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대수층 유형 분류를 통한 지하수위와 수질의 특성화
Characteriz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by Classification of Aquifer Typ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no.5, 2020년, pp.619 - 629  

이재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센터) ,  고경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연구센터) ,  우남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 장해 예방과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유역별로 암반 대수층 또는 충적과 암반 대수층 모두에 설치·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지질학적 유형인 자유면과 피압 대수층으로 재분류하여 국내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 특성을 재평가하고,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충적-암반 쌍으로 구성된 관측소에서 산출된 지하수위 관측자료의 주성분 분석(PCA) 결과, 충적-암반 대수층의 수위변동 주성분은 유사한 변동 패턴을 보였다. 강수량에 따른 수위 상승율과 질산성질소 농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의 지하수위 변동 주성분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수위 상승률은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에서 각각 4.6 (R2=0.8)과 2.1 (R2=0.4)로 산정되어 피압 대수층에서는 강수 함양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피압 대수층으로 분류된 관정들에서는 질산성질소 평균 농도가 3 mg/L 이하로,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자연배경농도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국가지하수관측망의 대수층을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재분류했을 때, 수위변동 패턴과 질산성 질소 농도 분포에서 유형별 차이가 구분되어 대수층 유형 분류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상태는 함양량 평가에 따른 지하수자원의 양적 관리와 잠재오염원으로부터의 수질 관리에 필요한 핵심정보를 제공함으로 지하수자원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NGMN) in South Korea has been implemented in alluvial/ bedrock aquifer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In this study, aquifer types were reclassified with unconfined and confined aquifers based on water-level fluctuation and water qua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부에 노출된 경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가압층의 누수에 의해 함양되는 경우는 느리게 진행된다. 국가지하수관측공이 설치된 대수층을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강수에 대한 수위상승을 산정하여 비교함으로써 대수층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하수관측망 충적/암반 관측공 쌍에서의 수위변동과 수질특성을 수리지질학적 유형인 자유면/피압 대수층으로 재분류하여 그에 따른 수위와 수질특성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대수층 특성을 평가하고 모니터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국가지하수관측망의 지하수위 시계열 자료에 대한 PCA분석을 수행하여 충적/암반과 자유면/피압 대수층의 수위변화 주성분을 비교하고, 2) 각 관정에서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률을 산정하고 대수층 유형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3) 자유면/피압 대수층에서의 질산성질소 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지하수관측망의 충적과 암반 대수층에서 모니터링 하고 있는 수위와 수질 자료를 수리지질학적 유형인 자유면과 피압 대수층으로 재분류 하였다. 수위변동 주성분 차이,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상승 특성, 그리고 질산성질소 농도 차이를 분류하고 대수층 유형별로 비교함으로써 그에 따른 국내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 특성을 재평가하고,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과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충적과 암반 대수층의 수위변동 주성분들은 서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지만, 자유면과 피압 대수층의 수위변동은 주성분별로 각 대수층에서 상이한 패턴이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지하수관측망의 사용 목적은? 국가지하수관측망은 지하수 장해 예방과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유역별로 암반 대수층 또는 충적과 암반 대수층 모두에 설치·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지질학적 유형인 자유면과 피압 대수층으로 재분류하여 국내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 특성을 재평가하고,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수위변동 패턴과 질산성 질소 농도 분포에서 유형별 차이가 구분되어 대수층 유형 분류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는? 강수량에 따른 수위 상승율과 질산성질소 농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의 지하수위 변동 주성분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수위 상승률은 자유면 대수층과 피압 대수층에서 각각 4.6 (R2=0.8)과 2.1 (R2=0.4)로 산정되어 피압 대수층에서는 강수 함양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피압 대수층으로 분류된 관정들에서는 질산성질소 평균 농도가 3 mg/L 이하로,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자연배경농도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국가지하수관측망의 대수층을 수리지질학적 유형으로 재분류했을 때, 수위변동 패턴과 질산성 질소 농도 분포에서 유형별 차이가 구분되어 대수층 유형 분류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충적-암반 쌍으로 구성된 관측소에서 산출된 지하수위 관측자료의 주성분 분석(PCA)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수리지질학적 유형인 자유면과 피압 대수층으로 재분류하여 국내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 특성을 재평가하고,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충적-암반 쌍으로 구성된 관측소에서 산출된 지하수위 관측자료의 주성분 분석(PCA) 결과, 충적-암반 대수층의 수위변동 주성분은 유사한 변동 패턴을 보였다. 강수량에 따른 수위 상승율과 질산성질소 농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tkinson, A.P., Cartwright, I., Gilfedder, B.S., Cendon, D.I., Unland, N.P. and Hofmann, H. (2014) Using $^{14}C$ and $^{3}H$ to understand groundwater flow and recharge in an aquifer window. Hydrol. Earth Syst. Sci., v.18, p.4951-4964. 

