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 생태환경 변화
A Study on the Eco-Environmental Change of Coastal Area by the Sea Level Ris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3 no.3, 2010년, pp.53 - 63  

김남신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지구적인 해수면상승은 해안지역에 침수와 침식을 일으켜 생태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해수면 변화에 따른 지형 생태환경 변화에 관한 예측모델은 다가올 수 있는 미래의 환경변화를 예측함으로써 해안지역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해안지역에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생태환경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예측모델은 IPCC 시나리오에 따라 해안변화를 예측할 있도록 개발된 SLAMM 모델을 사용하였다. 모델은 한강과 낙동강 하구, 순천만과 함평만을 사례지역으로 100년간의 환경변화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한강하구는 갯벌이 2075년부터 점차 사라졌고, 관목습지와 염생식생대가 발달하였다. 낙동강 하구에서는 2025년부터 관목습지가 감소하였고, 2050년부터 갯벌이 발달하였으며, 김해 평야가 부분적으로 침수되었고, 습지가 형성되었다. 함평만에서 2025년에 염생습지가 퇴적되었고, 2050년까지 확장되었던 갯벌은 그 이후에 부분적으로 침수되었다. 순천만의 갯벌은 2025년 이후 침수로 사라졌으며, 염색습지가 만입지역에 발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lobal sea level rise has an effect on eco-environmental change by the inundation and erosion in the coastal area. Forecasting model on the change of morpho-ecological environments by the sea level change will give us information for coastal area management by predicting environmental change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 A1b 시나리오 해수면상승률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SLAMM(Sea Level Affecting Marshes Model)모델을 이용하여, 한국 주요 해안지역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지형·생태환경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SLAMM 모델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의 생태환경 변화에 대해 예측분석을 실시하였다. SLAMM은 해안지역에서 지구온난화 결과, 해수면 상승에 따라 침수 및 침식 작용으로 나타나는 해안지역의 습지환경 요소들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모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주환, 문승록, 오남선. 2005. 해안 및 항만공학 :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 대한토목학회논문집B. 25(2):151-157. 

  2. 김남신. 2009. 미기복 지형 표현을 위한 DEM 개선.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64-72. 

  3. 박의준. 2000. 해안습지 성장률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순천만 염하구 해안습지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3):153-168. 

  4. 신동훈, 이규석. 2006. 방조제 건설에 의한 해수면 온도 변화 추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224-231. 

  5. 이기철, 이재원, 김용석. 2010. GIS에 기반한 습지목록의 제작과 활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50-61. 

  6. 이홍로, 이재봉. 2005. 다중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새만금 방조제 내측 해수면에 의한 심포항 연안의 간석지 지형 변화 탐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13-22. 

  7. 장동호, 김장수. 2009. 충남 연안 지역에서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평가. 한국지형학회지 16(2):1-13. 

  8. 하경자, 정기용, 장새롬, 김기영. 2006. 복합위성자료(Topex/Poseidon, Jason-1, ERS, Envisat)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수면 고도 변화와 해수면 온도의 상관성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 생태환경 변화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2(6):519-531. 

  9. Church, J.A., N.J. White, R. Coleman, K. Lambeck and J.X. Mitrovica. 2004. Estimate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sea-level rise over the 1950 to 2000 period. Journal of Climate 17:2609-2625. 

  10. Craft, C., J. Clough, J. Ehman, S. Joye, R. Park, S. Pennings, H. Guo and M. Machmuller. 2008. Forecasting the effects of accelerated sea-level rise on tidal marsh ecosystem service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7(2):73-78. 

  11. Galbraith, H., R. Jones, R.A. Park, J.S. Clough, S. Herrod-Julius, B. Harrington and G. Page. 2003. Global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potential losses of intertidal habitat for shorebirds. 19-22 in N. J. Valette-Silver and D. Scavia, eds. Ecological Forecasting: New Tools for Coastal and Marine Ecosystem Management. NOAA, Silver Spring, Maryland. 

  12. Glick, P., J. Clough and B. Nunley. 2007. Sea-level rise and coastal habitats in the Pacific Northwest an analysis for Puget Sound, Southwestern Washington, and Northwestern Oregon. http://www.nwf.org/sealevelrise/pdfs/PacificNWSeaL evelRise.pdf. 

  13. Lee, J.K., R.A. Park, P.W. Mausel and R.C. Howe. 1991. GIS-related modeling of impacts of sea level rise on coastal areas. Proceedings of GIS/LIS '91 Conference 1:356-367. 

  14. Lee, J.K., R.A. Park and P.W. Mausel. 1992. Application of geoprocessing and simulation modeling to estimate impacts of sea level rise on the northeast coast of Florid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8:1579-1586. 

  15. Park, R.A., T.V. Armentano and C.L. Cloonan. 1986a. Predicting the impact of sea level rise on coastal systems. In supplementary proceedings for the 1986 Eastern Simulation Conference pp.149- 153. 

  16. Park, R.A., T.V. Armentano and C.L. Cloonan. 1986b. Predicting the effects of sea level rise on coastal wetlands. In effects of changes in stratospheric ozone and global climate. 4: sea level rise, edited by J.G. Titus, Washington, D.C.: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p.129-152. 

  17. Park, R.A., J. Lee, P.W. Mausel and R.C. Howe. 1991. Predicting impacts of sea level rise with a GIS-based simulation model. State of Indian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nference Proceedings 15-16:74-83. 

  18. Titus, J.G. and C. Richman. 2001. Maps of lands vulnerable to sea level rise: modeled elevations along the U.S. Atlantic and Gulf coasts. Climate Research 18(3):205-228. 

  19. http://warrenpinnacle.com/prof/SLAMM/index.html 

  20. http://www.khoa.go.kr/ 

  21. http://warrenpinnacle.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