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알코올과 한천을 첨가한 녹차다식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Containing Sugar Alcohol and Aga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2, 2010년, pp.146 - 154  

한영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원석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Dasik through the addition of sugar alcohol(xylitol, mannitol, sorbitol, erythritol) and agar during the production of Dasik in order to complement the texture of Dasik. Dasik sample were prepared, and the sensory qualit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식 제조의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구입이 용이하며, 녹차 분말 첨가시 다른 전분류와 섞어서 제조 했을 때 보다 녹색이 두드러지는 감자전분(건조감자전분 100%)을 주재료로 이용하였으며,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항충치 효과를 갖는 당알코올을 다식의 결착제로서 첨가하여 녹차다식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당알코올 첨가에 따른 다식의 조직감을 개선하기 위하여(노봉수, 김상용 2000) 한천을 첨가하고 이에 따른 다식의 품질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다식의 항 구강세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다식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 시도를 위해 녹차다식에 항충치 효과가 있는 당알코올을 첨가하고, 당 알코올 첨가에 따른 다식의 조직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 천을 첨가하여 다식을 제조하였고, 올리고당과 설탕시럽을 첨가한 녹차다식을 대조군으로 하여 이화학적 특성, 기계적 조직감 특성, 다식의 색도를 측정하였으며,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당알코올을 첨가한 녹차다식의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당알코올을 첨가한 녹차다식의 물성을 개선하고자 한천을 첨가하여 제조한 다식의 수분 함량은 전체적으로 30% 이상을 나타내어 설탕, 올리고당을 첨가한 대조군보다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식이란? 다식은 ‘식품재료를 고운가루로 하여 응집제를 넣어 반죽하고 다식판에 박아내는 것이다’라고 정의되며 17세 이후부터 전해져 지금까지 계승되어오고 있다. 다식의 제조법은『증보산림경제』(1766)에서 처음 소개되었다(Moon JS 2002).
다식의 제조법이 처음 소개된 곳은? 다식은 ‘식품재료를 고운가루로 하여 응집제를 넣어 반죽하고 다식판에 박아내는 것이다’라고 정의되며 17세 이후부터 전해져 지금까지 계승되어오고 있다. 다식의 제조법은『증보산림경제』(1766)에서 처음 소개되었다(Moon JS 2002).
다식의 주재료는? 다식은 다식의 이름을 결정짓는 주재료와 이를 엉기게 하는 응집제, 색을 내는 성분, 맛을 내는 양념이 이용 된다. 주재료는 다양한 곡류, 두류, 종실류 및 견과류 등이 사용되며, 이 중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는 흑임자, 송화, 콩, 참깨, 녹두녹말, 황율, 칡, 생강, 마, 꽃가루 등의 식물성 재료들이다(Lee GJ 등 1999). 또한 다식의 색소로는 오미자나 잇꽃의 꽃잎으로 만든 붉은 색의 연지 등 식물의 천연색을 얻어 만들기도 하였다(강인희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인희, 조후종, 이춘자, 이효지, 조신호, 김혜영, 김종태. 1997. 한국음식대관 제 3권(떡, 과정, 음청).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서울. pp 102 

  2. 노봉수, 김상용. 2000. 당알코올의 특성과 응용. 아세아문화사. 서울. pp 33-101 

  3. Choi WS 2009.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Doctorate thesis. The sungshin women's university of korea. 

  4. Chung ES, An HA. 2002. Acceptabi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Dasik according to the kinds of sugar. K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3):210-217 

  5. Chung ES, Park GS. 2002. Effect of additiv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Food Cookery Sci 18(2): 225-231 

  6. Han YS.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113-121 

  7. Jung EJ, Woo KJ. 2005.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by addition of chitosan-oligosaccharide. K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2):300-305 

  8. Jung IC, Na HY, Lee YH, Park SH. 2007. Developm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asik made from gastrodiaerhizoma. K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2):250-257 

  9. Kim EM, Kim HS. 2001. A Study on Setting the Shelf Life of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Cookies : Rice Yoogwa, Sesame Yoogwa and Yackwa. Korean J Food Cookery Sci 17(3):35-42 

  10. Kim HJ, Chun HS, Kim HY. 2004. Effects of corn syrup with different dextrose equivalent on quality attributes of black seame Dasik. J Korean Soc Food Sci & Nutr 33(8):1414- 1417 

  11. Kim HS, Yoon JY. 2004. Effects of various sugar alcohols on the sensory properties of Mulberry rice cak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5):98-106 

  12. Kim HS, Kim CH, Lee YS, Kim HY.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processing with varied levels of oligosaccharide. Koran J Food Culture 22(5):615-620 

  13. Kim JE.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with added silkworm powder. K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2):221-225 

  14. Kim JS, Han YS, Yoo SM, Kim SR, Chun HK.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me Dasiks according to amount and the kind of sweetener. Korean J Food Cookery Sci 19(3): 280-285 

  15. Kim MY. 2000. Relative sweetness of sucralose in various food system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 calorie foods containing sucralose.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16. Kim YH. 1981. A study on the caries potentiality of korean foods. J Korean Acad Dent Health 5(1):35-51 

  17. Kye SH, Yoon SI, Lee C. 1987.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by housewives. Koran J Food Culture 2(2):103-116 

  18. Lee HG, Chung RW, Cha GH. 200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pine leaves powder and different of sweetnes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661-669 

  19. Lee GJ,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ulinary characteristics of dasik. Koran J Food Culture 14(4):395-403 

  20. Lee HG, Yoon SS. 1986.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an J Food Culture 1(3): 197-210 

  21. Lee JH, Woo KJ, Choi WS, Kim AJ, Kim MW.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 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5):629-636 

  22. Lee KY, Cho HS, Yoon JW, Hae TR, 1993.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agent of dental caries from biological active materials. I. Development of disc PAHA for an artificial tooth and preventive effect on dental caries from plant extrac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8(2):126- 132 

  23. Lee MY, Yoon SJ. 2006.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 dasik with added acorn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 849-854 

  24. Lee SY, Kim KO. 1986. Sensory Characteristics of Packsulkis (Korean traditional rice cakes) Containing Various Sweetening Ag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8(4):325-328 

  25. Moon JS. 2002. Study about historical consider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sik and manufacturing pine pollen powder containing oligosaccharide. MS thesis. The Sungshin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ultural Industry pp 5-32 

  26. Noh BS. 2002. Characteristics of palatinose and its application. Korea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2):31-34 

  27. Yoon JY, Kim HS. 2003. Effect of xylitol and erythrito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za tea. Korean J Food Cookery Sci 19(6):737-744 

  28. Yun GY, Kim MA. 2006. The effect of red ginseng powder on quality of dasik. Koran J Food Culture 21(3):325-329 

  29. Yun GY, Kim MA, Hyun JS. 2005.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quality of dasik. Koran J Food Culture 20(5):532- 537 

  30. Yoon SJ, Noh KS. 2009. The effect of lotus leaf powder on the quality of dasi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1):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