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고기 식용이 위생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ogmeat Eating on Sanitation and Food Waste Consump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1, 2010년, pp.124 - 133  

안용근 (충청대학 식품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otal number of the dogs bred in Korea as of 2007 was 1,917,709, and among them, 77%, 1,476,776 dogs were edible dogs. Dogmeat has been legalized edible as food from Choseon dynasty, Daehan imperial state, Japan-occupied era till the present Korea. Dogs had been included in the article 2, Enfo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본고는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및 현재의 개고기 식용에 대한 법률을 분석하여 개의 도축과 식용의 합법성을 밝히고, 식용견이 배설하는 분뇨, 도축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황을 분석하여 식용견이 우리나라 음식물 쓰레기의 상당 부분을 처리한다는 사실을 밝힌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도 기준 국내에서 기르는 개의 수는? 2007년도 기준 우리나라에서 기르는 개는 1,917,709마리이고, 그 중 77%인 1,476,776마리가 식용견이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개고기는 법적으로 정식 식육이었다.
개고기의 효능은? 개고기는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며, 정력과 기력을 증진시키고 오로칠상(五勞七傷) 등 몸이 상했을 때 몸을 보하며,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누렁이개 고기가 가장 좋고 검둥이개가 중간, 흰둥이개가 그 다음이고 누렁이개는 여자에게 좋고, 검둥이개는 남자에게 좋다고 하였다(허준 1610).
조선 시대 개고기 요리는 어떤 문서에 수록되어 있는가? 조선시대에 개고기는 정식 식육이었고, 음식으로는 개장국, 개찜, 동아개찜, 느르미, 개순대, 무술주, 무술당, 무술환, 간요, 수육, 개고기포, 연봉찜, 편육 등의 요리가 있었다. 이들 요리는 음식디미방, 산림경제, 고사십이집, 고사신서, 증보산림경제, 해동농서, 규합총서, 임원십육지, 농정회요, 오주연문장전산고, 부인필지, 동의보감 등에 수록되어 있다. 그래서 풍속적인 금기는 몇 가지 있어도 개고기를 먹지 말라는 법은 없었다(안용근 2000; Ann YG 1999; Kim TH 1989a; Kim TH 1989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8957호 

  2.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680호 

  3.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환경부령 263호 

  4.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이용 촉진에 관한 규칙 농림수산식품부령 

  5. 경인매일신문. 2003.8.10 

  6. 관세청 무역통계 http://www.customs.go.kr/ 2010.1.10 방문 

  7.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09.5.22. '08년 동물등록 및 유기동물 처리현황. 

  8. 농협중앙회. 2009. 축산사이버컨설팅 가축분뇨처리. http://live stock.nonghyup.com 2010.1.5일 방문 

  9. 김일배. 2004.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사업 타당성조사, pp.39, 울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10. 농림수산식품부. 2008. 기타가축통계 pp.30-31 

