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공간검정통계량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핫스팟분석
Hotspot Analysis of Urban Crime Using Space-Time Scan Statistic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o.3, 2010년, pp.14 - 28  

정경석 (경남발전연구원 남해안발전연구지원센터) ,  문태헌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2단계 BK21 및 공학연구원) ,  정재희 (경남발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분포 특성만을 고려하고 있는 기존의 핫스팟분석에 대한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공간상에서 나타나는 사건간의 인과관계를 시간영역으로까지 확장하여 동시적 분석이 가능한 시공간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방중소도시인 M시의 범죄자료를 데이터화 하였고, Ripley K함수와 시공간검정통계량 분석을 통해 M시의 범죄분포 패턴을 지도화 하였다. 연구결과, 범죄위험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지역들이 나타났으며, 이들 시공간적 범죄 집중지역들은 기존의 공간분포만을 고려한 범죄분포 패턴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공간적인 범죄분포 특성에 맞는 맞춤형의 경찰 인력 배치와 배분, 그리고 치안행정 서비스 등의 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또한 시공간적인 집중을 보이는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물리적 환경 변화의 유도와 공간이용의 개선 효과를 통해 범죄율을 줄여나가는 범죄예방 활동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rime hotspot areas using the spatio-temporal cluster analysis which is possible to search simultaneously time range as well as space range as an alternative method of existing hotspot analysis only identifying crime occurrence distribution patterns in urba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의 시공간 범죄 분석연구들은 주로 범죄발생시기를 시간별, 요일별, 계절별로 구분하여 범죄분포 특성을 밝혀내고 있으나 시간적 분석과 공간적 분석이 통합되지 못하고 분리되어 종합적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범죄발생 자료의 공간 분포 특성을 가시화하고 범죄지도화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시공간 탐색에 기반한 범죄 핫스팟 분석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시공간검정통계량은 SaTScan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이 가능하며, 과거에 시공간 집중이 발생했던 공간과 시간적 범위를 주로 찾는 retrospective 시공간순열(space-time permutation)방식과 현재의 상황을 근거로 현재 시공간집중이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는 지역을 찾는 prospective 시공간 순열방식의 두 가지 탐색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공간검정통계량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M시의 시공간범죄 집중지역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 이러한 다양한 시공간분석기법들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검정통계량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Kulldorff의 시공간검정통계량은 기존의 점사상 패턴분석에서 제시하지 못했던 지역차원의 시공간집중지역 및 분포 패턴을 탐색해 낼 수 있는 분석방법으로서 점사상 뿐만 아니라 면사상에 대한 분석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분포 특성만을 고려하고 있는 기존의 핫스팟 분석과 달리, 공간상에서 나타나는 사건 간의 인과관계를 시간영역으로까지 확장하여 동시적 분석이 가능한 시공간분석을 통해 범죄다발지역을 새롭게 찾아내고, 이들 지역이 기존의 공간적 분포 특성만을 고려한 핫스팟분석 결과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통계학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시공간 분석기법의 두 가지 유형은 무엇이며, 각각의 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공간통계학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시공간 분석기법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한 부류는 시공간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유무를 측정하고 검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분석기법과 다른 하나는 시공간 군집 패턴을 시각적인 그래프와 도면 형태로 검색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분석기법으로 나뉠 수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로는 녹스 테스트 지수(Knox, 1964)와 맨틀테스트 지수(Mantel, 1967)가 있고, 후자의 분석기법으로는 최근린분석과 K함수를 시공간으로 확대한 Jacquez 테스트(Jacquez, 1996)와 시공간 K함수(Diggle et al., 1995), 그리고 Kulldorff의 시공간검정통계량(Kulldorff, 2001) 분석 등이 있다.
공간적 군집현상과 확산현상에 대한 도시계획가 내지 공간 연구자의 주 관심 두 가지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공간적 군집현상과 확산현상에 대한 도시계획가 내지 공간연구자의 주 관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그 중 하나는 공간적인 사상이 특정한 지역에 집중하여 나타나는 핫스팟(hotspot)지역이나 그 반대의 콜드스팟(coldspot)지역을 찾아내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어떠한 사회·경제적, 그리고 환경적 변인들이 그러한 공간적 군집과 확산을 불러일으켰는가를 밝혀내는 일이다. 이중 핫스팟분석기법은 산업집적지를 분석하거나 생태학에서 식생의 분포, 의료분야에서 특정질병의 공간적 분포 등을 판별해 내는데 주로 사용되어 왔다(Kang, 2009).
Kang, 2009에 따르면, 핫스팟분석기법은 어디에 주로 사용되었는가? 그 중 하나는 공간적인 사상이 특정한 지역에 집중하여 나타나는 핫스팟(hotspot)지역이나 그 반대의 콜드스팟(coldspot)지역을 찾아내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어떠한 사회·경제적, 그리고 환경적 변인들이 그러한 공간적 군집과 확산을 불러일으켰는가를 밝혀내는 일이다. 이중 핫스팟분석기법은 산업집적지를 분석하거나 생태학에서 식생의 분포, 의료분야에서 특정질병의 공간적 분포 등을 판별해 내는데 주로 사용되어 왔다(Kang, 2009). 그러나 대부분의 사례가 공간적 군집현상만을 다루고 있을 뿐, 시간에 의한 집중현상을 간과한 체, 시간이라는 주요한 변수를 적절히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었다(Kullodrff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손학기, 박기호. 2008. 부동산 가격변동 핫스팟 탐색을 위한 공간통계기법. 대한지리학회지 43(3):392-411. 

