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structures of perfluorinated compounds(PFCs) have unique properties such as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that make them useful components in a wide variety of consumer and industrial products. Two of these PFCs, perfluorooctane sulfonate(PFOS) and perfluorooctanoic acid(PFOA), hav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국 주요 정수장 과불화합물 분포실태 조사를 통해 인체위해 여부를 평가하고, 추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등 적정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해성 평가는 무엇인가? 위해성 평가란 오염물질이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됐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인체 영향을 정성 또는 정량적인 방법으로 추정하는 과정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위해성 평가는 미국국가연구위원회(NRC, National Research Council)에서 고안한 방법으로서 평가 절차로는 첫 번째로 위험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위해성 평가는 무엇인가? 위해성 평가란 오염물질이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됐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인체 영향을 정성 또는 정량적인 방법으로 추정하는 과정이다.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위해성 평가는 미국국가연구위원회(NRC, National Research Council)에서 고안한 방법으로서 평가 절차로는 첫 번째로 위험성 확인(Hazard identification)이다. 이 단계에서는 모든 역학 자료와 동물실험결과를 종합하여 인체에 노출됐을 때를 가정하여 위험성을 확인한다.
과불화화합물는 어떤 형태를 띠고 있는가? PFCs는 탄화수소의 수소자리에 불소가 완전히 치환된 과불화꼬리(-CnF2n+1)와 수용성반응기(SO3- 또는 COO-)가 결합된 형태를 띠고 있다. 이처럼 물과 기름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꼬리와 수용성을 갖는 반응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특성 때문에 주로 계면활성제나 코팅제, 화장품, 광택제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있다 Prevedouro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tkinson, C., Blake, S., Hall, T., Kanda, R., Rumsby, P. (2008). Survey of the prevalence of perfluorooctane sulphonate (PFOS), perfluorooctanoic acid(PFOA) and related compounds in drinking water and their sources, Report DEFRA 7585. 

  2.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2013). http://www.nicnas.gov.au/chemical-information/Topics-of-interest/subjectsper-and-poly-fluorinated-chemicals-pfcs (Aug 7, 2017). 

  3. Boiteux, V., Dauchy, X., Rosin, C., Munoz, J.F. (2012). National Screening Study on 10 Perfluorinated Compounds in Raw and Treated Tap Water in France, Archives Environ. Contam. Toxicol. 63, 1-12. 

  4. Calafat, A.M., Wong, L.Y., Kuklenyik, Z., Reidy, J.A., Needhan, L.L. (2007). Polyfluoroalkyl Chemicals in the U. S. Population: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2003-2004 and Comparisons with NHANES 1999-2000, Environ. Health Perspect, 115, 1596-1602. 

  5. Cui, L., Zhou, Q.F., Liao, C.Y., Fu, J.J., Jiang, G.B. (2009). Studies on the Toxicological Effects PFOA and PFOS on Rats Using Histological Observation and Chemical Analysis, Archives of Environ. Contam. Toxicol., 56, 338-349. 

  6. Dinglasan, M.J., Ye, Y., Edwards, E.A., Mabury, S.A. (2004). Fluorotelomer Alcohol Biodegradation Yields Poly-and Perfluorinated Acids. Environ. Sci. Technol., 38, 2857-2864. 

  7. Domingo, J. L. (2012). Health risks of dietary exposure to perfluorinated compounds. Environ. Int., 40, 187-19. 

  8. Fujii, S., Polprasert, C., Tanaka, S., Lien, N.P.H., Qiu, Y. (2007). New POPs in the environment: distribution, bioaccumulation and treatment of perfluorinated compounds. J. Water Suppl. Res. Technol. AQUA, 56, 313-326. 

  9. Giesy, J. P. and Kannan, K. (2001). Global distribution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in wildlife, Environ. Sci. Technol., 35, 1339-1342. 

  10. Han, X., Snow, T.A., Kemper, R.A., Jepson, G.W. (2003). Binding of perfluorooctanoic acid to rat and human plasma proteins, Chem. Res. Toxicol., 16, 775-781. 

  11. Hekster, F.M., Laane, R.W., Vooqt, P. (2003). Environmental and toxicity effects of perfluoroalkylated substances. Rev. Environ. Contam. Toxicol., 179, 99-121. 

  12. Hinderliter, P.M., DeLorme, M.P., Kennedy, G.L. (2006). Perfluorooctanoic acid: Relationship between repeated inhalation exposures and plasma PFOA concentration in the rat. Toxicol., 222, 80-85. 

  13. Kim, B. H. and Lee, J. Y. (2010). Policy & Management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in Korea. KIC news, 13, 1-10. 

  14. Lau, C., Anitole, K., Hodes, C., LAi, D., Pfahles-Hutchens, A., Seed, J. (2007). Perfluoroalkyl acid: a review of monitoring and toxicological findings, Toxicol. Sci., 99, 366-394. 

  15. Lein, N.P.H., Fujii, S., Tanaka, S., Nozoe, M., Tanaka, H. (2008). Contamination of perfluorooctane sulfonate(PFOS) and perfluorooctanoate(PFOA) in surface water of the Yodo River basin(Japan). Desalination, 226, 338-347. 

  16. Lin, A.Y., Panchangam, S.C., Lo, C.C. (2009). The impact of semicondutor, electronics and optoelectronic industries on downstream perfluorinated chemical contamination in Taiwanese rivers, Environ. Pollution, 157, 1363-1372. 

  17. Lindstrom, A.B., Strynar, M.J., Libelo, E.L. (2011). Polyfluorinated compounds: past, present and future, Environ. Sci. Technol, 45, 7954-7961. 

  18. Martin, J.W., Muir, D.C.G., Moody, C.A., Ellis, D.A., Kwan, W.C., Solomon, K.R., Mabury, S.A. (2002). Collection of Airborne Fluorinated Organics and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Chemic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Anal. Chem., 74, 584-590 

  19. Post, G.B., Louis, J.B., Cooper, K.R., Boros-Russo, B.J., Lippincott, R.L. (2009). Occurrence and Potential Significance of Perfluorooctanoic Acid (PFOA) Detected in New Jersey Public Drinking Water Systems, Environ. Sci. Technol., 43, 4547-4554. 

  20. Post, G.B., Cohn, P.D., Cooper, K.R. (2012). Perfluorooctanoic acid, an emerging drinking water contaminant: A critical review of recent literature, Environ. Res., 116, 93-117. 

  21. Prevedouros, K., Cousins, I.T., Buck, R.C., Korzeniowski, S.H. (2006). Source, fate and transport of perfluorocaboxylates, Environ. Sci. Technol., 40, 32-44. 

  22. Shin, M.Y., Im, J.K., Kho, Y.L., Zoh, K.D. (2009).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FOA and PFOS in the Effuent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in Han River, J. Environ. Hlth. Sci., 35, 334-342. 

  23. Takagi, S., Adachi, F., Miyano, K., Koizumi, Y., Tanaka, H., Mimura, M., Watanabe, I., Tanabe, S., Kannan, K. (2008). Perfluorooctanesulfonate and perfluorooctanonate in raw and treated tap water from Osaka, Japan. Chemosphere, 72, 1709-1412. 

  24. 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 (2003), http://www.ewg.org/research/pfcs-global-contaminants/pfoa-pollutesair-drinking-water-food#WaJT7U2QwdU (May 1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