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Addiction of Cell Phon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1, 2010년, pp.41 - 50  

정승교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김춘길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addiction to cell phon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563 students and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휴대폰 중독적 사용 정도를 파악하고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비율,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휴대폰 중독적 사용 정도를 파악하고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5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SPSS/WIN 16.
  •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서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특성 중 휴대폰 사용료, 성별, 휴대폰 사용시간, 휴대폰 주요 이용법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휴대폰 사용 교육과 연구에서 기초자료의 확장을 도모함에 연구적 의의가 있다.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으로 구분하여 규명하는 연구와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집단 및 개별적 건강교육에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킬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우울,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바람직한 휴대폰 사용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의 예방 대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보건교육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할 간호학에서 사회적 건강문제인 휴대폰 중독과 관련된 연구는 시급하다고 보아, 본 연구는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같이 중재가 가능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검정함으로써 그들의 바람직한 휴대폰 사용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예방 대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반면에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게 계속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과다사용을 하게 됨에 따라 여러 문제가 발생된다 (Han & Hur, 2004). 휴대폰의 과다 혹은 중독적 사용의 문제로는 첫째, 건강상의 문제로서 과도한 전자파의 노출에 따른 뇌세포의 손상과 뇌종양 (Hardell, Carlberg, Söderqvist, & Hansson, 2008), 자율신경계 및 심박수의 변화 (Andrzejak et al., 2008) 등과 같은 신체적 문제, 그리고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불안하고 초조함이 생기거나 휴대폰이 울리는 것과 같은 금단현상 등 정신적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둘째, 경제적 문제로서 휴대폰 단말기 가격과 요금으로 인한 경제적 곤란을 겪을 수 있으며, 셋째, 언어파괴의 문제로 젊은 층에서 문자메시지 전송용량의 제한을 극복하고 보다 빨리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하여 약어, 축어 등의 과도한 사용으로 심각한 언어파괴를 유발하게 된다 (Lee, 2008). 넷째, 일의 방해나 부적응으로 생활장애를 겪기도 한다. 이때 휴대폰 사용에 따른 증상이 많아질수록 대인관계나 학업성취와 같은 기능의 장애가 심해지게 된다 (Han & Hur, 2004; Yen et al., 2008). 따라서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에 대한 방치는 간과할 수 없는 사회적인 건강 문제로서 교육, 홍보 및 치료가 시급하며 이를 위해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휴대폰 이용자는 얼마인가? 최근 휴대폰은 단순한 통신수단을 넘어 사회구성원의 다수가 사용하는 의사소통의 매체로 급부상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휴대폰 이용자는 30억 명이며 미국인은 2억 6천만 명에 이르고 있고 (Mead, 2008), 우리나라 휴대폰 가입자는 2006년 10월 전체 인구의 82%인 4,000만 명이 넘어 현대인의 일상생활에서 '편리함'을 주고 있으며 (Lee, 2008) 2008년 12월에는 45,495,249명으로 증가되었다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08). 이 휴대폰 이용자 중 대학생은 가장 두터운 20대 연령층에 포함되며 국내 대학생의 99%가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어 (Lee, 2001; Park, W.
휴대폰의 장점은 무엇인가? 휴대폰은 이동성, 휴대성, 즉시성과 같은 편리함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도 모르게 계속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과다사용을 하게 됨에 따라 여러 문제가 발생된다 (Han & Hur,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rzejak, R., Poreba, R., Poreba, M., Derkacz, A., Skalik, R., Gac, P., Beck, B., Steinmetz-Beck, A., & Pilecki, W. (2008). The influence of the call with a mobile phone on heart rate variability parameters in healthy volunteers. Industrial Health, 46, 409-417. 

  2. Burns, N., & Grove, S. K. (1987).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conduct, critique and utilization. Philadelphia: Saunders Company. 

  3. Cho, M. S. (2008). The relation between self-inclination of the adolescent and cell-phone addiction: Mediating effect of the defense mechan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4. Choi, M. K. (2003). Symptoms, depression and cop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433-439. 

  5. Han, K. 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3), 585-592. 

  6. Han, J. L., & Hur, G. H.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Th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8 (6), 138-166. 

  7. Hardell, L., Carlberg, M., Soderqvist, F., & Hansson, M. K. (2008). Meta-analysis of long-term mobile phone use and the association with brain tumors. Internal Journal of Oncology, 32(5), 1097-1103. 

  8. Jenaro, C., Flores, N., Gomez-Vela, M., Gonzalez-Gil, F., & Caballo, C. (2007). Problematic internet and cell-phone use: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health correlates.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15 (3), 309-320. 

  9. Kim, J. I. (1994). An effect aquatic exercise program with self-help group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efficacy on pai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Kim, O. S., & Kim, K. H. (2001). Social support,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in college and working fem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3(3), 363- 372. 

  11. Koh, K. B., Park, J. K., & Kim, C. H. (2000).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4), 707-719. 

  12. Lee, H. J., Kim, M. S., Son, H. K., Ahn, S. H., Kim, J. S., & Kim, Y. H. (2007). Discriminating power of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6), 957-965. 

  13. Lee, H. Y.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 (1), 133-157. 

  14. Lee, I. H. (2001). Motivation for mobile phone uses among collegiate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5 (3), 261-293. 

  15. Lee, S. H., & Hwang, S. T. (2009). Construct validity of the TCI-RS: Comparing temperament and character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n Korean undergraduat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2), 533-548. 

  16. Mead, M. N. (2008). Cancer: Strong signal for cell phone effect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6(10), A422. 

  17.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08, Decemb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tistics. Retrieved February 6, 2009, from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eb site: http://www.mic.go.kr/user.tdf?a 

  18. Myung, S. K., Jeong, B., Lee, W .J., Koh, H. J., Suh, S. Y., Yoo, T. W., & Hwang, H. S. (2000). Standardization of the twoquestion case-finding instrument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the adolesc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1 (1), 100-106. 

  19. Park, D. H.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oxicosis of the adolescent: Focusing on the internet and cellular ph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0. Park, W. K. (2003). The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7(2), 250-281. 

  21. Shen, Y. E. (2009).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hines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tress and Health, 25(2), 129-138. 

  22.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3. Son, H. K., Ahn, S. H., & Lee, H. J. (2006).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ed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i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4), 552-562. 

  24. Song, E.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ing mobile phone and mental health stat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3), 325-333. 

  25. Suh, H. S., Yang, K. S., Kim, N. Y., Kim, H. Y., & Kim, M. K. (2008). Regression using SPSS. Seoul: Hannarae Company. 

  26. Wichianson, J. R., Bughi, S. A., Unger, J. B., Spruijt-Metz, D., & Nguyen-Rodriguez, S. T. (2009). Perceived stress, coping and night-eating in college students. Stress and Health, 25 (3), 235-240. 

  27. Yen, C. F., Tang, T. C., Yen, J. Y., Lin, H. C., Huang, C. F., Liu, S. C., & Ko, C. H. (2008). Symptoms of problematic cellular phone use, functional impair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Adolescence, 10, 1-11. 

  28. Young, K. S. (1996). Psychology of computer use: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 899-9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