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분 대역 재밍 환경에서 SFH(Slow Frequency Hopping) 위성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A-NED(Adaptive NED) 알고리즘 항재밍 성능 분석
A Study of Anti-Jamming Performance using A-NED(Adaptive NED) Algorithm of SFH(Slow Frequency Hopping)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in PBNJ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3 no.1, 2010년, pp.30 - 35  

김성호 (삼성탈레스 종합연구소) ,  신관호 (국방과학연구소) ,  김희중 (국방기술품질원) ,  김영재 (삼성탈레스 종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f today, Frequency Hopping techniques are widely used for over-channel interference and anti-jamming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analysis the performance of robustness on the focus of some general jamming channel. In FH/SS systems, usually SFH(Slow Frequency Hopping) and FFH(Fast Fre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도약 방식으로 대역확산 하는 시스템에서 기존 Diversity Combine 방식 중에서 성능이 뛰어나다는 NED(Normalized Envelope Detec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기존 시스템의 항재밍 성능을 분석하고 나아가 수신된 NED 심볼의 재밍 충돌 여부를 판별하는 JSD(Jammed Signal Discriminator)를 사용하여 재밍된 신호를 제거하는 Adaptive-NED 알고리즘을 적용한 제안된 시스템의 항재밍 성능을 분석한다.

가설 설정

  • JSD에서 정해진 PE%이상의 패턴이 불일치하는 경우 jammed packet으로 판정, 해당 수신된 주파수내의 심볼들을 Accumulator 내에 누적하지 않는 A_NED를 사용한다. 만약 Diversity Combine이 2회인 경우 NED=2에서 수신된 심볼들이 모두 재머에 맞는 경우 두 수신된 심볼을 합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통해 나온 성능을 기존 NED와 비교 분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파수 도약 방식의 통신 방법에는 어떤 방식들이 있는가? 주파수 도약 방식의 통신 방법은 기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의 주파수에 여러 심볼을 전송하는 SFH 방식과 하나의 심볼을 여러 주파수로 전송하는 FFH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이를 Fig.
SFH 시스템에서 재밍 신호와 충돌하는 경우 한 번에 다수의 심볼이 오염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하지만 이러한 단점도 몇 가지 하드웨어적인 부담(다수의 심볼 저장을 위한 큰 메모리, 고속의 NED 연산을 위한 신호처리 등)을 극복하고 NED 알고리즘을 SFH시스템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항재밍 성능은 FFH 시스템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현재까지 개발된 시스템에서 SFH 방식보다 FFH시스템을 더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에서 나타내고 있다. 현재 까지 개발된 시스템에서는 항재밍 측변에서 한번 재밍 당했을 때 Loss되는 심볼의 수가 SFH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FFH시스템을 선호해 왔으며, 재밍의 위협으로부터 생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오율에서 통신이 가능한 음성위주의 저속 데이터 전송을 고려한 네트워크의 설계가 이루어 졌다. 이런 통신 시스템들은 주로 non-coherent detection이 가능한 M-ary FSK 방식의 변복조를 채택하고 FFH전송을 통해 Diversity Combine을 수행하여 항재밍 성능이 최대화 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BERNARD SKLAR, "Digital Communications", Prentice Hall, Section 12.4, pp. 738-745, 2001. 

  2. John G. Proakis, "Digital Communications", MacGraw Hill, Section 12.3, pp. 807-813. 

  3. Gulliver, T. A., "The Performance of Diversity Combining for Fast Frequency Hopped NCMFSK in Rayleigh Fading", Military Communications Conference, 1992. MILCOM '92, Conference Record. 'Communications - Fusing Command, Control and Intelligence', IEEE, Vol. 2, pp. 452-457, 11-14 Oct. 1992 

  4. K. S. Gong, "Performance of Diversity Combining Techniques for FH/MFSK in Worst Case Partial Band and Multi-Tone Jamming", Proc. IEEE Milcom, Vol. SAC-4, pp. 216-233, Mar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