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 유형별 공간특성을 고려한 ENVI-met 모델의 현장측정자료 기반의 검증
Validation of ENVI-met Model with In Situ Measurements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 Use Type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2, 2014년, pp.156 - 172  

송봉근 (창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기후 분석 프로그램인 ENVI-met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주요 토지이용 유형별 공간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조사구역의 현장측정 기상자료와 비교하였다. 현장측정은 주간시간대 2일, 야간시간대 1일 총 3일간이동식으로 측정하였고, ENVI-met 모델링은 현장측정과 동일한 시간대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측정항목별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간시간대의 순복사에너지는 ENVI-met 모델링이 현장측정값보다 약 $300Wm^{-2}$ 정도 높았고, 야간시간대는 현장측정값이 $200Wm^{-2}$ 정도 더 높았다. 기온은 주간 및 야간 시간대 모두 현장 측정값이 약 $3{\sim}6^{\circ}C$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면온도도 현장측정값이 ENVI-met 모델링보다 약 $7{\sim}13^{\circ}C$ 더 높았다. 풍속은 ENVI-met 모델링과 현장측정값 간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기온자료의 $R^2$값이 약 0.6정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에, 나머지 순복사에너지와 표면온도, 풍속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ENVI-met 모델링이 태양 및 지구복사에너지를 과대 또는 과소 예측하고 있으며, 모델링 및 현장측정을 위해 선정된 조사구역들을 둘러싸고 있는 인접한 주변 지역의 공간구조적, 미기후적 특성 차이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measures and compares on-site net radiation energy, air temperature, wind speed, and surface temperature considering various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a focus on land use types in urban areas in Changwon, Southern Gyeongsangnam-do, to analyze the accuracy of an ENVI-met model, whi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계획도시로서 토지이용 유형별 미기후 모델의 적용과 현장 측정자료의 비교가 가능한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및 의창구 도심지역 대상으로 국내·외적으로 미기후 분석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ENVI-met 모델링에 의한 기상요소 분석결과와 현장측정값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모델링 결과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 (2011)은 수공간 조성에 의한 열섬현상의 저감 효과를 ENVI-met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이와 같이 많은 선행연구에서 미기후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공간에서의 복사에너지와 기온, 바람 등 다양한 미기후적 요소의 변화를 예측・분석하여 도시 및 환경계획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기후 모델의 활용처와 장점은 무엇인가? 미기후 모델은 녹지공간의 조성과 건물의 배치형태, 피복재질의 교체 등 다양한 공간설계기법의 적용에 따른 열환경 및 미기후적 개선효과를 사전에 비교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Ozkeresteci et al., 2003; Chen et al., 2009). 또한 미기후 모델은 특정한 지역 및 지점에서 보다 정확한 기상 및 기후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현장 측정 방법의 한계점인 미측정 지역 및 지점의 자료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Sun et al., 2005).
ENVI-met이란 무엇인가? ENVI-met은 도시의 공간을 지표면, 구조물, 식생에 대한 정보를 격자형태로 입력하여 기류, 유체의 흐름, 온도, 습도, 복사에너지 등의 분포를 3차원으로 예측할 수 있는 미기후 분석 프로그램이다(Yu and Hien, 2006; Winston et al., 2011).
ENVI-met의 공간적 및 시간적 해상도는 각각 어떠한가? , 2011). 공간적 해상도는 0.5~10m이고, 시간적 해상도는 10초이며, 24~48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Ng et al., 2012; Bruse and Fleer,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use, M. and H. Fleer. 1998. Simulating surface-plant-air interactions inside urban environments with a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Environment Modeling & Software 13:373-384. 

  2. Changwon-si. 2009. The construction of Changwon-si environmental atlas and GIS DB(1st). Changwon-si Research Report, Changwon, South Korea (창원시. 2009. 창원시 환경지도 제작 및 GIS 구축 연구보고서(1차년도)). 

  3. Chen, H., R. Ooka, H. Huang and T. Tsuchiya. 2009. Study on mitigation measures for outdoor thermal environment on present urban blocks in Tokyo using coupled simulation. Building and Environment 44:2290-2299. 

  4. Chow, W.T.L. and A.J. Brazel. 2012. Assessing xeriscaping as a sustainable heat island mitigation approach for a desert city. Building and Environment 47:170-181. 

  5. Chow, W.T.L., R.L. Pope, C.A. Martin and A.J. Brazel. 2011. Observing and modeling the nocturnal park cool island of an arid city: horizontal and vertical impact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03:197-211. 

  6. Jung, W.S., J.K. Park and H.W. Lee. 2006. An analysis on influence of geographical variation induced by development affecting to the local scale wind environment-numerical simulation using the Envi-me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mospheric Environment 22(6):888-903 (정우식, 박종길, 이화운. 2006. 개발에 따른 지형변화가 국지 바람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Envi-ment 모형을 이용한 수치모의-. 한국환경과학회지 22(6):888-903). 

  7. Kim, D.W., J.K. Kim and E.H. Jung. 2010. An analysis of micro-climate environmental changes followed by establishment of an urban park-focused on the Junggu in Daegu city-.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1(2):77-94 (김대욱, 김중권, 정응호. 2010.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미기후환경의 변화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2):77-94). 

  8. Kim, M.K., H.W. Lee, W.G. Dou and W.S. Jung. 2009. An analysis of wind field around th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in the urban area by using the Envi-met model.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9):941-952 (김민경, 이화운, 도우곤, 정우식. 2009. Envi-met 모델을 이용한 도심지역 대기오염측정망 주변의 바람장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8(9):941-952). 

