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 네트워크를 따른 교통사고 핫스팟의 시각화
A Visualization of Traffic Accidents Hotspot along the Road Network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1, 2018년, pp.201 - 213  

조나혜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강영옥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 예방활동으로 자동차 보유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자동차 1만대 대비 사고 건수는 전국에서 광주와 함께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적 재난인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교통사고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연구한 초기 연구들은 교통사고 클러스터 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행정구역 별 교통사고 건수를 집계하거나, 커널밀도 방법을 통해 밀도를 추정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다수를 이루었다. 그러나 교통사고는 도로를 따라 발생하는 사건이기 때문에 도로상에서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찾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 네트워크를 따라 교통사고 집중 지역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방법으로 교통사고를 가장 가까운 도로 네트워크에 할당한 뒤, Getis-Ord $Gi^*$에 의한 핫스팟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분석하였다. 하나는 10m 단위의 일정한 도로 링크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도로구간별 단위 길이 당 평균 교통사고를 계산하여 교통사고 밀집구간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교통사고가 집중되는 특정 도로 구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두 번째 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도로링크의 특성에 따라 교통사고 집중지역이 길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방법에 의한 교통사고 다발구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향후 해당 지역의 교통환경을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명확한 구간을 파악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car accidents has been decreasing steadily due to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in Korea. However, the number of accidents in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vent traffic acci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 네트워크를 따른 교통사고 밀집 구간을 분석하기 위하여 도로 링크를 기반으로 교통사고 핫스팟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집중지역을 시각화하고자 한다. 또한 정확한 교통사고 집중 구간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안하고, 다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3년 서울시 교통사고 데이터를 서울시 도로 링크에 할당하여 교통사고가 어떤 도로 구간 상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는지를 시각화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교통사고 공간적 특성 분석 및 시각화는 네트워크를 고려하지 않고 밀도 추정법에 의한 공간적 밀집 지역을 찾는 연구가 다수 존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적 재난인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로 행정구역 별 교통사고 건수를 집계하거나, 커널밀도 방법의 밀도를 추정하는 분석보다 의미가 있는 방법은? 특히 교통사고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연구한 초기 연구들은 교통사고 클러스터 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행정구역 별 교통사고 건수를 집계하거나, 커널밀도 방법을 통해 밀도를 추정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다수를 이루었다. 그러나 교통사고는 도로를 따라 발생하는 사건이기 때문에 도로상에서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찾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 네트워크를 따라 교통사고 집중 지역을 찾고자 하였다.
교통사고를 분석함에 있어서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무엇인가? 교통사고를 분석함에 있어서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교통사고 집중 지역 (hotspot, black zone)을 찾는 것이다. 기존의 교통사고를 분석하고 시각화한 연구들은 주로 행정경계나 그리드 단위의 밀집 지역을 추출하였기 때문에 도로를 따라 발생하는 교통사고 집중 구간을 찾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교통사고의 공간적 특성분석은 주로 2차원의 교통사고 클러스터 지역을 분석하는데, 그 추세는 어떠한가? 교통사고의 공간적 특성분석은 주로 2차원의 교통사고 클러스터 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커널밀도 추정을 하거나 격자망 형태의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가 다수를 이루었다(Anderson, 2009; Prasannakumar, et al., 2011; Xie, and Yan,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ang YO, Son SR, Cho NH. 2017.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jury Severity in Seoul using Decision Trees and Spatiotemporal Data Visualization.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7(2): 233-254. 

  2. Sung BJ, Bae GH, Yoo HH. 2015.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raffic Accidents in Jinju.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2): 3-9. 

  3. Son SR, Kang YO. 2017. Spatio-temporal Pattern of Traffic Accident of Female Driver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7(2): 89-98. 

  4. Lee SJ, Cho HS, Song WH, Sohn HG. 2015.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 and Influence Factor of Traffic Accident in Seoul.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32-133. 

  5. Hong SK. 1998. Developing a Visualization System for Spatio - Temporal Linear Point Data. The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1): 85-100. 

  6. Anderson TK. 2009.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K-means clustering to profile road accident hotspot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1(3): 359-364. 

  7. Ceder A, Livneh M. 1978. Further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oad accidents and average daily traffic.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10(2): 95-109. 

  8. Chen C, Zhang G, Liu XC, Ci Y, Huang H, Ma J, Chen Y, Guan H. 2016. Driver injury severity outcome analysis in rural interstate highway crashes: a two-level Bayesian logistic regression interpretation. Accid Anal Prev. 97: 69-78. 

  9. Elvik R. 2013. Risk of road accident associated with the use of drug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vidence from epidemiological studies. Accid Anal Prev. 60: 254-267. 

  10. Erdogan S, Yilmaz I, Baybura T, Gullu M. 2008.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ided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case study: city of Afyonkarahisar.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0(1): 174-181. 

  11. Kang YO, Cho NH, Son SR. 2018.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opulation's traffic accidents in Seoul using space-time cube and space-time kernel density estimation. PLoS one, 13(5): e0196845. 

  12. Levine N, Kim KE, Nitz LH. 1995. Spatial analysis of Honolulu motor vehicle crashes: I. Spatial patter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7(5): 663-674. 

  13. McSwiggan G, Baddeley A, Nair G. 2017. Kernel density estimation on a linear network. Scandinavian Journal of Statistics, 44(2): 324-345. 

  14. Ng JC, Hauer E. 1989. Accidents on rural two-lane roads: differences between seven states (with discussion and closure) (No. 1238). 

  15. Okabe A, Okunuki KI, Shiode S. 2006. SANET: a toolbox for spatial analysis on a network. Geographical analysis, 38(1): 57-66. 

  16. Okabe A, Sugihara K. 2012. Spatial analysis along networks: statistical and computational methods. John Wiley & Sons. 

  17. Openshaw S. 1984. Ecological fallacies and the analysis of areal census data. Environment and planning A, 16(1): 17-31. 

  18. Prasannakumar V, Vijith H, Charutha R, Geetha N. 2011. Spatio-temporal clustering of road accidents: GIS based analysis and assessment. Procedia Soc Behav Sci. 21: 317-325. 

  19. Romano B, Jiang Z. 2017. Visualizing Traffic Accident Hotspots Based on Spatial-Temporal Network Kernel Density Estimation. In Proceedings of the 25th ACM SIGSPATI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p. 98). 2017, November. ACM. 

  20. Xie Z, Yan J. 2008. Kernel density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s in a network space.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2(5): 396-406. 

  21. Yamada I, Thill JC. 2004. Comparison of planar and network K-functions in traffic accident 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2(2): 149-158. 

  22. 도로교통공단, http://www.index.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