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 및 생체시료 중 과불화 화합물의 분석 동향
Analytical trend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environmental and biota sample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3 no.4, 2010년, pp.331 - 346  

이원웅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 경희동서약학연구소) ,  장원희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 경희동서약학연구소) ,  표희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오믹스센터) ,  강태석 (식품의약품 안전청) ,  홍종기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 경희동서약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불화 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열과 산성, 염기 등과 같은 화학적 조건에 높은 안정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수성, 발유성, 방오성과 제품 친화적인 특징 때문에 다양한 산업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이르러서는 대규모로 생산되고 있는 산업제품이다. 그러나 난분해성으로 인하여 환경 내에 잔류하여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나 동식물에 이르는 생물체에 이르기까지 오염되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인체를 비롯한 생물체에 장기적으로 축적될 시 암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됨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스톡홀름 협약에서 과불화 화합물을 새로운 환경지속성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규정함에 따라 이에 대한 분석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 및 생체 시료 내에서 과불화 화합물의 분석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 및 문제점과 더불어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fluorinated compounds have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to heat, acidic, basic conditions and also resist water, oil, grease, pollutant. Futhermore they are used by various industrial material, nowadays, they produced in large scale for indutrial and commercial areas. However, they also resis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정부산하 기관에서 진행되어진 결과들을 비교 검토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법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과불화 화합물의 특성과 생산 및 규제 동향과 다양한 환경 매체에서 시료 전처리 방법 및 기기분석 방법과 실제 분석과정에서 발생되는 바탕 시료의 오염 문제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범국가적인 대비 및 해결 노력이 증대되고 있는 동시에 이를 다양한 환경매개체로부터 분리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술도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다양한 환경 매체 및 생체 시료에서 PFC의 모니터링이 진행되어 각 매체와 인체 동물에서 얼마나 분포되어 있는지 조사 중에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환경부 산하기관에서 분석법의 개발과 모니터링을 위한 노력이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화유기화합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불화유기화합물은 탄소와 불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연계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불화유기화합물보다 산업적으로 생산된 불화유기화합물이 더 많은 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다.1,2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불화유기화합물인 과불화 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열, 기름, 녹, 유지, 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과불화 화합물들의 안정적인 화학적 구조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은? 이러한 과불화 화합물은 생산 및 사용에서 부터 폐기로 인한 전과정에 걸쳐 자연 환경계로 유입되고 있다. 그러나 이물질들은 안정한 화학적 구조로 인해 자연 생태계에서 분해성이 낮아 오랫동안 잔류하는 특성과 생체 내에서 쉽게 대사되지 않고 생물 농축을 유발시키는 특성이 있다. 최근에 과불화 화합물이 쥐와 같은 설치류를 이용한 실험에서 간 독성을 유발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청둥오리와 같은 조류를 이용한 실험에서 용량에 따라 급성 독성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불화 화합물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는가? 불화유기화합물은 탄소와 불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연계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불화유기화합물보다 산업적으로 생산된 불화유기화합물이 더 많은 불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다.1,2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불화유기화합물인 과불화 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열, 기름, 녹, 유지, 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과불화 화합물은 생산 및 사용에서 부터 폐기로 인한 전과정에 걸쳐 자연 환경계로 유입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B. D. Key, R. D. Howell and C. S. Criddle, Environ. Sci. Technol., 31, 2445(1997). 

  2. R. Renner, Environ. Sci. Technol., 35, 154A(2001). 

  3. L. Cui, Q. Zhou, C. Liao, J. Fu and G. Jiang,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6, 338(2009). 

  4. J. L. Newsted, S. A. Beach, S. P. Gallagher and J. P. Giesy,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0, 411(2006). 

  5. C. Lau, K. Anitole, C. Hodes, D. Lai, A. Pfahles-Hutchens and J. Seed, Toxicol. Sci., 99(2), 366(2007). 

  6. Stockholm convention,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 its salts and perfluorooctane sulfonyl fluoride (PFOS-F), decision SC-4/17, Annex B, Stockholm convention, Geneva, Switzerland, 2009 

  7. US EPA, Perfluorooctyl sulfonates. Proposed significant new use rule, 40 CFR Part 721, US EPA, Washington DC, 2002. 

  8. OECD, Co-operation on existing chemicals-Hazard assessment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and its salts. Environment Directorate Joint Meeting of the Chemicals Committe and the Working Party on Chemicals, Pesticides and Biotechnology,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2002. 

