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관련 경험
The Health-related Experiences of Foreign Wives in Kore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5, 2010년, pp.477 - 487  

이봉숙 (대불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ealth-related experiences of the foreign wives. Method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o understand the health-related experiences of foreign wives. Ten informants were interviewed from December 2007 to December 2009. Results: The health 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술 묘사적 연구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서술 묘사적 연구방법은 특정 상황에 대해 전혀 알려진 바가 없는 연구 문제를 세밀히 다루고자 할 때 유용한 방법론이다(Brink & Wood, 1989). 특히 이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특성, 삶의 행태 그리고 주변상황에 대해 자세히 묘사해 줌으로써 주어진 특정상황을 생생히 전달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다문화가정은 이제 한국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간호학계에서는 아직 그들의 시각으로 일상의 삶을 조명해 본 연구는 미진하다.
서술 묘사적 연구방법은 무슨 방법인가?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서술묘사적 방법(descriptive exploratory method)을 통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서술 묘사적 연구방법은 특정 상황에 대해 전혀 알려진 바가 없는 연구 문제를 세밀히 다루고자 할 때 유용한 방법론이다(Brink & Wood, 1989). 특히 이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특성, 삶의 행태 그리고 주변상황에 대해 자세히 묘사해 줌으로써 주어진 특정상황을 생생히 전달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결혼이주여성 관련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주제어는 무엇과 관련이 있나요? 최근 발표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관련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주제어는 심리적 갈등 그리고 정신적 스트레스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Kim, Yoo, Lee & Chung, 2006; Kim, 2007; Koo, 2007).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되는 근본 원인에는 문화 및 언어장벽과 경제적 빈곤 그리고 사회적 지지체계와의 연계성 미비 등을 지적해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Y. H. (2008).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 (2), 200-210 

  2. Brink, P. J., & Wood, M. J. (1989). Advanced design in nursing research. London: Sage. 

  3. Cavanagh, S. (1997). Content analysis: Contents, methods and applications: Qualitative data analysis. Nursing Research, 4 (3), 5-16. 

  4. Dyck, I., & Dossa, P. (2007). Places, health and home: Gender and migration in the constitution of healthy space. Health & Place, 13, 691-701. 

  5. Goldberger, N. R., Tarule, J. M., Clinchy, B. M., & Belenky, M. F. (1996). Knowledge, difference, and power: Essays inspired by women's ways of knowing. NewYork, NY: Basic Book: A Division of Harper Collins. 

  6. Han, G. S. (2006). Family life and cultural encounter of foreign wives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Sociocultural Anthropology, 39 (1), 195-219. 

  7. Jeong, G. H., Koh, H, J., Kim, K. S., Kim, S. H., Kim, J. H., Park, H. S., et al. (2009).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4), 261-269. 

  8. Jung, H. (2007). The spatial entrapment of women? On mobility of female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s. Journal of Korean City Geographic, 10 (2), 53-68. 

  9. Kwack, B. S., & Kim, H. S. (2009). The study of the plans to assistant multicultural families's adaptation to their communities-Focused on Kunsan of Heonbuk, Korea. Regional Development Research, 8 (2), 1-22. 

  10. Kim, H. H. (2007). Study on the circumstances and present situation of immigratio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Korea Journal of Folklore Study, 30, 6-15. 

  11. Kim, M., Yoo, M., Lee, H. K., & Chung, K. (2006). Being Korean wives: Dilemas and choice of Vietnamese and Filipino migrants. Anthropology, 39 (1), 159-193. 

  12. Koo, C. S. (2007). Study on the interracially married female immigrant's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 1-8.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The survey of multiculatural family and its policy issues. Health and Welfare Issue and Focus, 26 (9), 1-8. 

  14.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The results of statistics of marriage in 2007. Retrieved March 26, 2008, from http://www.nso.go.kr 

  15. Lee, B. Y. (1982). Korean culture and mental health: In comparison with Western culture. In S, Y. Chun (Eds.), Customs and manner in Korea. Seoul: The Si-Sa-Young-O-Sa. 

  16. Lee, K. S., Lee, M. K., & Kim, K. H. (2006). Huma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oul: Hyunmunsa. 

  17. Seol, D. H., Kim, H. S., Yoon, H, S., Lee, H. K., Yim, K. T., Chung, K. S., et al. (2005). Foreign wives' life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Spector, R. E. (2004). Cultural diversity in health and illness. Pearson Prentice Hall, Chestnut Hill, MA. 

  19. Yang, J. H. (2007). Representation of migrating women: News depiction of inter-racially married Asian Women to Korean men. Media, Gender & Culture, 7 , 47-77. 

  20. Yih, B. S., Kim, C. M., & Yi, M. (2004). Women caregivers' experiences in caring at home for a family member with dementia: A feminist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 881-890. 

  21. Yi, M., & Yih, B. S. (2006). A conversation analysis of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profession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7), 1265-127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