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일부 초등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2, 2010년, pp.161 - 170  

김선효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  한지혜 (공주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 ,  김화영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urveyed 837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Korea for health functional foods (HFF) consumption and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ir HFF consumption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al health concern on offsprings, food eating frequency of subjects and beliefs on po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가정의 경제수준 향상, 식품 섭취 패턴 변화에 따른 영양섭취불균형 문제 발생, 소수자녀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인하여 초등학생 자녀의 성장과 건강을 도모하기 위한 영양 공급의 방법으로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빈도가 높을 것으로 보고,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율, 주로 섭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여 이 분야를 위한 영양교육 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의 문항은 Kim 등8)을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의 보고11,19-23)를 참고하여, 연구 목적에 맞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실태를 알아보는 데에 적합하도록 고안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환경요인, 건강관련요인, 식품 섭취 빈도, 건강기능식품의 효과에 대한 기대도, 건강기능식품 섭취 행동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건강기능식품은 어떻게 분류되어 있는가? 건강기능식품의 정의는 건강기능식품법에 의하면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사전인정절차 없이 판매·유통할 수 있는‘고시형 건강기능식품’과 사전 인정을 받고 판매·유통할 수 있는‘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두 가지로 나뉘어 관리되고 있다.1,2)
건강기능식품이란? 현대 사회에서 식품 선택시 식품의 건강기여적인 측면이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한 식품을 통해 평소 부족하기 쉬운 영양과 기능성 성분을 섭취하고자 하는 의식이 만연되고 있음에 따라, 가정에서는 성장기 자녀의 영양관리를 위해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정의는 건강기능식품법에 의하면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사전인정절차 없이 판매·유통할 수 있는‘고시형 건강기능식품’과 사전 인정을 받고 판매·유통할 수 있는‘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두 가지로 나뉘어 관리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결과 중 일반의약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의 섭취율은 어떠한가? 그리고 건강기능식품과 같은 목적으로 섭취되고 있는 건강보조식품, 영양보충제, 일반의약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등에 관한 우리나라 사람의 섭취율을 1990년대 이후의 보고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먼저 건강보조식품 및 영양보충제의 섭취율은 서울지역 18세 이상 성인의 경우 40%5)로 나타났다. 일반의약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의 섭취율은 초등학생 33%,6) 3~7세 미취학 아동 34%,7) 청소년 31%,8) 체육고학생 36%,9) 중년기 41%10) 및 노년기 45%11)로 조사되었다. 또 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일반의약품용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건강보조식품 및 한방 보약 등을 포함하는 영양보충제의 섭취율은 54%12)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Health Supplement Association, Dietary Health Supplement Act, Seoul; 2008 

  2. KFDA Homepage, www.kfda.go.kr 

  3. Park JS, Lee JH.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take patter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parent's requirements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4): 463-475 

  4. Kim SH, Han JH, Hwang YJ, Kim WY. Use of functional foods for health by 14-18 year old students attending general junior or senior high schools in Korea. Korean J Nutr 2005; 38(10): 864-872 

  5. Lee SS, Kim MK, Lee EK. Nutrient supplement usage by the Korean adult in Seoul. Korean J Nutr 1990; 23(4): 287-297 

  6. Kim SH, Keen CL.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among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 survey of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equences. Nutr Res 2002; 22(4): 433-448 

  7. Song BC, Kim MK.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among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Nutr 1998; 31 (6): 1066-1075 

  8. Kim SH, Han JH, Keen CL.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by healthy teenagers in Korea: motivating factors and dietary consequences. Nutrition 2001; 17(5): 373-380 

  9. Kim SH, Keen CL. Patterns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age by adolescents attending athletic high schools in Korea. Int J Sport Nutr 1999; 9(4): 391-405 

  10. Kim SH.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among the middle-age in Korea. Korean J Nutr 1994; 27(3): 236-252 

  11. Song BC, Kim MK.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by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 1997; 30(2): 139-146 

  12. Kim SH, Han JH, Zhu QY, Keen CL. Use of vitamin and mineral and other dietary supplements by 17-and 18-year-old students in Korea. J Med Food 2003; 6(1): 27-42 

  13. Kim SH. A study on the current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Korean J Nutr 1997; 30(5): 561-570 

  14. Han JH, Kim SH.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and related variables by Korean adolescents. Korean J Nutr 1999; 32(3): 268-276 

  15. Suh YS, Chung YJ. Comparison of mineral and vitamin intake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fruit and vegetable intak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Nutr 2008; 41(7): 658-666 

  16. Lee JE, Jung IK. The perception of parents on th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 Home Econ Assoc 2005; 43(7): 67-77 

  17. Lee HO. A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and food lifestyle between double income families' and full-time housewives' children. Korean J Food & Nutr 2008; 21(1): 106-113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In-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Survey-, Seoul; 2007 

  19. Koo NS, Park JY. Consumption aspects of health supplements or health foods by adult male and female in Daejon. J Korean Living Sci Assoc 2001; 10(2): 205-213 

  20.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2; 18(2): 136-146 

  21. Yoo YJ, Hong WS, Choi YS. The experience of nutrient supplement use among adults in the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2): 357-363 

  22. Jun BH, Lee HG. An investigation of the intake of the health food among the salary men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0; 16(1): 9-16 

  23. Chung HK, Cho MS, Kang NE, Yang EJ, Kang MH. Patterns of health foods usage by food lifestyle of the adult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2001; 16(3): 195-202 

  24.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 (1): 83-92 

  25. Hong DS. Preliminary study on the social status of Korea. Memorial Paper for the 60th Birthday of Professor Lee MK; 1983. p. 169-213 

  26. Park KS. A study on adjustment of mid-life women-focused on women's attitudes toward the menopause and transitions of sex role identity [Master thesis]. Seoul: Sookmyeong Women's Universtiy; 1990 

  27. Choung CY, Choi IG. Statistical Analysis Using a SPSSWIN. Seoul: Muyokpub; 

  28. Rhee HS, Lee HS, Yee JA, Kang KJ. A study on the intake patterns of health food of the elderly aged over 60 years in the Chunch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4): 635-6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