  2.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허선영. 2009.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 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12-25. 

  3. 정경석. 2010. 공간범죄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1쪽. 

  4. 황선영, 황철수. 2003. GIS를 활용한 도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국토계획 38(1):53-66. 

  5. Andersen, M.A. 2006. A Spatial Analysis of Crime in Vancuouver, British Columbia: A Synthesis of Social Disorganization and Routine Activity Theory. The Canadian Geographer/Le Geographe canadien 50(4):487-502. 

  6. Anselin, L. 1992. Spatial data analysis with GIS: An introduction to application in the social sciences. NCGIA Technical Report, pp.92-10. 

  7. Diggle, P.J., R. Haggkvist and S.E. Morris. 1995. Second-order Analysis of Space-Time Clustering. Statistical Methods in Medical Research 4:124-136. 

  8. Eck, J.E., S. Chainey, J.G. Cameron, M. Leitner and R.E. Wilson. 2005. Mapping Crime: Understanding Hot Spots.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pp.23-25. 

  9. Goldsmith, V., P. MGuire, J. Mollenkpof and T. Ross. 2000. Analyzing Crime Patterns: Frontiers of Practice. Thousand Oaks, Sage, pp.3-12. 

  10. Hirschfield, A., P. Brown and P. Tod. 1995. GIS and the Analysis of Spatiallyreferenced Crime Data: Experiences in Merseyside, UK.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12:191-210. 

  11. Jacquez, G.M. 1996. A k Nearest Neighbour Test For Space-Time in Interaction. Statistics in Medicine 15:1935-1949. 

  12. Kang, H.J. 2009. Detecting agglomeration processes using space-time clustering analyse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45(2):291-311. 

  13. Knox, E.G. 1964. Epidemiology of Childhood Lukaemia in Northumberland and Durham. British Journal of Preventive and Social Medicine 18:17-24. 

  14. Kulldorff, M. and N. Nagarwalla. 1995. Spatial disease clusters: Detection and Inference. Statistics in Medicine 14:799-810. 

  15. Kulldorff, M. 1997. A Spatial Scan Statistic.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26:1481-1496. 

  16. Kulldorff, M. 2001. Prospective Time-periodic Geographical Disease Surveillance using a Scan Statistic.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A164:61-72. 

  17. Kulldorff, M., R. Heffernan, J. Hartman, R. Assuno and F. Mostashari. 2005. A Space-Time Permutation Scan Statistic for Disease Outbreak Detection. PLos Medicine 2(3):216-224. 

  18. Levine, N. 2005. CrimeStat: A Spatial Statistics Program for the Analysis of Crime Incident Location. Ned Levine & Associates, Houston, TX,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Washington DC. Chapter9. 8pp. 

  19. Mantel, N. 1967. The Detection of Disease Clustering and a Generalised Regression Approach. Cancer Research 27:209-220. 

  20. Murray, T.A., I. McGuffog, S.J. Western, and P. Mullins. 2001. Exploratory Spatial Data Hotspot Analysis of Urban Crime Using Space-28 Time Scan Statistics Analysis Techniques for Examining Urban Crim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1(2):309-329. 

  21. Ripley, B.D. 1976. The Second-Order Analysis of Stationary Point Processes. Journal of Applied Probability 13:255-266. 

  22. Shimada, T. 2004. Spatial Diffusion of Residential Burglaries in Tokyo: Using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Behaviormetrika 31(2):169-181. 

  23. Weisburd, D. 1997. Reorienting Crime Prevention Research and Policy: From the Causes of Criminality to the Context of Crim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