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고산지역 TSP, PM2.5 대기에어로졸의 조성 및 오염 특성
Composition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TSP, PM2.5 atmospheric aerosols at Gosan site, Jeju Island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3 no.4, 2010년, pp.371 - 382  

이순봉 (제주대학교 화학과) ,  강창희 (제주대학교 화학과) ,  정덕상 (제주대학교 화학과) ,  고희정 (제주대학교 화학과) ,  김행범 (제주대학교 화학과) ,  오용수 (제주대학교 화학과) ,  강혜림 (제주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TSP (total suspended particulate), PM2.5 (particulate matter, below $2.5\;{\mu}m$ particle size) 대기에어로졸을 채취, 분석하여 에어로졸의 조성과 오염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산지역 대기에어로졸에서 nss(non-sea salt)-$SO_4^{2-}$$NH_4^+$은 다른 국내 청정지역 및 도시지역에 비해 높은 조성비를보이고 $NO_3^-$는 상대적으로 낮은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에어로졸 성분의 입경별 분포를 비교해 본 결과, 인위적 기원의 nss-$SO_4^{2-}$, $NO3_^-$, $NH_4^+$ 성분들은 대체적으로 미세입자에, 토양기원의 nss-$Ca^{2+}$과 해염기원의 $Na^+$, $Cl^-$, $Mg^{2+}$은 상대적으로 조대입자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절별로는 봄철에 nss-$Ca^{2+}$, Al, Fe, Ca, $NO_3^-$ 성분의 농도가 크게 상승하고, nss-$SO_4^{2-}$은 여름과 봄철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인자분석 결과, 에어로졸은 대체적으로 인위적 발생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다음으로 해양 및 토양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역궤적 분석법으로 에어로졸 성분의 유입경로를 조사해 본 결과, nss-$SO_4^{2-}$, $NO_3^-$, Pb, nss-$Ca^{2+}$ 성분들은 대체적으로 기류가 중국대륙으로부터 제주지역으로 이동할 때 훨씬 더 높은 농도를 나타낸 반면, 북태평양에서 제주지역으로 이동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SP and PM2.5 atmospheric aerosols have been collected at Gosan site of Jeju Island, and their composition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The composition ratios of nss (non-sea salt)-$SO_4^{2-}$ and $NH_4^+$ were higher in Gosan site than those i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2001년에 수행한 ACEAsia 프로그램에서는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의 영향을 집중적으로 측정하였다.9 이 프로그램에서는 황사를 비롯한 아시아지역 대기에어로졸의 크기 분포, 화학 조성, 광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아시아 에어로졸이 지구온난화 효과를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2005년부터는 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현상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ABC (Atmospheric Brown Cloud) 프로젝트가 UNEP의 주관 하에 진행 중에 있고, 이 연구는 약 10년간 지속될 예정이다.
  • 이러한 대기에어로졸의 오염영향을 집중적으로 관측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미국 NASA와 IGAC (International Global Atmospheric Chemistry)이 공동으로 주관한 1991년의 PEM(Pacific Exploratory Mission)-West A와 1994년의 PEM-West B를 들 수 있다. PEM-West A는 동아시아와 북태평양 지역에서 에어로졸을 비롯한 각종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고, PEM-West B는 북반구의 내륙 여러 나라에서 발생하여 태평양으로 장거리 이동하는 인위적 오염물질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8 또한 최근에 IGAC의 주관 하에 대기에어로졸의 복사 강제력과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ACE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 따라서 주요 대기에어로졸 성분들의 장거리 이동 및 유입 경로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궤적 분석을 통해 기류의 이동궤적을 추적함으로써 에어로졸 성분들의 유입경로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고산지역 TSP 에어로졸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인위적 기원의 nss-SO42−, NO3, Pb 성분과 토양 지표성분인 nss-Ca2+을 대상으로 역궤적 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성분들의 유입경로를 추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에어로졸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대기에어로졸은 입자크기에 따라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르고 대기질, 인체 건강에 대한 영향도 다르게 나타난다.4일반적으로 입자크기는 2.5 μm을 기준으로 조대입자(coarse particle)와 미세입자(fine particle)로 분류된다. 조대입자는 비산된 토양입자, 해염 등과 같이 기계적 분쇄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대부분 자연적 발생원에 의해 생성된다.
우리나라가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영향을 많이 받는 이유는? 최근 동북아 국가들의 급속한 산업화는 이 지역의 대기오염을 심화시키고 있고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현상은 인접 국가들 간의 환경문제로 확대되고 있다.1,2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 지점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편서풍에 의한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인접한 중국에서 이동하는 월경성(transboundary)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를 평가, 관리하기 위한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대입자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5 μm을 기준으로 조대입자(coarse particle)와 미세입자(fine particle)로 분류된다. 조대입자는 비산된 토양입자, 해염 등과 같이 기계적 분쇄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대부분 자연적 발생원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조대입자는 주로 화석연료의 불연소 성분, 광공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금속 성분, 지각기원 성분, 해수 성분 등을 포함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한진석, 김영미, 안준영, 공부주, 최진수, 이상욱, 이석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1), 99-106(2006). 

