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아시아가 69 분류군(22.0%), 북아메리카가 59 분류군(18.8%)의 순이었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혼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otal of 254 taxa including 47 families, 161 genera, 248 species and 6 varieties. By the growth habits, annuals held the most percentage including ...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otal of 254 taxa including 47 families, 161 genera, 248 species and 6 varieties. By the growth habits, annuals held the most percentage including 107 taxa (42.13%). Seventy nine taxa (31.1%) were appeared to have erect type in growth forms and 203 taxa (79.9%) are non-clonal growth form in disseminule forms by radicoid. The most of dormancy form in life form were therophytes as 150 taxa (59%), and following as 53 taxa (20.9%) for hemicryptophytes, and 26 taxa(10.2%) for geophytes.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115 taxa (36.7%) were originated from Europe, 69 taxa (22%) from Asia and 59 taxa (18.8%) from North America. Twenty eight percent of them were introduced as feeds or mixed seeds of imported cereals.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otal of 254 taxa including 47 families, 161 genera, 248 species and 6 varieties. By the growth habits, annuals held the most percentage including 107 taxa (42.13%). Seventy nine taxa (31.1%) were appeared to have erect type in growth forms and 203 taxa (79.9%) are non-clonal growth form in disseminule forms by radicoid. The most of dormancy form in life form were therophytes as 150 taxa (59%), and following as 53 taxa (20.9%) for hemicryptophytes, and 26 taxa(10.2%) for geophytes.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115 taxa (36.7%) were originated from Europe, 69 taxa (22%) from Asia and 59 taxa (18.8%) from North America. Twenty eight percent of them were introduced as feeds or mixed seeds of imported cereal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외래식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생태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해 외래식물의 위해성 구명과 함께 생태계 관리방법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중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목록을 작성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문헌자료(Yim and Jeon, 1980; Park, 1995; Yang etal., 2001a; Kang and Shim, 2002; Park etal., 2002; Kim etal., 2006a)를 조사하였으며, 2000년도부터 2005년도까지 야외조사와 표본제작을 병행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표본은 lee(1980), Park(1995), Lee(1996), Nfekino(2000), 아Mnizu(2003)등에 따라 동졍하였으며, 본연구에 사용된 모든표본은 난대산림연구소 표본실에 보관하였다.
이론/모형
생활형 중휴면형(dormancy form)eRauraer(]934),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 과생육형(growthform) eLee(1996)에 의해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2001) 은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 31과 111 속 178종 101변종에 대한목록과 함께 생활형, 원산지, 도입시기 등을 밝히면서 제주도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국화과 43분류군(23%), 벼과 27분류군(14%), 콩과와십자화과각각 15 분류군( 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원산지별로는 북아메리카가 가장 많았다고 하였다. 또한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는 188분류군 중에서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것은 97분류군 제주도에만 분포하고 있는 것은 37 분류군임을 밝히고, 원산지별로는유럽 64분류군(35%), 아메리카지역 85분류군 (45%), 아시아지역 19분류군(10%) 임도밝힌 바 있다. 그러나 그 외의 대부분의 보고들은 전국의 일부로 다루고 있어서 제주지역의 생태계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들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1년생 초본이 107분류군(42.1%)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다년생 초본 8.분류군 (31.5%), 2년생 초본 54분류군(21.3%), 만경식물 9분류군(3.5%), 그리고 교목과 만경식물이 각각 2분류군(0.8%) 의 순이었다( Table 3). 이것은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중 1년생 식물 48.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초본이 107 분류군(42.13%)으로가장큰비율을차지하였으며, 생육형 구성은 직립형이 79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L1%를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결과 휴면형구 성은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2%)의 순이었다 원산지별 구성은유럽이 115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다옴은 아시아가 69 분류군(2 2.0%), 북아메리카가 59 분류군(1&8%)의 순이었다 도입 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혼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원산지별구성은유럽이 115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다음은 아시아가69 분류군(22 .0%),]메리카가59 분류군(18.8%), 남아메리카가52 분류군(16.6%), 아프리카가 12 분류군(3.8%)의 순이었으며, 6 분류군(1.9%)은 원산지가 불명확하였다(Fig. 2). 이것은 전국의 귀화식물 원산지 구성이 유럽 41.
이를 합한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Table 1).