  2. Byun, J.Y., Kim, Y.S. and Koo, M.H. (2004)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luvial and Bedrock Groundwater in National Monitoring Wells. Report of Science Education, v.35, p.253-270. 

  3. Bredehoeft, J.D. (1967) Response of well-aquifer systems to earth tides. J. Geophys. Res., v.72(12), p.3075-3087. 

  4. Choi, B.-Y., Yun, S.-T., Kim, K.-H., Kim, J.-W., Kim, H.M. and Koh, Y.-K. (2014) Hydro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South Korean groundwater monitoring data using Self-Organizing Maps. J. Geochem. Explor., v.137, p.73-84. 

  5. Chung, I.-M., Kim, N.W. and Lee, J. (2007)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by Considering Runoff Process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 in Watershed. J. Soil Groundw. Environ., v.12(5), p.19-32. 

  6. Dragon, K. (2013) Groundwater nitrate pollution in the recharge zone of a regional Quaternary flow system (Wielkopolska region, Poland). Environ. Earth Sci., v.68(7), p.2099-2109. 

  7. Fetter, C.W. (2000) Applied Hydrogeology (4th Ed). Prentice Hall. 

  8. Freeze, R.A. and Cherry, J.A. (1979) Groundwater.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9. Jeong, J., Park, E., Han, W.S., Kim, K.-Y., Oh, J., Ha, K., Yoon, H. and Yun, S.-T. (2017) A method of estimating sequential average unsaturated zone travel times from precipitation and water table level time series data. J. Hydrol., v.554, p.570-581. 

  10. Jeong, J., Park, E., Han, W.S., Kim, K.-Y., Suk, H. and Jo, S.B. (2018) A generalized groundwater fluctuation model based on precipitation for estimating water table levels of deep unconfined aquifers. J. Hydrol., v.562, p.749-757. 

  11. Kim, G. (2010) Estimation of Specific Yield Using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s at Shallow Groundwater Monitoring Sites. J. Korea Geo-Environ. Soc., v.11(6), p.57-67. 

  12. Kim, G., Choi, M., Lee, C., Shin, S. and Kim, H. (2018)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level's change after 2016 Gyeongju earthquake. JGSK. v.54(1), p.93-105. 

  13. Kim, G.-B. and Yum, B.-W. (2007)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for Water Level Time Series of Shallow wells at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J. Soil Groundw. Environ., v.12(5), p.86-97. 

  14. Kim, G.-B., Yun, H.-H. and Kim, D.-H. (2006)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Groundwater Levels: A Proposal for Establishment of Drought Index Wells. J. Soil Groundw. Environ., v.11(3), p.31-42. 

  15. Kim, J.W. (2013) Characteristics of water level change and hydrogeochemistry of groundwater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Korea: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groundwater management. Ph.D. thesis in Korea University, 173p. 

  16. Kim, K.-H., Yun, S.-T., Kim, H.-K. and Kim, J.-W. (2015) Determination of natural backgrounds and thresholds of nitrate in South Korean groundwater using modelbased statistical approaches. J. Geochem. Explor., v.148, p.196-205. 

  17. Lee, B., Hamm, S.Y., Cheong, J.Y. and Kim, G.B. (2014)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and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Geosci. J., 18, 209-218. 

  18. Lee, H.A., Hamm, S.-Y. and Woo, N.C. (2018a) The Abnormal Groundwater Changes as Potential Precursors of 2016 ML 5.8 Gyeongju Earthquake in Korea. Econ. Environ. Geol., v.51(4), p.393-400. 

  19. Lee, J.M., Woo, N.C., Lee, C.-J. and Yoo, K. (2017) Characterising Bedrock Aquifer Systems in Korea Using Paired Water-Level Monitoring Data. Water, 9, 420. 

  20. Lee, J.M., Park, J.H., Chung, E. and Woo, N.C. (2018b) Assessment of Groundwater Drought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Korea. Sustainability, 10, 831. 

  21. Lee, J.M., Woo, N.C., Koh, D.-C., Kim, K.-Y. and Ko, K.-S. (2020a) Assessing aquifer responses to earthquakes using temporal variations in groundwater level in alluvial and sedimentary bedrock aquifers. Geomat. Nat. Hazards Risk, v.11, p.742-765. 

