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신종플루가 유행하여 수용성이 큰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Oseltamivir ethylester phosphate, OEP)가 다량 사용됨에 따라 환경 중 잔류농도를 파악하고, 수생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천수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타미플루의 주성분인 오설태미비르 에틸에스터(Oseltamivir ethylester, OE) 및 활성대사체 오설태미비르산(Oseltamivir carboxylate, OA)이 모든 지점에서 각각 $0.008\sim0.087\;{\mu}g/L$, $0.029\sim0.287\;{\mu}g/L$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OE보다 활성대사체(OA)가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신종플루 대유행 이전인 일본 수질조사 결과에 비해 OA는 2배 높게 나타났으나, 시료채취 시기가 달라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eltamivir carboxylate (OC) and Oseltamivir ethylester (OE)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distribution in pandemic season in Korea. The detected concentration of OE was the range of $0.008\sim0.087\;{\mu}g/L$, and OC was the range of $0.029\sim0.287\;{\mu}g/L$.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의약물질 중 최근 신종플루가 유행하여 수용성이 큰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Oseltamivir ethylester phosphate, OEP)가 다량 사용됨에 따라 이 의약물질의 수계유입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 타미플루의 주성분인 오샐태미비드 에틸에스터(Oseltamivir ethylester, OE) 및 활성대사체인 오생태미비르 카르복실산 (Oseltamivir carboxylate, OC)의 하천수 중 잔류농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수생태계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 21 또한, 분석에 사용된 전구 이온, 생성 이온, 정량이온 및 충돌에너지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논문에서 제시된 타미플루 주성분과 활성대사체의 개별 분석방법과 달리 타미플루 주성분과 활성대사체의 동시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타미플루 주성분과 활성대사체의 방법검출한계(Method Detection Limit, MDL)는 1 ng/L로 측정되었으며, 방법검출한계 산정을 위하여 OE와 OA의 기기검출한계(Instrumental Detection Limit, IDL)를 측정한 후 기기검출한계의 10배에 해당하는 농도인 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신종플루가 유행하여 수용성이 큰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Oseltamivir ethylester phosphate, OEP)가 다량 사용됨에 따라 환경 중 잔류 농도를 파악하고 수생태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천수를 채취·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에 잔류하는 의약물질이 무엇으로 대두되었는가? 최근 환경에 잔류하는 의약물질(PPCP,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이 새로운 환경오염물질(Emerging Pollutants)로 대두되면서 의약물질의 사용과 폐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하천 및 토양오염을 가중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외에서 발표되고 있다.1-10 유럽, 미국 등의 국가들은 이들 의약물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포세이돈 프로젝트, 11 의약물질 연구프로그램 등을 범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으며,12,13각국의 오·폐수 처리수에서 항생제, 진통제, 호르몬제등 많은 종류의 잔류의약물질들이 검출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유럽 미국 등의 국가들은 이들 PPCP의 관리를 위해 무엇을 추진하고 있는가? 최근 환경에 잔류하는 의약물질(PPCP,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PPCPs)이 새로운 환경오염물질(Emerging Pollutants)로 대두되면서 의약물질의 사용과 폐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하천 및 토양오염을 가중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외에서 발표되고 있다.1-10 유럽, 미국 등의 국가들은 이들 의약물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포세이돈 프로젝트, 11 의약물질 연구프로그램 등을 범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으며,12,13각국의 오·폐수 처리수에서 항생제, 진통제, 호르몬제등 많은 종류의 잔류의약물질들이 검출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14-17
환경에 잔류하는 의약물질은 미량이라도 어디에 영향을 주는가? 인간이 필요에 의해 복용한 의약물질이나 개인용품 들은 가정 오폐수로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고, 처리시설별로 이들 의약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의약물질들은 하천수로 흘러가게 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환경에 잔류하는 의약물질은 미량이라도 생식과 발육에 영향을 줄 수 도 있으며,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생태계에서 치명적인 위해성이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미국의 경우 환경에서의 의약물질 오염 정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에서도 인체와 동물에 사용되는 의약물질의 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한 지침이 제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국립환경과학원,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조사(I)", 2006. 