제주지역 외래식물의 과구성eTable 2와같았!다.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47개 과중 국화과가48 분류군으로 18.9%를 차지하여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벼과가 37 분류군으로 14.6%, 콩과가 20 분류군으로 7.9%, 십자화과가 16분류군으로 6.3%, 가지과가 15 분류군으로 5.9%, 아욱과가 12 분류군으로 4.7%, 마디풀과가 9 분류 군으로 3.5%, 비름과와 메꽃과가각각8 분류군으로3.2%, 명아주 과와 석죽과가 각각 7 분류군으로2.8%, 현삼과가 5분류군으로2.0%, 바늘꽃과 장미과, 대극과, 산형과가각각 4분류군으로 1.6%, 붓꽃과 와쥐손이풀과가 각각 3분류군으로 1.2%의 순이었다( Table 2). 이는Yang et (2001a) 이 제주도 외래식물의 과 구성이 국화과 23%, 벼과 14%, 콩과8%, 십자화과 8%의 순이라고 보고한 것과비교할 때 구성 비율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순위에 있어서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전국의 귀화식물 과 구성에서 국화과 23.
제주지역에 분포하는외래 귀화식물은단자엽식물이 10 과40속 51 종이었으며, 쌍자엽식물은 37과 121속 197종 6변종으로 203 분류군이었다. 이를 합한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Table 1).
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초본이 107 분류군(42.
참고문헌 (30)
Kang, B.H. and S.I. Shim. 2002. Research reports: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 J. Weed Sci. 22: 207-226 (in Korean)
Kim, C.-S., Y.J. Kang, M.O. Moon, G.P. Song, S.H. Cheong, J,K. Oh and W.B. Kim. 2006a. The lists of animals and plants of Mt. Hallasan. Jeju-do Prov. & Hallasan Ecology and Culture Institute, Jeju (in Korean)
Kim, C-S., G.P. Song, M.O. Moon, E.J. Lee and C.H. Kim. 2006b.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Papaver setigerum DC. (Papaveraceae) and Veronica serpyllifolia L. (Scrophulariaceae). Kor. J. Plant Taxon. 36(2): 147-153 (in Korean)
Kim, M.H. 1985. Flora of vascular plant in Cheju-do.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Hallasan (Mountain) natural preserve, pp. 246-298 (in Korean)
Lee, D.B. 1957. Flora of Cheju Island. Theses Coll. Korea Univ. (Coll. Lib. & Arts) 2: 339-412 (in Korean)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ic Press, Seoul (in Korean)
Lim, D.O., Y.M. Ryu and I.C. Hwang. 2004.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 J. Environ. & Ecol. 18(3): 288-296 (in Korean)
Makino, T. 2000. Newly Revised makino's illustrated flora of Japan. The Hokuryukan Co., Tokyo (in Japanese)
Nakai, T. 1914. Flora of Quelpaert and Wando Island. Govern. Chosen, Seoul (in Japanese)
Park, M.K., K.C. Oh, B.K. Park, Y.N. Lee, E.C. Lee and C.S. Yook. 1964. Plants of Hallasan mounta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Hanlasan and Is. Hongdo, pp. 59-153 (in Korean)
Park, S,H., J.H. Shin, Y.M. Lee, J.H. Lim and J.S. Moon. 2002. Distribution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216 (in Korean)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lchogak, Seoul (in Korean)
Park, S.H., J.H. Kil and Y.H. Yang. 2003. Unrecorded and naturalized plants in Korea (18). Kor. J. Plant Taxon. 33(1): 79-90 (in Korean)
Pimentel, D., Lach, L., Zuniga R. and Morrison, D. 2000. The economics of biological invasions. Elgar, Cheltenham
Pysek, P. 1995. Plant Invasions: General Aspects and Special Problems (Pysek, P.et al. (eds.). Academic Pub., Amsterdam
Randal, J. 1999. Non-Governmental organisation perspective on invasive species management. Paper presented at the GISP workshop on Management and Early Warning Systems, Kuala Lumpur, Malaysia, 22-27 March 1999
Raunkiaer, C.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Sherly G. 2000. Invasive species in the pacific: a technical review and draft regional strategy. South Pacific Regional Environment Programme (SPREP), Samoa
Shimizu, T. 2003. Naturalized plants of Japan.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in Japanese)
Sun, B.Y. C.H. Kim and T.J. Kim. 1992. Naturalized weed and new location of plant to Korean flora. Kor. J. Plant Taxon. 22(3): 235-240 (in Korean)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our. Bot. 23(3-4): 69-83 (in Korean)
Zerbe, S., I.K. Choi and I. Kowarik. 2004. Characteristics and habitats of non-native plant species in the city of Chonju, southern Korea. Ecological Research 19: 91-9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