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텔 근로자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 Hotel Workers' Health Statu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19 no.1, 2010년, pp.60 - 69  

이인숙 (SK네트웍스(주)워커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otel workers' health statu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1 randomly selected servers from a hotel located in Seoul.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X^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텔 근로자의 건강관련 요인을 직업적 요인과 직업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파악하고 건강수준을 평가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호텔 근로자의 건강관련요인과 건강수준을 파악하여 호텔 근로자에게 적합한 건강증진행위 및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 개 호텔에서 직접 고객을 접하는 접객업무 종사자로서 식음료(waiter, waitress) 조리(culinary), 객실(front desk, clerk, house keeping) 근로자 261명이었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호텔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호텔 근로자에게 적합한 건강증진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호텔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직업적 요인과 직업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건강수준 관련요인을 직종별(조리, 식음료, 객실)로 비교 분석하여 호텔 근로자에게 적합한 건강증진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따라서 간호학이나 보건학 관점에서 호텔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관련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호텔에서 직접 고객을 대하는 접객업무(식음료, 조리, 객실업무)를 하는 근로자에 국한하여 건강수준을 평가하고 관련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텔 근로자의 건강관련요인과 건강수준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1. 직업적 요인인 직무자율성(P=0.026)은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조리사의 직무자율성이 가장 낮았다. 직업외적 요인인 음주율과 흡연율은 75.5%, 47.5%이었으며, 흡연(P=0.016)에서 직종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난 일년간 외래방문 횟수는 조리사가 월등히 많았으며 직종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6). 2. 직종별 건강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44). 건강수준의 하위 영역에서는 사회적기능(P=.027), 신체적 역할 제한(P=.049), 통증(P=.02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조리사의 건강수준이 가장 낮았다. 3.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식음료 종사자는 감정노동, 물리적 환경,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이었고, 조리사들은 직무만족도, 외래방문 경험, 객실종사자들은 이직경험이었다.
호텔 산업이란? 호텔 산업은 서비스 산업 중에서도 제조업과는 다르게 무형의 서비스 상품을 판매하는 인적 서비스 의존도가 높은 노동집약적 업종으로 노동대상이 고객이나 소비자인 인간이라는 점과, 노동자와 고객의 관계가 노동과정이 되어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크게 요구된다. 특히 서비스업은 고객을 대상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게 되고 전략 및 시스템 구축과는 별도로 서비스 종사자들에 의해서 서비스의 질이 좌우되고 있다.
호텔 산업이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크게 요구되는 이유는? 호텔 산업은 서비스 산업 중에서도 제조업과는 다르게 무형의 서비스 상품을 판매하는 인적 서비스 의존도가 높은 노동집약적 업종으로 노동대상이 고객이나 소비자인 인간이라는 점과, 노동자와 고객의 관계가 노동과정이 되어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크게 요구된다. 특히 서비스업은 고객을 대상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게 되고 전략 및 시스템 구축과는 별도로 서비스 종사자들에 의해서 서비스의 질이 좌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종욱, 염영희 (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33(2), 265.-274. 

  2. 김광숙, 이정렬, 강희철, 원종욱, 이상미, 이영자 (2006). 병원종사자의 건강증진행태 파악 및 우선 순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 정책연구소. 

  3. 김민주 (1998). 호텔 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21(2), 129-141 

  4. 김정미 (2002). 병원종사자들의 직업성 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아, 박기수, 장미경, 감 신 (2006). SF-36에 의한 직장남성의 건강수준과 이료이용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8(4), 272-283. 

  6. 김숙영, 김희정, 김정희 (2008). 서비스업 근로자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비교.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7(2), 191-201. 

  7. 김영미 (2008). 호텔 직원의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준수 (2004). 서비스 상호작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 차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유지형 (2008). 호텔 종사자들의 근골격계증상 완화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7(2), 138-145 

  10. 이성희 (2002). 관광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인숙 (2008).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호텔조리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인숙 (2009). 호텔근로자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4), 503-512. 

  13. 이꽃메, 정혜선, 이윤정, 현혜진, 김희걸 (2009).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8(2), 165-173. 

  14. 임민경, 김명희, 신영전, 유원섭, 양봉민 (2003). 일부 도시 저소득층 주민의 사회적 지지와 자가평가 건강수준. 예방의학회지, 36(1), 54-62. 

  15. 임진형 (1999).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장덕희 (2007).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6(2), 177 

  17. Bandura, A. (1997). Self- 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05, 208-210. 

  18.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3), 10-57 

  19. Hall. E. M. (1992). Double exposure: The combined impact of the home and work environments on psychosomatic strain in swedish women and men. Health Services Reports, 22, 239-260. 

  20. Kaplan, H. B., Robbins, C., & Martin, S. (1983).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young adults: Self- rejection, deprivation of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 93-115 

  21. Karasek. R., & Theorell, T. (1990). Healthy Work New York :Basic Books. 

  22. Miilunpalo, S., Vuori, I., Oja, P., Pasanen, M., & Urponem, P. (1997). Self-rated health status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nd on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0(5), 517-528. 

  23.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24. Nelson, D. E., Emont, S. L., Brackbill, R. M., Camerson, L. L., Peddicord, J., & Fiore, M. C. (1994). A cigarette smoking prevalence by occupation in the United States. A comparison between 1978 to 1980 and 1987 to 1990.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36, 516-525. 

  25. Prescott, P. A. (1986). Vacancy, atabillity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hospitals. Reserch in nursing & Health, 9, 51-60 

  26. Shadbolt, B. (1997). Some correlates of self-rated health for Australian women. American. Journal Public Health, 87(6), 951-956. 

  27. Ware, J. E., Kosinski, M., & Keller, S. D. (1996). A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 Construction of scales and preliminary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ine Care, 34(3), 220-233 

  28. Wharton A. S. (1993).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service work: Managing emotions on the job. Work Occupation, 20(2), 205-23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