  9. EU, Directive 2006/122/EC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f. J. Eur. Union, L372, 32(2006). 

  10. E. Kissa, Fluorinated surfactants: synthesis, properties, applications. Marcel Dekker, New York, 1994. 

  11. 3M, Sulfonated perfluorochemicals in the environment: Sources, dispersion, fate and effects. 3M, St. Paul, MN, 2000. 

  12. C. A. Moody and J. A. Field, Environ. Sci. Technol., 33, 2800(1999). 

  13. C. A. Moody, W. C. Kwan, J. W. Martin, D. C. G. Muir and S. A. Mabury, Anal. Chem., 73, 2200(2001). 

  14. C. A. Moody, J. W. Martin, W. C. Kwan, D. C. G. Muir and S. A. Mabury, Environ. Sci. Technol., 36, 545(2002). 

  15. H. F. Schrder, J. Chromatogr. A, 1020, 131(2003). 

  16. M. M. Schultz, D. F. Barofsky and J. A. Field, Environ. Eng. Sci., 20, 487(2003). 

  17. E. Kissa, Fluorinated surfactants and repellents. Marcel Dekker, New York, 1994. 

  18. G. T. Tomy, S. A. Tittlemier, V. P. Palace, W. R. Budakowski, E. Braekevelt, L. Brinkworth and K. Friesen, Environ. Sci. Technol., 38, 758(2004). 

  19. S. Taniyasu, K. Kannan, U. Horii, N. Hanari and N. Yamashita, Environ. Sci. Technol., 37, 2634(2003). 

  20. S. Taniyasu, K. Kannan, M. K. So, A. Gulkowska, E. Sinclair, T. Okazawa and N. Yamashita, J. Chromatogr. A, 1093, 89(2005). 

  21. M. Villagrasa, M. L. Alba and D. Barcel, Anal. Bioanal. Chem., 386, 953(2006). 

  22. H. Lehmler, Chemosphere, 58, 1471(2005). 

  23. M. J. A. Dinglasan, Y. Ye, E. A. Edwards and S. A. Mabury, Environ. Sci. Technol., 38, 2857(2004). 

  24. N. L. Stock, F. K. Lau, D. A. Ellis, J. W. Martin, D. C. G. Muir and S. A. Mabury, Environ. Sci. Technol., 38, 991(2004). 

  25. D. F. Hagen, J. Belisle, J. D. Johnson and P. Venkateswarlu, Anal. Biochem., 118, 336(1981). 

  26. A. Krrman, B. Bavel, U. Jrnberg, L. Hardell and G. Lindstrm, Anal. Chem., 77, 864(2005). 

  27. N. Yamashita, K. Kannan, S. Taniyasu, Y. Horii, T. Okazawa, G. Petrick and T. Gamo, Environ. Sci. Technol., 38, 5522(2004). 

  28. K. Inoue, F. Okada, R. Ito, S. Kato, S. Sasaki, S. Nakajima, A. Uno, Y. Saijo, F. Sata, Y. Yoshimura, R. Kishi and H. Nakazawa, Environ. Health. Perspect., 112, 1204(2004). 

  29. R. G. Luthy, G. R. Alken, M. L. Brusseau, S. D. Cunningham, P. M. Gschwend, J. J. Pignatello, M. Reinhard, S. J. Traina, Jr. W. J. Wever and J. C. Westall, Environ. Sci. Technol., 31, 3341(1997). 

  30. J. C. Westall, H. Chen, W. Zhang, and B. J. Brownawell, Environ. Sci. Technol., 33, 3110(1999). 

  31. C. P. Higgins, J. A. Field, C. S. Criddle and R. G. Luthy, Environ. Sci. Technol., 39, 3946(2005). 

  32. P. D. Jones, W. Hu, W. Coen, J. L. Newsted and J. P. Giesy, Environ. Toxicol. Chem., 22, 2639(2003). 

  33. A. Holm, S. T. Wilson, P. Molander, E. Lundanes and T. Greibrokk, J. Sep. Sci., 27, 1071(2004). 

  34. Z. Kuklenyik, J. A. Reich, J. S. Tully, L. L. Needhan and A. M. Calafat, Environ. Sci. Technol., 38, 3698(2004). 

  35. J. Belisle and D. F. Hagen, Anal. Biochem., 101, 369(1980). 

  36. K. Inoue, F. Okada, R. Ito, M. Kawaguchi, N. Okanouchi and H. Nakazawa, J. Chromatogr. B, 810, 49(2004). 

  37. K. Kannan, K. J. hansen, T. L. Wade and J. P. Giesy, Arch. Environ. Contam. Toxicol., 42, 313(2002). 

  38. K. Kannan, J. C. Franson, W. W. Bowerman, K. J. Hansen, P. D. Jones and J. P. Giesy, Environ. Sci. Technol., 35, 3065(2001). 

