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에서의 병풍쌈(Parasenecio firmus (Kom.) Y.L.Chen) 개체군 분포지의 생태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Population in Korea and Chin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9 no.2, 2010년, pp.197 - 207  

김영화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native Parasenecio firmus population in Korea and China. The survey quadrates we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tive P. firmus habitats.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the habitats of P. firmus were classified into same T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hen)은 국화과 박쥐나물속의 쌍자엽성 다년생 초본류로 식물체가 부드럽고 독특한 향취가 있어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잎을 식용하는 대표적인 산나물로 이용되고 있는 자원식물이다. 병풍쌈의 국내 주요자생지인 설악산과 중국의 대표적인 자생지 인 남백두산맥의 노령산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공재배 및 자생지 보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그러나 이와 같은 병품쌈의 자생지 보전은 물론 산나물로의 인공재배를 위한 과학적인 연구가 전혀 없는 현실이다. 특히 최근에는 자연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져 병품쌈은 산나물로서의 가치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무엇보다 국내외의 병풍쌈 분포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및 현황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수한 자생 식물유전자원으로의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병풍 쌈의 국내 주요 자생지인 설악산과 중국의 대표적인 자생지인 남백두산맥의 노령산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공재배 및 자생지 보전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Y. H., 2008, The native plants of korea, Kimmyoung Press, Seoul, 28. 

  2. Ahn, Y. H., Kim, Y. H., 2007, Distribution an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Rubus coreanus in Korea,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2), 176-185. 

  3. Ahn, Y. H., Wang, B. C., Jin, Y. H., Choe, C. Y., Xuan, Y. N., Song, D. O., 2009, Vegetation on basic, alkaloid, arid land of the whole area of Baicheng city, Jilin province, China,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1), 90-97. 

  4. Braun-Blanquet, 1964, Pflanzwnsoziologie, 3rd ed., Springer, New York, 865. 

  5. Chen, Y. L., 1999, Flora of China, Science Press, Beijing, 77(1), 19. 

  6. Climate date of Tonghuaxian in Jilin province China, 2009, http://www. tonghua.gov.cn/. 

  7. Hashimoto, I., 2003, Wild Food Lexicon, Kasiwa publishing Co., Japan, 270-274. 

  8. Jang, Y. H., Park, M. S., Kim, S. D., Park, O. G., Park, X. L., Lee, J. H., 1996, Color illustrated hardy plants of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al station, 225-226. 

  9.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Press, Seoul. 

  10. Korean plant names index, 2009, http://www.koreaplants.go.kr/. 

  11. Kown, T. R., Jo, J. H., Kown, Y. S., Lee, S. P., Choi, B. S., 1993, Study on seed treatments to facilitate germination of some wild edible greens, RDA. J. Agri. Sci., 35(2), 416-421. 

  12. Koyama, H., 1969, Taxonomic studieson the tribe Senecioneae of Eastern Asia, II, Enumeration of the species of Eastern Asia. Mem. Fac. Sci. Kyoto Univ., Ser. Biol., 2, 137-183. 

  13.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14.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kademi Publishing Co., Seoul. 

  15.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rk Publishing Co., Seoul, II, 313. 

  16. Maarel, E. van der, 1979, Transformation of cover 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n, 39, 97-114. 

  17. Nam, Y. K., Baik, J. A., 2005, Saatus of research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endemic wild vegetables in Korea,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 and Environment, 8(1), 1-10. 

  18. Podani, J., 2001, SYN-TAX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53. 

  19.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laerendon Press, Oxford, 632. 

  20. Song, J. S., Sin, D. G., Lee, J. S., Kim, H. K., Eom, G. H., 2009, Synec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on Mt. Boryeonsan, Chungcheongbuk Province,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1), 66-77. 

  21. Walter, H., Harnickell, E., Mueller-Dombois, D., 1975, Climate diagram maps, Springer, New York, 36. 

  22. Yoon, G. B., Jang, J., 1990, Delicious wild edible greens 100, Serko Press,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