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창원시를 대상으로-
An Analysis of Cold Air Generation Area Considering Climate-Ecological Function -A Case Study of Changwo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o.1, 2010년, pp.114 - 127  

송봉근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창원시를 사례지역으로 기후생태적 기능평가요인을 활용하여 차고 신선한 공기 생성지역을 규명하는 것이다. 기후생태적 기능평가는 찬공기 생성 및 유입기능지역의 면적, 농지 및 초지비율, 평균경사도, 횡단면유형, 평균경사길이, 계곡기저부 거칠기의 6개 요인들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지의 평가요인별 분석결과는 찬공기 생성능력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찬공기 생성기능이 가장 높은 1등급 지역은 전체 연구대상지의 3.51%, 2등급 지역 13.48%, 3등급 지역 31.65%, 4등급 지역 27.28%, 5등급 지역 24.09%를 각각 차지하였다. 찬공기 생성지역의 공간적 분포에 따르면, 정병산과 창원터널, 안민터널 일대 도시외곽 산지의 계곡부 지역들이 높은 평가등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도시외곽의 찬공기 생성지역에 대한 장기적인 미기상 모니터링을 토대로 기후생태적 보전지역의 설정과 바람통로 조성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ld and fresh air producing areas using climate-ecological functions in Changwon city, Gyeongsangnam-do, South Korea. The evaluation of climate-ecological functions were composed of the six factors: patch size with cold air generation and inflow function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독일지역연구학회의 기후 생태적 기능에 대한 평가지침을 활용하여 차고 신선한 공기의 생성 및 이동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으로 유입되는 차고 신선한 공기의 생성지역을 파악하여 도시의 바람길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의 구축에 그 목적이 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도시의 공간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교외지역에서 유입되는 찬공기 생성지역을 파악하여 바람길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향후에는 찬공기 생성 및 유입지역을 중심으로 자동기상측정망(Automated Weather System)을 설치하여 분석결과에 대한 현지측정 및 검증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바람길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도시지역으로 유입되는 찬공기 생성지역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독일지역연구학회의 기후생태적 기능 평가지침을 활용하였다. 평가요인은 찬공기 생성 및 유입가능지역의 면적크기, 농지 및 초지비율, 평균경사도, 횡단면유형, 평균경사길이, 계곡기저부의 거칠기로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각각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생태적 기능평가는 어떤 요인들로 이루어져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창원시를 사례지역으로 기후생태적 기능평가요인을 활용하여 차고 신선한 공기 생성지역을 규명하는 것이다. 기후생태적 기능평가는 찬공기 생성 및 유입기능지역의 면적, 농지 및 초지비율, 평균경사도, 횡단면유형, 평균경사길이, 계곡기저부 거칠기의 6개 요인들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지의 평가요인별 분석결과는 찬공기 생성능력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도시기후변화와 대기오염문제를 지속적이며 친환경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는? 최근 도시는 성장과정 속에서 급속한 인구 증가로 인해 무질서한 도시 확산과 난개발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후 및 대기오염과 같은 대기환경문제를 낳고 있다. 그 중 국지적 개발에 따른 지형 및 열수지 변화는 야간시간대의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현상을 야기하고(Oke, 2004), 이로 인한 도시지역의 기상조건 변화는 대기오염물질 정체 등의 대기오염문제를 발생시키면서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도시기후변화와 대기오염문제에 대한 통합적 대응수단은 부재하고, 단순히 대기환경기준과 같은 정책적 선택이나 기계장치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법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개선방안에 국한되어 있다(송영배, 2007). 따라서 도시기후변화와 대기오염문제를 지속적이며 친환경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그 중에서 도시공간에 바람을 활용하는 연구가 부각되고 있다.
농지 및 초지비율 평가에서, 기후생태적 기능이 높게 평가되는 이유는? 농지 및 초지비율 평가는 일정 단위 면적당 농지와 초지, 나지 등의 비율을 기준으로 하며, 그 비율이 높을수록 찬공기의 발생량이 많고 공기유동에 대한 장애요인이 적기 때문에 기후생태적 기능이 높게 평가된다. 농지 및 초지비율을 기준으로 한 평가는 areal types 중에서 농지와 나지, 초지 등을 나타내는 unS 유형을 추출한 후, 10m×10m의 단위격자당 비율을 산출하여 평가점수를 부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수봉, 나정화, 정응호. 2006. 친환경적 도시계획-도시열섬연구. 문운당. 서울. 245쪽. 

  2. 박경훈, 김경태, 곽행구, 이우성. 2007. 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활용한 산지습지 분포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94-204. 

  3. 송영배. 2003. 바람통로 계획을 위한 기후생태적 우선지역 분석 및 설정방법. 한국조경학회 31(3):58-73. 

  4. 송영배. 2007. 건강도시를 위한 기후환경계획 바람통로 계획과 설계 방법. 그린토마토, 서울. 2-72쪽.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서울시 도시기후지도 제작.구축 연구(1차년도). 56-84쪽. 

  6. 정성은, 이우균, 곽두안, 최현아. 2008. LiDAR의 높이 및 밀도 정보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3D기반 분류.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6(3):373-383. 

  7. 정응호, 김대욱, 류지원, 차재규, 손경수. 2008.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 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1(2):73-84. 

  8. 창원시. 2009. 창원시 환경지도 제작 및 GIS 구축 연구보고서. 73-113쪽. 

  9. Scherer, D. 1999. Improved concepts and methods i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urban climate for optimizing urban planning processes. Atmospheric Environment 33:4185-4193. 

  10. Ellefsen, R. 1998. High Resolution Urban Morphology for Urban Wind Flow Modeling. Atmospheric Environment 32:7-17. 

  11. Eum, J.H. 2008.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Planen Bauen Umwelt der Technischen Universitat Berlin zur Erlangung des akademischen Grades Doktorin der Ingenieurwissenschaften, vorgelegt von Master of Landscape Architecture. 36pp. 

  12. Gunter, B. 1999.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mountain-valley breeze circulation of air pollution in the vicinity of Freiburg. Atmospheric Environment 33:4019-4027. 

  13. Helbig, A., Baumuller J., Kerschgens, M.J. 1999. Stadtklima und Luftreinhaltung, Berlin. 

  14. Marks, R., Muller, M. 1992. Anleitung zur Bewetung des leistungsvermogens des Landschaftshauhaltes(BALVL). Forschungen zur deutschen Landeskunde Bd 229. 

  15. Murray, A.T., Shyy, T.K. 2000. Integrating attribute and space characteristics in choropleth display and spatial data m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4:649-667. 

  16. Oke, T.R. 2004. Siting and exposure of meteorological instruments at urban sites. 27th NATO/CCMS International Technical Meeting on Air Pollution Modelling and its Application, Banff. 1-14. 

  17. Ronald, M. Cionco. 1998. High resolution urban morphology data for urban wind flow modeling. Atmospheric Environment 32:7-17. 

  18. Sermin, Tagil. 2008. GIS-Based Automated Landforms Classification and Topographic, Landcover and Geologic Attributes of Landforms Around the Yazoren Polje, Turkey. Journal of Applied Sciences 8(6):910-921. 

  19. Son, K.S., Jung, E.H., Kim, D.W., Ryu, J.W., Cha, J.G. 2010. A Study on Planning Methods of Apartment Complex for a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4:1-4. 

  20. Ute, Fehrenbach. 2001. Automated classification of planning objectives for the consideration of climate and air quality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for the example of the region of Basel/Switzerland. Atmospheric Environment 35:5605-56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