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트레스, 외로움 및 자기통제력이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tress, Loneliness and Self-Control on the Addiction of Cell Phon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17 no.2, 2011년, pp.156 - 163  

이영미 (강원대학교 삼척 제2캠퍼스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tress, loneliness, self-control on the addiction of cell phon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467 students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휴대폰 중독적 사용의 차이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외로움과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외로움,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스트레스, 외로움,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스트레스, 외로움,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대학생의 올바른 휴대폰 사용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연구는 초, 중, 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연구는 중독증(Park, 2003), 중독 척도 개발연구(Han & Hur, 2004), 이용 동기(Lee, 2008), 자기효능감 (Chung & Kim, 2010) 등이 있으나,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외로움,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 외로움 및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대학생들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으로 인한 건강문제는? 또한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으로 인한 건강문제로는 전자파로 인한 두통과 기억력 감퇴(Schreier,Huss,&Roosli, 2006), 뇌세포의 손상과 뇌종양(Hardell, Carlberg, Söderqvist, & Hansson, 2008) 및 수면장애, 피로감, 집중력 감소(Salma, Abou, & Napa, 2004), (Visual Display Terminal, VDT)증후군, 손가락 통증, 건초염, 손목증후군 및 디지털 치매증상등(Rim, 2008)의다양한건강문제가유발될수있다. 특히 이런 매체의 대중화로 인해 의사소통과 정보가 집중되면서인터넷이나 비디오게임 그리고 휴대폰 사용에 따른 행동중독이라는 새로운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Carbonell, Guardiola, Beranuy, & Belles, 2009).
대학생의 스트레스, 외로움,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하여 본 결과는? 본 연구의 대학생들은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이 7명(1.5%)으로나타났으며, 잠재적 위험 사용집단은 420명(89.9%), 비중독적 사용 집단은 40명(8.6%)으로 나타났으며, 중독적 사용집단의 비율은 높지 않았으나 잠재적 위험 사용집단이 89.9%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이 휴대폰을 장시간 사용할 때 경험하는 다양한 건강문제도 호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은 주로 여학생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휴대폰 과사용에 대하여 인지를 하고 있는 학생과 과사용으로 인한 건강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에서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외로움, 자기통제력과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의 상관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외로움이 높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성별로 나타났으므로,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을 위한 예방프로그램 개발 시 이런 변수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를 포함하는 중재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 이외의 변인들에 대한 연구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변수를 고려하여 프로그램 중재 후에 결과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우리나라의 2010년 10월 기준으로 휴대폰 가입자 수는? 연구의 필요성 최근 휴대전화는 사회구성원의 대다수가 사용하는 현대 사회생활에 의사소통을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물품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휴대폰 가입자 수는 2010년 10월말 기준으로 50,325,191명으로 국민 일인당 한 대 꼴로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10). 휴대전화는 많은편리함과이점을일상생활에주지만,어디서든지사용이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을 계속 하거나 과다사용하게 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an & Hur,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arbonell, X., Guardiola, E., Beranuy, M., & Belles, A. (2009).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internet, video games and cell phone addiction.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7(2), 102-107. 

  2. Cha, M. S. (2006). Moderating Variables on The Effect of Loneliness on Danger of The Mobile Phone Addiction to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 Chung, S. K., & Kim, C. G. (2010). Influences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addiction of cell phon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1), 41-50. 

  4. Han, J. L., & Hur, G. H. (2004).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Th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8, 138-166. 

  5. Han, K. S. (2005).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35, 585-592. 

  6. Hardell, L., Carlberg, M., Soderqvist, F., & Hansson, M. K. (2008). Meta-analysis of long-term mobile phone use and the association with brain tumors. Internal Journal of Oncology, 32, 1097-1103. 

  7. Jang, H. J. (2002).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ddictive using cellualr ph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8. Kim, S. A. (2008). The effects of motherly attachment on mobile-phone addiction-mediated by loneliness and the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Incheon. 

  9. Lee, H. Y. (2006). The Relationship of Cellular-Phone Addiction to Psychological Traits among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10. Lee, H. Y. (2008).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1), 133-157. 

  11. Lee, J. E. (2005). The Effects of Self-Complexity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u University, Suwon. 

  12. Lee, M. H. (201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ction to mobile pho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3.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10).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tistics. http://www.kcc.go.kr. 

  14. Nam, H. M. (1999). Influences among family psychiatric environment, self-control, friendship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Na, E. Y. (2002). Gender Differences in New Media Use and Values Mobile Phones and Interne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16(2), 77-115. 

  16. Park, S. Y., & Do, H. S. (1998).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elf-Esteem and Loneliness in Adolescent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19, 229-244. 

  17. Park, W. K. (2003). The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7, 250-281. 

  18. Rim, A. L. (2008). The moderating effects in self-regulation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youth's need for affiliation upon the risk in mobile-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9.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20. Salma, O. E., Abou, E. I., & Napa, R. M. (2004). Cellular phones: Are they detrimental ? Journal of the Egypt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79, 197-223. 

  21. Schreier, N., Huss, A., & Roosli, M. (2006). The prevalence of symptoms attributed to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A cross-sectional representative survey in Switzerland. Soz Praventivmed, 51, 202-209. 

  22. Shin, H. S.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bile Phone Addiction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kook University, Seoul. 

  23. Son, H. K., Ahn, S. H., & Lee, H. J. (2006). Middle school students' addicted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i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552-562. 

  24. Song, W. Y. (1998).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Addictive Use of Intern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5. Yang, S. Y., & Park, Y. S. (2005). A Prediction Mod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4), 1-16. 

  26. Yang, J. H. (2011). Study on the effect of loneliness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addictive inclination to mobile pho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Seoul. 

  27. Yoo, Y. O.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bile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and impuls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8.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 237-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