  2. 국립환경과학원,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조사(II)", 2007. 

  3. 국립환경과학원, "잔류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실태조사(I)", 2008. 

  4. 국립환경과학원, "잔류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실태조사(II)", 2009. 

  5. S. D. Kim, J. Cho, I. S. Kim, B. J. Vanderford and S. A. Snyder, Water Res., 41, 1013-1021(2007). 

  6. K. Choi, Y. Kim, J. Park, C. K Park, M. Y. Kim, H. S. Kim and P. Kim, Sci. Total Environ., 405, 120-128(2008). 

  7. Y. Kim, J. Jung, M. Kim, J. Park, A. B. A. Boxall and K. Choi, Environ. Toxicol. Phar., 26, 167-176(2008). 

  8. D. Fatta, A. Nikolaou, A. Achilleos and S. Meric, Trends iAnn alytical Chemistry, 26(6), 515-533(2007). 

  9. K. Kummerer, J. Environ. Manage., 90, 2354-2366(2009). 

  10. N. Kemper, Ecological Indicators, 8, 1-13(2008). 

  11. E.U., http://www.poseidon.geo.uni-mainz.de/publications.htm 

  12. US EPA, Method 1694: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Water, Soil, Sediment and Biosolids by HPLC/MS/MS", 2007. 

  13. U.S. EPA, http://www.epa.gov/ppcp/ 

  14. M. Gros, M. Petrovi , A. Ginebreda and Damia Barcelo, Environ. Int., 36, 15-26(2010). 

  15. N. Nakada, H. Shinohara, A. Murata, K. Kiri, S. Managaki, N. Sato and H. Takada, Water Res., 41, 4373-4382(2007). 

  16. J. Fick, R. H. Lindberg, M. Tysklind, P. D. Haemig, J. Waldenstrom, A. Wallensten, and Bjorn Olsen, PLoS One, 2(10), e968(2007). 

  17. N. Vieno, T. Tuhkanen and L. Kronberg, Water Res., 41, 1001-1021(2007). 

  18. C. G. Daughton, "In Pharmaceuticals in the Environment", 2nd Ed., 463-495, K. Kuummerer, Ed., Springer, U.S.A., 2004. 

  19. EMEA, "Note for Guidance o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 CPMO/SWP/4447/00 draft corr. Available from , 2003. 

  20. U. S. FDA, Guidance for Industry: Environmental Assessment of Human Drug and Biologics Applications, 1998. 

  21. J. O. Straub, Ecotox. Environ. Safe., 72, 1625-1634(2009). 

  22. M. Carballa, F. Omil and J. Lema, Water Res., 39, 4790-4796(2005). 

  23. P. K. Jjemba, Ecotox. Environ. Safe., 63, 113-130(2006). 

  24. C. Prasse, M. Schlusener, R. Schulz and T.A. Ternes, Environ Sci Technol., doi: 10.1021/es903216p [Accepted 11 January 2010] 

  25. B. I. Escher, N. Bramaz, J. Lienert, J. Neuwoehner and J. O. Straub, Aquatic Toxicology, 96, 194-202(2010). 

  26. H. Soderstrom, J. D. Jarhult, B. Olsen, R. H. Lindberg, H. Tanaka and J. Fick, PLoS One, 4(6), e6064(2009). 

  27. G. C. Ghosh, N. Nakada, N. Yamashita and H. Tanaka,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8(1), 103-107(2010). 

  28. U.S FDA, "Endocrine Disruptors and Pharmaceuticla Active Compounds in Drinking Water Workshop", 2000. 

  29. A. C. Singer, M. A. Nunn, E. A. Gould and A. C. Johnso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5(1), 102-106(2007). 

  30. O. A. H. Jones, N. Voulvoulis and J. N. Lester,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81(10), 768-769(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