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천지역 천부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및 질산염 오염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itrates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the Ogcheon A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3 no.1, 2010년, pp.43 - 52  

이인경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충북 옥천 지역 천부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과 질산염의 기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화학 및 질소동위원소 연구가 수행되었다. 지하수의 pH는 6.9~8.4로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산화환원전위용존산소량은 각각 $344.2\;{\mu}s/cm$, 195 mV, 4 mg/L이다. 채취된 45개의 시료에서 검출되어진 질산성 질소의 농도는 12.4 mg/l~34.2 mg/l 범위를 보이며, 모두 먹는물 수질기준의 10 mg/l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산성 질소의 동위원소 분석 결과, $\delta^{15}N-NO_3$$2.7^{\circ}/_{\circ\circ}{\sim}18.8^{\circ}/_{\circ\circ}$이다. 이와 같이 지하수내 15N의 부화는 질산성질소의 오염기원이 동물분뇨임을 지시한다. 또한 일부는 탈질화작용이 기여한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ochemical and nitrogen isotopic analyses for shallow groundwater of Ogcheon area were carried out to characteriz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and to identify the source of nitrate. Groundwater shows a neutral pH to weakly alkalic condition with pH values ranging from 6.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충북 옥천군 일부 농촌 지역에 분포하는 천부 지하수에 대한 수리 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농업활동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하수의 용존 성분에 대한 수질 유형을 파악하고, 질소 동위원 소를 활용한 농촌지역 지하수의 질산염의 기원을 오염 원 규명하고자 한다.
  • (Kreitler and Jones, 1975). 이번 연구는 충북 옥천군 일부 농촌 지역에 분포하는 천부 지하수에 대한 수리 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농업활동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하수의 용존 성분에 대한 수질 유형을 파악하고, 질소 동위원 소를 활용한 농촌지역 지하수의 질산염의 기원을 오염 원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조사 지역 전반에 걸친 비교적 높은 s15NNO3값을 해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가능성으로 압 축할 수 있다: 1) 비교적 높은 615N-NO3값을 갖는 분 뇨 기원의 질산성 질소 유입, 그리고 2) 탈질작용 (denitrification) 의 가능성이다. 탈질작용은 질산염의 환원 반응으로서 이 탈질과정을 거치는 동안 질산염의 질소동위원소 중 mne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N2 (혹은 N2O) 로 변환되면서 잔류하는 질산염의 6"nNO3값이 점차 증가하는 기작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ppelo, C.A.J. and Postma, D. (1999) Geochemistry, groundwater and pollution. A.A. Balkema, Rotterdam, 535p. 

  2. Boulding, J. R. (1995) Practical handbook of soil, vadose zone,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assesment, prevention and remediation. CRC Press, Florida, pp.59- 116. 

  3. Chae, G. T, Yun, S.T, Mayer, B., Choi, B.Y, Kim, K.H, Kwon, J.S. and Yu, S.Y (2009) Hydrochemical and stable isotopic assement of nitrate contamination in an alluvial apuifer underneath a riverside agricultural fiel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v.96, p.1819- 1827. 

  4. Clark, I. and Fritz, P. (1997) Environmental isotopes in hydrology. Lewis Publishers, 328p. 

  5. Eby, G.N. (2004) Principles of environmental chemistry. Brooks/Cole-Thomson Learning, Pacific Grove, CA, 514p. 

  6. Greenberg, A.E., Clesceri, L.S. and Eaton, A.D.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010p. 

  7. Heaton, T.H.E. (1986) Isotopic studies of nitrogen pollution in the hydrosphere and atmosphere and atmosphere. A review Chem. Geol., v.59, p.87-102. 

  8. Hem, J.D. (1985)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254, 263p. 

  9. Iqbal, M.Z. and Krothe, N.C. (1995) Infiltration mechanism related to agricultural waste transport through the soil mantle to karst aquifers of southern Indiana, USA. J. of Hydro. v.164, p.171-192. 