  9.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patients with heat related illness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질병관리본부. 2013.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 주간 건강과 질병 보고서). 

  10. Kruger, E.L., F.O. Minella and F. Rasia. 2011. Impact of urban geometry on outdoor thermal comfort and air quality from field measurements in Curitiba, Brazil. Building and Environment 46:621-634. 

  11. Lee, J.A., D.Y. Jung, J.H. Chon, S.M. Lee and Y.B. Song. 2010. An evaluation of human thermal comfort and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by spatial stru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12-20 (이정아, 정대영, 전진형, 이상문, 송영배. 2010. 공간구조별 열쾌적성 평가와 열환경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8(5):12-20). 

  12. Lee, W.S., S.G. Jung, K.H. 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42-154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13. Lim, E.N., W.S. Lee, C.H. Choi, B.G. Song and S.G. Jung. 2013. An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on urban neighborhood park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159-170 (임은나, 이우성, 최철현, 송봉근, 정성관. 2013. 도시근린공원의 열환경 개선을 위한 열쾌적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159-170). 

  14. Middel, A., K. Hab, A.J. Brazel, C.A. Martin and S. Guhathakurta. 2014. Impact of urban form and design on mid-afternoon microclimate in Phoenix local climate zon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2:16-28. 

  15. Ng, E., L. Chen, Y. Wang and C. Yuan. 2012. A study on the cooling effects of greening in a high-density city: an experience from Hong Kong. Building and Environment 47:256-271. 

  16. Oke, T.R. 1987. Boundary Layer Climates(2nd). London. Methuen. pp.1-10. 

  17. Oliveira, S., H. Andrade and T. Vaz. 2011. The cooling effect of green spaces as a contribution to the mitigation of urban heat: a case study in Lisbon. Building and Environment 46(11):2186-2194. 

  18. Ozkeresteci, I. K. Crewe, A.J. Brazel and M. Bruse. 2003. Use and evaluation of the Envi-met model for environment design and planning : an experiment on linear parks. Proceedings of the 21th International Cartographic Conference. pp.402-408. 

  19. Park, K.Y., S.W. Lee, Y.J. Shim and H.Y. Hwang. 2011. Analysis of the mitigation effects of urban heat island through creation of water spac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1(5):13-18 (박기용, 이선우, 심용주, 황희연. 2011. 수공간 조성을 통한 도시의 열섬현상 저감효과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1(5):13-18). 

  20. Park, S.K. 2011. Human-urban radiation exchange simulation model, Ph.D. Thesis, University of Victoria, B.C. Canada. 

  21. Park, S.K., S.E. Tuller and M. Jo. 2014. Application of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UTCI) for microclimate analysis in urban thermal environmen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5:146-155. 

  22. Ratti, C., D. Raydan and K. Steemers. 2003. Building form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archetypes, analysis and an arid climate. Energy and Buildings 35:49-59. 

  23. Samaali, M., D. Courault, M. Bruse, A. Olioso and R. Occelli. 2007. Analysis of a 3D boundary layer model at local scale: validation on soybean surface radiation measurements. Atmospheric Research 85:183-198. 

  24. Seo, H.S., Y.G. Kim and G.S. Young. 2011. Study on the change of wind field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location of high-rise building using micrometeorology numercial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3(5):340-352 (서홍석, 김유곤, 양고수. 2011. 미기상 수치 모델을 이용한 고층아파트 입지에 따른 바람장 및 기온 변화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33(5):340-352). 

  25. Song, B.G. 2014.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methodology for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and heat island effect in urban area. Ph.D. Thesis, Univ. of Changwon, Changwon, Korea (송봉근. 2014.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및 열섬효과 완화를 위한 환경계획 기법의 개발.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Song, B.G. and K.H. Park. 2012. Analysis of heat islan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 16-29 (송봉근, 박경훈. 2012. 야간시간대 도시공간을 고려한 열섬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16-29). 

  27. Song, B.G. and K.H. Park. 2014. Validation of ASTER surface temperature data with in situ measurements to evaluate heat islands in complex urban areas. Advances in Meteorology. http://dx.doi.org/10.1155/2014/620410. 

  28. Song, D.W. 2012. An analysis of local wind field by location of industrial complex using CALMET and Envi-me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3):417-429 (송동웅. 2012. CALMET 및 ENVI-MET를 이용한 산업단지 입지에 따른 국지 바람장 분석. 환경영향평가학회지 21(3):417-429). 

  29. Sun, Y.J., J.F. Wang, R.H. Zhang, R.R. Gillies, Y. Xue and Y.C. Bo. 2005. Air temperature retrieval from remote sensing data based on thermodynamic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80:37-48. 

  30. Taleghani, M., M. Tenpierik, A. Dobbelsteen and D.J. Sailor. 2014. Heat in courtyards: a validated and calibrated parametric study of heat mitigation strategies for urban courtyards in the Netherlands. Solar Energy 103:108-124. 

  31. Winston, T.L.C., L.P., Ronal, A.M. Chris and J.B. Anthony. 2011. Observing and modeling the nocturnal park cool island of an arid city: horizontal and vertical impacts.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03:197-211. 

  32. Yang, X., L. Zhao, M. Bruse and Q. Meng. 2013. Evaluation of a microclimate model for predicting the thermal behavior of different ground surfaces. Building and Environment 60:93-104. 

  33. Yao, R., Q. Luo and B. Li. 2011. A simplified mathematical model for urban microclimate simulation. Building and Environment 46:253-265. 

  34. Yu, C. and W.N. Hien. 2006. Thermal benefits of city parks. Energy and Buildings 38:105-1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