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지수를 이용한 제조업 근로자의 영양상태 평가 및 관련 요인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 status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adults focusing on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5, 2020년, pp.488 - 502  

임지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허영란 (전남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산업체 근로자 738명을 대상으로 NQ-A를 측정하여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교대 근무자 496명, 비교대 근무자 242명으로 구성되었다. 근무 기간은 10년 이상이 64.9%, 남성 근로자가 81%,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31.6%를 차지하였다. 교육 수준은 대학 졸업 이상이 57.2%, 월평균 가계소득은 401-600만원인 경우가 48.2%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가구 구성은 결혼의 여부에 따라 가족과 함께인 가구가 75.9%였다. 대상자들의 근무 형태에 따라 교대 근무와 비교대 근무자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NQ-A와 영역별 점수는 비교대 근무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NQ-A 평균 점수는 45.3점이었고, 모니터링 필요 집단은 교대 근무자에서 91.3%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형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월평균 가계 소득, 가구 구성으로 나타났다. 비교대 근무자, 여성, 가족과 함께인 가구, 50대 이상, 월평균 가계 소득 600만원 이상의 경우가 NQ-A를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확인 결과, 근무 형태는 균형, 다양, 절제 영역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성별은 식행동 영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NQ-A 지수를 활용하여 일반 산업체 근로자의 영양상태와 관련 요인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산업보건에서 영양관리의 필요성 및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영양관리와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며, 근로자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가치를 두고 식습관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Nutrition Quotient for adults (NQ-A), focusing on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38 industrial workers in Gwangju. Their dietary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of NQ-A, which consisted of 2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대상자의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확인 결과, 근무 형태는 균형, 다양, 절제 영역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성별은 식행동 영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NQ-A 지수를 활용하여 일반 산업체 근로자의 영양상태와 관련 요인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산업보건에서 영양관리의 필요성 및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영양관리와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며, 근로자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가치를 두고 식습관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산업체 근로자 738명을 대상으로 NQ-A를 측정하여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교대 근무자 496명, 비교대 근무자 242명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산업체 중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NQ-A 지수를 활용하여 근로자의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으로 세분화하여 파악하고 그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와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산업체에서 교대 근무를 시행중인 일반 사업장 중에 대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NQ-A를 측정하여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근로자의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선정된 산업체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타이어 제조업체에 재직 중인 근로자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의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NQ-A를 사용하여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 영역의 세분화된 식생활 평가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들 근로자의 NQ-A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NQ-A 각 구성요소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여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효과적인 영양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Q-A를 측정하여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의 요약 내용 및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산업체 근로자 738명을 대상으로 NQ-A를 측정하여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교대 근무자 496명, 비교대 근무자 242명으로 구성되었다. 근무 기간은 10년 이상이 64.9%, 남성 근로자가 81%,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31.6%를 차지하였다. 교육 수준은 대학 졸업 이상이 57.2%, 월평균 가계소득은 401–600만원인 경우가 48.2%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가구 구성은 결혼의 여부에 따라 가족과 함께인 가구가 75.9%였다. 대상자들의 근무 형태에 따라 교대 근무와 비교대 근무자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NQ-A와 영역별 점수는 비교대 근무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NQ-A 평균 점수는 45.3점이었고, 모니터링 필요 집단은 교대 근무자에서 91.3%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형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월평균 가계 소득, 가구 구성으로 나타났다. 비교대 근무자, 여성, 가족과 함께인 가구, 50대 이상, 월평균 가계 소득 600만원 이상의 경우가 NQ-A를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확인 결과, 근무 형태는 균형, 다양, 절제 영역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성별은 식행동 영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NQ-A 지수를 활용하여 일반 산업체 근로자의 영양상태와 관련 요인 균형, 다양, 절제, 식행동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평가하고 영양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구체적으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산업보건에서 영양관리의 필요성 및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근무 형태와 성별에 따른 영양관리와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며, 근로자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가치를 두고 식습관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19년 우리나라 15–64세 근로자의 고용률은? 우리나라 15–64세 근로자의 고용률은 2019년 기준 전체 인구의 약 67%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의 73.5%가 남성 근로자이고 여성 근로자는 54.
식생활 문제는 무엇을 위한 중요 문제인가? 식생활 문제는 근로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근로자들의 식습관으로 인한 건강 문제는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며,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 December 2019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20 Jun 20]. Available from: http://kostst.go.kr. 