  10. Keller, E.A. (2000) Environmental geology. 8th ed.,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562p. 

  11. Kellman, L.M. and Hillarire-Marcel C. (2003) Evaluation of nitrogen isotopes as indicators of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v.95, p.87-102. 

  12. Kendall, C. (1998) Tracing nitrogen sources and cycling in catchments. In: Kendall, C., McDonnell, J.J. (Eds), Isotope tracers in the catchment hydrology. Elsevier, Amsterdam, The Netherlands, pp.519-576. 

  13. Kim, D.H. and Lee, B.J. (1986) Geological report of the Cheongsan sheet(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4. Kim, K.B. and Hwang, J. H. (1986) Geological report of the Youngdong sheet(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5. Kim, D.H., Jang, T.W., Kim, W.Y. and Hwang, J. H. (1978) Geological report of the Okcheon sheet(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6. Kim, O,J., Lee, D.S. and Lee, H.Y. (1968) Geological report of the Boeun sheet(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7. Kim, H.J., Hamm, S.Y., Kim, N.H., Cheong, J.Y., Lee J.H. and Jang, S. (2009)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caused by seawater intrusion and agricultural activity in Sacheon and Hadong Areas, Republic of Korea, Econ. Environ. Geol., v.42, p.575- 589 

  18. Kim, K.H., Yun, S.T., Chae, G.T., Choi, B.Y., Kim, S.O., Kim, K.J., Kim, H.S. and Lee, C.W. (2002) Nitrate contamination of alluvial groundwaters in the Keum river watershed area: source and behaviors of nitrate, and suggestion to secure water supply.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12, p.471-484. 

  19. Kim, Y.-T. and Woo, N.-C. (2003)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n agricultural area having intensive livestock fac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8, p.57-67. 

  20. KLAW (2008) Regulation for Drinking Water Standards and Examination, http://www.klaw.go.kr/DRF/MDRFLaw- Service.jsp?OCme&ID07134 

  21.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96) Report on alluvial aquifer groundwater survey. 

  22. Kreitler, C.W. and Jones D.C. (1975) Natural soil nitrate: The cause of the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in Runnels county, Taxas. Groundwater, v.13, p.53-61. 

  23. Lee, E.J., Woo, N.C., Lee, B.S. and Kim Y.B. (2008) Variation in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 farmland in Gyeonggi-do, Korea. Econ. Environ. Geol., v.41, p.393-403. 

  24. Lee, J.H., Hamm, S.Y., Kim, K.S., Cheong, J.Y. and Ryu, S.M (2009)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using factor aanlyses and agrochemicals in an agricultural area, Econ. Environ. Geol., v.42, p.217-234. 

  25. Lee, Y.D., Hyun, S.G. and Song, H.K (2003) Estimation of sources for nitrate in groundwater at Ongpo stream watershed in Jeju Isl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19, p.455-461. 

  26. Ministry of Agriculture and Korea Rural Corporation (2009) Report on agricultural groundwater management in Ogcheong area (Okcheongun), p. 276p. 

  27. Mirza, M.M.Q. (2004) The Ganges water diversion: environmental effects and implications. Springer, p.93-95. 

  28. MOE (2006) Management report of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2006. 

  29. Saether, O.M. and De Caritat, P. (1997) Geochemical processes, weathering and groundwater recharge in catchments. A.A. Balkema, Rotterdam, Brookfield, 400p. 

  30. Spalding, R.F. and Exner, M.E. (1993) Occurrence of nitrate in groundwater:A review. J. Environ. Aual., v.22, p.392-402. 

  31. Wild, A. (1981) Mass flow and diffusion, In the chemistry of soil process. Willy, New York, pp.37-80. 

  32. Yoo, S.H., Choi, W.J. and Han, G.H. (1999) An investigation of the sources of nitrate contamination in the Kyonggi Province Groundwater by isotope ratios analysis of nitrogen. J. Korean Soc. Soil sci. Fert., v.32, p.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