  2. S. Hatakeyama, K. Mukai, F. Sakamaki, H. Murano. H. Bandow and Y. Komazaki, Water Air Soil Pollut., 130, 373-378(2001). 

  3. 강창희, 고희정, Wlodek Zahorowski,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5), 612-624(2007). 

  4. 김성천, 강달선, 차영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6(2), 108-115(2000). 

  5. J. S. Lighty, J. M. Veranth and A. F. Sarofim, J. Air Waste Manag. Assoc, 50(9), 1565-1618(2000). 

  6. J. H. Seinfeld and S. N. Pandi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529, Wiley & Sons, New York, U.S.A., 1998. 

  7. 신훈중 이태정, 김동술,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1), 67-77(1996). 

  8. J. M. Hoell, D. D. Davis, S. C. Liu, R. Newell, M. Shipham, H. Akimoto, R. J. McNeal, R. J. Bendura and J. W. Drewry, J. Geophys. Res., 101(D1), 1641-1653 (1996). 

  9. B. J. Huebert, T. Bates, P. B. Russell, G. Shi, Y. J. Kim, K. Kawamura, G. Carmichael and T. Nakajima, J. Geophys. Res., 108(D23), 8633(2003). 

  10. T. Nakajima, S. C. Yoon, V. Ramanathan, G. Y. Shi, T. Takemura, A. Higurashi, T. Takamura, K. Aoki, B. J. Sohn, S. W. Kim, H. Tsuruta, N. Sugimoto, A. Shimizu, H. Tanimoto, Y. Sawa, N. H. Lin, C. T. Lee, D. Goto and N. Schutgens J. Geophys. Res., 112(D24S91), 23(2007). 

  11. M. Zhang, I. Uno, Y. Yoshida, Y. Xu, Z. Wang, H. Akimoto, T. Bates, T. Quinn, A. Bandy and B. Blomquist, Atmos. Environ., 38, 6947-6959(2004). 

  12. 김원형, 강창희, 홍상범, 고희정, 이 원, 분석과학, 20(5), 383-392(2007). 

  13. K. F. Ho, S. C. Lee, C. K. Chan, J. C. Yu, J. C. Chow and X. H. Yao, Atmos. Environ., 37(1), 31-39(2003). 

  14. M. Nishikawa and S. Kanamori, Anal. Sci., 7, 1127-1130(1991). 

  15. D. Koch, Atmos. Environ., 35, 739-746(2001). 

  16. 국립환경연구원연구보고서, '배경농도지역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 집중 조사(V)', 국립환경과학원, 301(2005). 

  17. 최민규, 여현규, 임종억, 조기철, 김희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6), 573-583(2000). 

  18. 이학성, 강충민, 강병욱, 김희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2), 113-120(1999). 

  19. G. C. Fang, Y. S. Wu, S. H. Huang and J. Y. Rau, Atmos. Environ., 39, 3003-3013(2005). 

  20. K. Oravisjarvi, K. L. Timonen, T. Wiikinkoski, A. R. Ruuskanen, K. Heinanen and J. Ruuskanen, Atmos. Environ., 31(8), 1013-1022(2003). 

  21. X. Huang, I. Olmez, N. K. Aras and G. E. Gorden, Atmos. Environ., 28(8), 1385-1391(1994). 

  22. 이보경, 김영훈, 하재윤, 이동수,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4), 439-458(2005). 

  23. Y. Wang, G. Zhuang, X. Zhang, K. Huang, C. Xu, A. Tang, J. Chen and Z. An, Atmos. Environ., 40(16), 2935-2952(2006). 

  24. H. Minoura, K. Takahashi, J. C. Chow and J. G. Watson, Atmos. Environ., 40(14), 2478-2487(2006). 

  25. V. M. Kerminen, T. A. Parkkanen and R. E. Hillamo, Atmos. Environ., 31(17), 2753-2765(1997). 

  26. 김기현, 이강웅, 허철구, 강창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3(2), 161-170(1997). 

  27. 박민하, 김용표, 강창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7(6), 487-492(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