  22. Liu, C.-T., Chia, Y., Chuang, P.-Y., Chiu, Y.-C. and Tseng, T.-L. (2018) Impacts of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n groundwater-level changes induced by earthquakes. Hydrogeol. J., v.26, p.451-465. 

  23. Madison, R.J. and Brunett, J.O. (1985) Overview of the occurrences of nitrate in groundwater of the United States. In: National water summary 1984: Hydrologic events, selected water-quality trends, and groundwater resources. U.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2275, p.93-105. 

  24. MacLeod, C.L., Barringer, T.H., Vowinkel, E.F. and Price, C.V. (1995) Relation of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to Well Depth, Well Use, and Land Use in Franklin Township, Gloucester Country, New Jersey, 1970-85. U.S. Geological Survey, West Trenton, NJ, USA. 

  25. Marechal, J.C., Dewandel, B., Ahmed, S., Galeazzi, L. and Zaidi, F.K. (2006) Combined estimation of specific yield and natural recharge in a semi-arid groundwater basin with irrigated agriculture. J. Hydrol., v.329, p.281-293. 

  26. M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water (2019)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Annual Report 2019. ME and K-water, Daejeon, Korea, 829p. 

  27. Melchoir, P. (1964) Earth tides. In Research in Geophysics, vol.2, ed. H. Odishaw, 183-193. Cambridge, Massachuset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28.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K-water (2011)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Annual Report 2011. MLTM and K-water, Deajeon, Korea, 650p. 

  29.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water (2017)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Annual Report 2017. MOLIT and K-water, Daejeon, Korea, 792p. 

  30.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Report on the national basic groundwater management plan (2017-2026). 

  31. Moon, S.K., Woo, N.C. and Lee, K.S. (2004)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graphs and watertable fluctuation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J. Hydrol., v.292, p.198-209. 

  32. Nimmo, J.R., Horowitz, C. and Mitchell, L. (2015) Discretestorm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 to estimate episodic recharge. Groundwater, v.53, p.282-292. 

  33. Zhang, J., Wang, W., Wang, X., Yin, L., Zhu, L., Sun, F., Dong, J., Xie, Y., Robinson, N.I. and Love, A.J. (2019) Seasonal variation in the precipitation recharge coecient for the Ordos Plateau, Northwest China. Hydrogeol. J., v.27, p.801-813. 

  34. Labrecque, G., Chesnaux, R. and Boucher, M.A. (2020)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 for assessing aquifer recharge: Application to Canadian aquifers and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Hydrogeol. J., v.28, p.521-533. 

  35. Park, E. and Parker, J.C. (2008) A simple model for water table fluctuations in response to precipitation. J. Hydrol., v.356, p.344-349. 

  36. Park, Y.-C., Jo, Y.-J. and Lee, J.-Y. (2011) Trends of groundwater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indication of any change? Geosci. J., v.15, p.105-114. 

  37. Rahi, K.A. and Halihan, T. (2013) Identifying Aquifer Type in Fractured Rock Aquifers using Harmonic Analysis. Groundwater, v.51, p.76-82. 

  38. Shi, Z., Wang, G., Manga, M. and Wang, C.-Y. (2015) Continental-scale water-level response to a large earthquake. Geofluids, v.15, p.310-320. 

  39. Su, G.W., Jasperse, J., Seymour, D., Constantz, J. and Zhou, Q. (2007) Analysis of pumping-induced unsaturated regions beneath a perennial river. Water Resour. Res., v.42, W08421. doi.org/10.1029/2006WR005389. 

  40. Thosmas, B.F., Behrangi, A. and Famiglietti, J.S. (2016) Precipitation Intensity Effects on Groundwater Recharge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Water, 8, 90; doi:10.3390/w8030090. 

  4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2008) EPA's 2008 Report on the Environment.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Washington, DC, USA; EPA/600/R-07/045F. 

  42. Yan, R., Wang, G., Ma, Y., Shi, Z. and Song, J. (2020) Local groundwater and tidal changes induced by large earthquakes in the Taiyuan Basin, North China from well monitoring. J. Hydrol., v.582, 124479. 

  43. Singleton, M.J., Esser, B.K., Moran, J.E., Hudson, G.B., McNab, W.W. and Harter, T. (2007) Saturated Zone Denitrification: Potential for Natural Attenu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in Shallow Groundwater Under Dairy Operations. Environ. Sci. Technol., v.41(3), 759-7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