  39. K. Kannan, J. Koistinen, K. Beckmen, T. Evans, J. F. Gorzelany, K. J. Hansen, P. D. Jones, E. Helle, M. Nyman and J. P. Giesy, Environ. Sci. Technol., 35, 1593(2001). 

  40. K. Kannan, J. W. Choi, N. Iseki, K. Senthilkumar, D. H. Kim, S. Masunaga and J. P. Giesy, Chemosphere, 49, 225(2002). 

  41. G. W. Olsen, T. R. Church, E. B. Larson, G. Belle, J. K. Lundberg, K. J. Hansen, J. M. Burris, J. H. Mandeland L. R. Zobel, Chemosphere, 54, 1599(2004). 

  42. K. J. Hansen, L. A. Clemen, M. E. Ellefson and H. O. Johnson, Environ. Sci. Technol., 35, 766(2001). 

  43. US EPA, Perfluorooctane sulfonate: Current summary of human sera, health and toxicology data (Doc: AR226-0048). US EPA, Washington DC, 1999. 

  44. G. W. Olsen, K. J. Hansen, L. A. Stevenson, J. M. Burris and J. H. Mandel, Environ. Sci. Technol., 37, 888(2003). 

  45. US EPA, Draft of hazard assessment of perfluorooctanoic acid and its salts (Doc: AR226-1079). US EPA, Washington DC, 2002. 

  46. J. P. Giesy and K. Kannan, Environ. Sci. Technol., 35, 1339(2001). 

  47. K. Kannan, J. Newsted, R. S. Halbrook and J. P. Giesy, Environ. Sci. Technol., 36, 2566(2002). 

  48. P. de Voogt and M. Sez, Trends. Anal. Chem., 25, 326(2006). 

  49. J. W. Martin, D. C. G. Muir, C. A. Moody, D. A. Ellis, W. C. Kwan, K. R. Solomon and S. A. Mabury, Anal. Chem., 74, 584(2002). 

  50. G. Yamamoto, K. Yoshitake, T. Sato, T. Kimura and T. Ando, Anal. Biochem., 182, 371(1989). 

  51. C. A. Moody and J. A. Field, Environ. Sci. Technol., 34, 3864(2000). 

  52. M. Hudlicky and A. E. Pavlath, Chemistry of organic fluorine compounds II: A critical review.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95. 

  53. J.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3rd edn. Wiley, New York, 1985. 

  54. D. W. Kuehl and B. Rozynov, Rapid. Commun. Mass. Spectrom., 17, 2364(2003). 

  55. K. J. Hansen, H. O. Johnson, J. S. Eldridge, J. L. Butenhoff and L. A. Dick, Environ. Sci. Technol., 36, 1681 (2002). 

  56. I. Langlois and M. Oehme, Organohalogen Compd., 66, 3973(2004). 

  57. G. Lindstrm, A. Krrman and B. Bavel, J. Chromatogr. A, 1216, 394(2009). 

  58. M. M. Schultz, D. F. Barofsky and J. A. Field, Environ. Sci. Technol., 40, 289(2006). 

  59. N. Riddell, G. Arsenault, J. P., Benskin, B, Chittim, J. W. Martin, A. McAlees and R. McCrindle, Environ. Sci. Technol., 43, 7902(2009). 

  60. B. Boulanger, J. Vargo, J. L. Schnoor and K. C. Hornbuckle, Environ. Sci. Technol., 38, 4064(2004). 

  61. C. Sottani and C. Minoia, Rapid. Commun. Mass. Spectrom., 16, 650(2002). 

  62. M. Takino, S. Daishima and T. Nakahara, Rapid. Commun. Mass. Spectrom., 17, 383(2003). 

  63. E. Chan, M. Sandhu, J. P. Benskin, M. Ralitsch, N. Thibault, D. Birkholz and J. W. Martin, Rapid. Commun. Mass. Spectrom., 23, 1405(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