  2.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in Korea 2019 [Internet]. Seoul: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9 [cited 2020 Jun 20]. Available from: http://kosha.or.kr. 

  3. Kim E, Oh SW.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Obes 2012; 21(2): 108-114. 

  4. Kim SA, Song IH, Wang JH, Kim YK, Park WS.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status of health behaviors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focused on female blue-collar worker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0; 35(3): 239-248. 

  5. Kim GR, Park HR, Lee YM, Lim YS, Song KH. Comparative study on prevalence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nd nutritional status by occupation and gender: Based on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7; 50(1): 74-84. 

  6. Limeiling L, Ha Y, Lee JS. Effectiveness of a smoking cessation healing camp for male workers in a workplace setting. J Digit Converg 2018; 16(6): 297-306. 

  7. Choi SY, Kang NE, Kim SH. An investigation on the metabolic syndromes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among male workers. Korean J Food Nutr 2013; 26(4): 975-984. 

  8. Do KA, Jung HS, Choi EH. Association between job-related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ale and female worker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tudy.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5; 24(1): 39-47. 

  9. Kim MH, Lee SH, Shin KS, Son DY, Kim SH, Oh JE, et al. The change of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its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for decad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2008-2017. Korean J Fam Pract 2020; 10(1): 44-52. 

  10. Lee SE, Han K, Kang YM, Kim SO, Cho YK, Ko KS, et al. Trends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South Korea: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2009-2013). PLoS One 2018; 13(3): e0194490. 

  11. Kwon JS, Kim K, Seo HC, Lee Y, Lim S, Choi YS. A study on dietary behaviors, health-related lifestyle of adult visitors at public health centers in Gyeonggi urb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6): 611-625. 

  12. Lee MS, Kwak C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1): 39-51. 

  13. Kwak CS, Lee JW, Hyun WJ. The effects of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on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habits in adult mal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2): 161-171. 

  14. Choi M, Kim MH. A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adult women in the three age groups. Korean J Food Cult 2007; 22(6): 833-840. 

  15. Kim JM, Kang BH. Th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health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shift work in nurses. J Nutr Health 2014; 47(6): 416-425. 

  16. Hwang WJ, Ha JS, Jo HH. A systematic review of the health promotion for worker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 J Korea Converg Soc 2018; 9(12): 459-466. 

  17. Lee JS, Kim HY, Hwang JY, Kwon S,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ults: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8; 51(4): 340-356. 

  18. Park JE. A comparative study on the adult Nutrition Quotient (NQ)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acquiring and using pattern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in food related TV program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9. 

  19. Kim ES. The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ity,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ults (NQ), eating styles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9. 

  20. Yi NY, Kwon TY.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the Nutrition Quotient (NQ) of college athlete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20; 31(1): 37-50. 

  21. Souza RV, Sarmento RA, de Almeida JC, Canuto R. The effect of shift work on eating habits: a systematic review.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9; 45(1): 7-21. 

  22.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Motivation for employers to carry out workplace health promotion: literature review.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2 

  23. Kim HK, Chung J. Associations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nutrient intak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dults based on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9; 52(5): 435-448. 

  24. Statistics Korea.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ingle person household i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20 Jun 27]. Available from: http://kostst.go.kr. 

  25. Kim Y. Dietary safety management awareness and competency for healthcare among adul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20; 25(2): 112-125. 

  26. Park SH, Lee EJ, Chang KJ. Dietary habits and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level of job stress among 20- to 30-year old office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Food Cult 2020; 35(2): 143-155. 

  27. Seo HC. The relationship between sugar intake and emotional function of adolescent. J Brain Educ 2013; 11: 75-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