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ED를 사용하는 FH-CSS(Frequency Hopped - Chirp Spread Spectrum)의 항 재밍 성능 분석
AJ Performance of the FH-CSS(Frequency Hopped - Chirp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s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4 no.1, 2011년, pp.69 - 73  

김성호 (삼성탈레스 통신연구소) ,  김영재 (삼성탈레스 통신연구소) ,  황석구 (삼성탈레스 통신연구소) ,  조병각 (국방과학연구소) ,  신관호 (국방과학연구소) ,  김남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통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defence wireless communications, conventional Anti-Jamming techniques(Frequency Hopping/Spread Spectrum or Direct Sequence/Spread Spectrum) are used to overcome a intentional interfering signals which are single/multitone or partial band jammer etc. DS/SS techniques is very strong on tone j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문에서는 부분대역 재밍과 다중 톤 재머환경에서의 FH/CSS-NED의 항재밍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각각에 대한 분석 시뮬레이션을 제시하였다. 앞서 언급되었지만 실제 채널환경에서는 대역 재밍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넓은 대역에 높은 재머 캐리어로 방해가 가능한 BMTJ 특징으로 큰값의 Eb/J0을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통상 분석에서 낮은 Eb/J0 특성만을 참고하게 된다.
  • 이러한 기존 항재밍 통신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통신에서 주로 사용하는 sinusoidal wave와 아주 낮은 상관값을 가지는 linear frequency modulation 혹은 chirp carrier modulation 방식을 적용하고 항재밍 성능을 분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역확산방식으로 주로 무엇을 고려하여 왔는가? 지금까지 생존성과 신뢰성을 고려한 특수 목적의 통신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재밍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재머를 극복하는 알고리즘들을 연구해왔다. 그 결과 대부분의 특수목적 통신에서는 주파수 확산 방식과 여러가지 수신기법(Diversity combines, Majority Decision 방식등)을 적절하게 설계하여 의도적인 통신 교란 및 감청과 방해 신호(Jamming Signal) 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연구되어 졌으며, 주로 사용하는 대역확산방식(Spread spectrum)으로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와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를 주로 고려하여 왔다, 이러한 방식들 중주파수 도약 확산 방식의 경우 광대역 도약[1,4]이 가능하고 시스템에 적당한 DC(Diversity Combines)기법들을 통해 AWGN 및 부분대역 재밍(PBNJ : Partial Band Noise Jammer)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시스템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1]. 이러한 주파수 도약 확산방식의 시스템은 대역 재머에 강건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Fig.
단순한 고정주파수 통신 시스템이 재머를 극복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재머는 통신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신호레벨을 가지면서 넓은 대역에 걸쳐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한 고정주파수 통신 시스템이 이를 극복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주파수 도약 확산 방식의 단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주파수 도약 확산방식의 시스템은 대역 재머에 강건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Fig. 1과 같이 재머 입장에서 에너지효율이 뛰어나 광대역 재밍이 가능한 MTJ(Multi Tone Jammer)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존재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 S. Gong, "Performance of Diversity Combining Techniques for FH/MFSK in Worst Case Partial Band and Multi-Tone Jamming", Proc. IEEE Milcom, Vol. SAC-4, pp. 216-233, Mar 1986. 

  2. Gulliver, T. A., "The Performance of Diversity Combining for Fast Frequency Hopped NCMFSK in Rayleigh Fading", Military Communications Conference, IEEE, Vol. 2, pp. 452-457, 11-14, 1992. 

  3. BERNARD SKLAR, "Digital Communications", Prentice Hall, Section 12.6, pp. 761-766, 2001 

  4. 김성호, 신관호 외 2인, "부분 대역 재밍 환경에서 SFH위성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A-NED알고리즘 항재밍 성능 분석",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30-35, 2010년 1월. 

  5. 톤재머를 극복하는 고정주파수 통신방식에 관한미국 특허(US PATENT 4037159) 

  6. 윤태웅 외 4인, "오버랩 기반 CSS 시스템 설계를위한 닫힌 꼴 비트 오류율 표현",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 34 No. 4, 2009. 4. 

  7. A. Springer, W. Gugler, "Spread Spectrum Communi -cations Using Chirp Signals", IEEE/AFCEA EUROCOMM …, 2000 

  8. Youngpo Lee, "Symbol Error Rate of the DM-MPSK Under the Influence of Jamming Signals", IEEE Communications Letters, Vol. 13, No. 7, Jul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