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구아바 잎 추출물을 첨가한 크래커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Crackers Made with a Guava(Psidium guajava Linn.) Leaf Extract Harvest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2, 2010년, pp.171 - 179  

허예진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기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 ,  최해연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순임 (숙명여자대학교 나노바이오소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rackers made with a guava(Psidium guajava Linn.) leaf extract harvested in Korea. Guava leaf extraction using boiling wat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tive activities than extracting using 70% ethanol based 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구아바 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크래커에 대해 BHT를 첨가한 크래커와 함께 비교하기 위해 Schaal oven법에 의해 산화안정성을 시험하면서 항산화 활성측정 및 관능검사를 통해 맛과 품질이 우수한 식품을 개발하여 천연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구아바 잎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구아바 잎 추출물을 크래커에 첨가하여 항산화 활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열수를 이용한 구아바 잎 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 FRAP, ABTS+ 라디칼 소거능실험에서 70% 에탄올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아바 잎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 잎에는 정유(essential oil)가 풍부하며, 그 외 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계의 페놀성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어 그 기능성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Jaiarj P 등 2000). 구아바 잎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저용량 Streptozotocin(STZ)으로 유도된 당뇨모델 생쥐에서 발효 구아바 잎 추출물의 고혈당 억제 효과(Jin YJ 등 2006), 구아바 잎의 가공방법에 따른 품질특성(Hong CS 등 2007),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Yang HJ 등 2008), STZ으로 유도된 당뇨모델 생쥐에서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Roh SG 등 2009)등의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구아바 잎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추출물을 식품에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대개 구아바 잎은 차로 우려먹음으로써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대개 구아바 잎은 차로 우려먹음으로써 폴리페놀 성분에 의해 고혈당 저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Deguchi Y 등 2000). 이러한 구아바 잎은 녹차와 향미가 유사하나 떫은맛이 더 강하여 차로 먹을 때 거부감 줄 수 있으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녹차 등은 후미에 쓴맛을 지니고 있어 식품에 첨가할 시 항산화력과 관능적인 요소를 만족하여야한다(Park KB 등 2003).
구아바 잎에는 어떤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가? 구아바(Psidium guajava Linn.) 잎에는 정유(essential oil)가 풍부하며, 그 외 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계의 페놀성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어 그 기능성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Jaiarj P 등 2000). 구아바 잎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저용량 Streptozotocin(STZ)으로 유도된 당뇨모델 생쥐에서 발효 구아바 잎 추출물의 고혈당 억제 효과(Jin YJ 등 2006), 구아바 잎의 가공방법에 따른 품질특성(Hong CS 등 2007),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Yang HJ 등 2008), STZ으로 유도된 당뇨모델 생쥐에서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Roh SG 등 2009)등의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식품의약품안정청. 2008. 식품공전. 제5 식품별 기준 및 규격. 서울. p 42-44 

  2. 식품위생관련법규편찬위원회. 2005. 제2편 식품 등의 기준 및 규격: 4. 식품별 기준 및 규격. p 253. In: 식품위생관련법규. 식품위생관련법규편찬위원회. 효일. 서울 

  3.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958):1199-1200 

  4. Cao G, Sofic E, Prior RL. 1996. Antioxidant capacity of tea and common vegetables. J Agri Food Chem 44(11):3426-3431 

  5. Chen HY, Yen GC.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extracts from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Food Chem 101(2):686-694 

  6. Chung HJ. 2009. Influence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4(1):60-65 

  7. Deguchi Y, Osada K, Chonan O, Kobayashi K, Oohashi A, Kitsukawa T, Watanuki M, Ooni M, Nakajima K, Hata Y. 2000. Effectiveness of consecutive ingestion and excess intake of guava leaves tea in human volunteers. J Jpn Council Adv Food Ingred Res(in Japanese) 3:19-29 

  8. Ha KH. 1995. Natural antioxidants. J Korean Soc Food Nutr 8(2):135-144 

  9. Hong CS, Yoon SR, Lee GD, Kim MO, Kim HK, Kwon JH. 2007. Quality propertie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processed using different methods. Korean Soc Food Preserv 14(6):605-610 

  10. Jaiarj P, Wongkrajang Y, Thongpraditchote S, Peungvicha P, Bunyapraphatsara N, Opartkiattikul N. 2000. Guava leaf extract and topical haemostasis. Phytother Res : PTR 14(5):388-391 

  11. Jin YJ, Kang SH, Choi SY, Park SY, Park JG, Moon SW, Park DB, Kim SJ. 2006. Effect of fermented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extract on hyperglycemia in low dose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J Korea Soc Food Sci Technol 38(5):679-683 

  12. Kim HD, Jeong MS. 2006. The foretasting experience of herbs an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rosemary and mints. Korean J Culinary Res 12(2):222-235 

  13. Kim JH, Yoon SJ, Lee KH, Kwon HJ, Chun SS, Kim TW, Cho YJ. 2005.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basil (Ocimum basilicum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2):173-177 

  14. Kim JS, Kim TY, Kim SB. 2006. Evaluation of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Kangjung added with grom well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Nutri 35(6):791-800 

  15. Ku KM, Kim HS, Kim BS, Kang YH.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pepper leaves from various cultivars and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J Appl Biol Chem 52(2): 70-76 

  16. Lee KS, Kim MG, Lee KY.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2):182-186 

  17.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6):1226-1232 

  18. Nam JH. 1994. Effects of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ocopherol contents and lipid peroxidation of plasma and tissue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Food Nutr 7(4): 373-382 

  19. Park BH, Cho HS, Kim KH, Kim SS, Kim HA. 2008.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 (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452-459 

  20.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94-102 

  21. Park BH, Choi HK, Cho HS. 2001.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made of aqueous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3): 557-564 

  22. Park KB, Han GH, Kim BY. 2003. Utilization of the natural antioxidants for the anti-peroxidation of almond crack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131-136 

  23. Roh SG, Kim KH, Choi WC. 2009. Antidiabetic effects of leaves extracts of Psidium guajava L. and Lagerstroemia speciosa L. in STZ-induced Rats. J Life Sci 19(1):40-45 

  24. Siddhuraju P, Becker K. 2007. The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ocessed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seed extracts. Food Chem 101(1):10-19 

  25.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1):63-68 

  26.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Hawkins Byrne D. 2006.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6-7): 669-675 

  27. Yang HJ, Kim EH, Park SN. 2008.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4(3):233-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