  11. 농림수산식품부. 1975. 고시 제2,698호 

  12. 농림수산식품부. 1976. 고시 제2,900호 

  13. 농림수산식품부. 1978. 고시 제3,005호 

  14. 大韓帝國. 1909. 屠獸規則 

  15. 大韓帝國. 1909. 慶尙北道令 獸肉販賣取締規則 

  16. 大韓帝國. 1909. 慶尙北道令 第8號 屠獸規則施行細則 

  17. 大韓帝國. 1910. 江原道令第1號 獸肉販賣營業取締規則 

  18. 大韓帝國. 1910. 平安北道令 獸肉販賣營業取締規則 

  19. 大韓帝國. 1909. 忠淸南道令第7號 屠獸規則施行細則 

  20. 大韓帝國. 1909. 慶尙南道令第6號 屠獸規則施行細則 

  21. 大韓帝國. 1909. 咸鏡北道令第8號 屠獸規則施行細則 

  22. 大韓帝國. 1909. 忠淸北道令第4號 屠獸規則施行細則 

  23. 大韓帝國. 1909. 京畿道令第3號 屠獸規則施行細則 

  24. 大韓帝國. 1910. 平安北道令第1號 屠獸規則施行細則 

  25. 東亞日報. 1926.1.8 

  26. 보건사회부. 1968. 식위 1436-8298 

  27. 時代日報. 1925.1.16 

  28. 안용근. 2000. 한국인과 개고기. 도서출판 효일 

  29. 연합뉴스. 2007.6.12 

  30. 조선일보. 1996.1.18 

  31. 조선일보. 1998.8.5 

  32. 조선일보. 2003.7.3 

  33. 朝鮮中央日報. 1933.10.24 

  34. 朝鮮中央日報. 1934.11.14 

  35. 朝鮮總督府. 1910. 統計年報 

  36. 朝鮮總督府. 1911. 忠淸北道令第2號 屠獸規則施行細則 

  37. 朝鮮總督府. 1911. 忠淸南道警務部令第4號獸肉販賣營業取締 規則 

  38. 朝鮮總督府. 1911. 黃海道警務部令第2號 獸肉販賣營業取締 規則 

  39. 朝鮮總督府. 1911. 咸鏡北道警務部令第11號 獸肉販賣營業取締規則 

  40. 朝鮮總督府. 1912. 平安北道警務部令第3號 屠獸規則施行細則 

  41. 朝鮮總督府. 1912. 黃海道警務部令第2號屠獸規則施行細則 

  42. 朝鮮總督府. 1912. 全羅北道警務部令第5號 屠獸規則施行細則 

  43. 朝鮮總督府. 1912. 江原道警務部令第3號 獸肉販賣營業取締 規則 

  44. 朝鮮總督府. 1912. 江原道警務部令第2號 屠獸規則施行細則 

  45. 朝鮮總督府. 1912. 京畿道警務部令第1號 屠獸規則施行細則 

  46. 朝鮮總督府. 1912. 京畿道警務部令第2號 獸肉販賣營業取締 規則 

  47. 朝鮮總督府. 1912. 咸鏡北道警務部令第2號 屠獸規則施行細則 

  48. 朝鮮總督府. 1912. 慶尙北道令第6號 獸肉販賣營業取締規則 

  49. 朝鮮總督府. 1911. 咸鏡南道警務部令第4號 獸肉販賣營業取 締規則 

  50. 朝鮮總督府. 1913. 警務摠監部訓令第1號 屠獸檢査及取締規則 

  51. 朝鮮總督府. 1913. 慶尙南道令第3號 獸肉販賣營業取締規則 

  52. 朝鮮總督府. 1916. 統計年報 

  53. 朝鮮總督府. 1918. 統計年譜 

  54. 朝鮮總督府. 1935.2.16. 忠淸北道令第3號 獸肉販賣營業取締規則 

  55. 朝鮮總督府. 1932.10.6. 忠淸南道令第10號 食肉販賣營業取締 規則 

  56. 許浚. 1610. 東醫寶鑑. 

  57. 환경부. 2008. 환경통계연감, pp.150 

  58. 환경부. 2009. 환경통계 핸드북, pp.52-66 

  59. Ann YG. 1999. Dog meat foods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2:397-408 

  60. Ann YG. 2000a. Dog meat eating history and culture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2:387-396 

  61. Ann YG. 2000b. Korean's recognition on edibility of dog meat. Korean J Food Nutr 13:365-371 

  62. Ann YG. 2003a. The Korean's recognition of dog meat food. Korean J Food Nutr 13:372-378 

  63. Ann YG. 2003b. The direction of reformation on the edibility of dogmeat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6:72-83 

  64. Hong JH, Chung JD, Ann YG. 2003a. A study on the garbage decomposing characteristics of the garbage-decomposing accelerant. Korean J Sanitation 18:58-67 

  65. Hong JH, Chung JD, Ann YG. 2003b.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decomposition effect on adding the decomposition accelerants of garbage. J Korea Soc Waste Mana 20:266-272 

  66. Jerry H. 1999. Strange foods. Periplus 

  67. Kim KA. 1980. Studies on the history of edible dogmeat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contained in Kaesojoo. MS thesis, Hanyang Uni. Seoul. Korea. 

  68. Kim SK, Kim WY, Lee PJ, Kwon DW, Kim YO. 1985. A comparison nutritional status among eight constitutional groups in relation to food preference on the view point of constitutional medicine. Korean J Nutrition 18:155-166 

  69. Kim TH. 1989a.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I) - Bibliographical study. Korean J Dietary Culture 4:347-356 

  70. Kim TH. 1989b.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II)- Survey of dog meat cooking restaurant. Korean J Dietary Culture 4:357-374 

  71. Kim TH, Yu CH, Hong HO, Kim HS. 1989. A study o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reference of Korean dog meat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4:369-374 

  72. Kim ES, Im KJ, Chung EJ. 1997. The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of canis meat. Human Science 1:41-47 

  73. Lee SK, Han JH. 1998. Lipid oxidation of dog meat during storage. Ann Animal Resour Sci 9:96-100 

  74. Malher X, Denis B. 1989. Le chien Animal de boucherie. Ethanozootechnie 43:81-84 

  75. McNeal JU, Griffin WL. 1977. Dog flesh as a potential food resource for carnivorer: An exploratory study. Texas J Sci 29:101-108 

  76. Monique B, Genevieve C, Luigi B. 1997. Grande boucherie canine, L'Abcedaire du Chien, Flammarion, Paris 

  77. Park JB. 2004. A study on thedebate upon legalization of edible dog's meat and hygienic matters. MS thesis, Juangang Univ. 

  78. Ryu BH, Lee ST, Lee CH. 1982. Nutritional value of liquid extract from Korean dog meat(Gaesoju). J Pusan Indus Univ 4:137-143 

  79. Ryu BH. 1982.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dog meat. J Pusan Indus Uni 3:485-494 

  80. Park KS, Youn DH, Jung IC. 2006. Characteristics of myofibrillar protein extracted leg and breast muscles of dog mea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453-457 

  81. Shin KK, Park SK, Kim CJ. 1998. Studies on fatty acids composition of different portions in various me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261-268 

  82. Wee SE. 1992. The studies on nutrition composition of dog meat. Kimchun College Report 11:305-311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