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 지층분포추정을 위한 크리깅 방법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Kriging Methods for Estimation of Geo-Layer Distribution of Songdo International City in Incheon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6 no.5, 2010년, pp.57 - 64  

김동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류동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이주형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최인걸 ((주)유신) ,  김종국 (SGS건설시험연구원 인천지원) ,  이우진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크리깅기법은 지반공학분야에서 지층 또는 지반정수의 공간적 분포 추정을 위하여 적용되고 있다. 각각의 크리깅기법에 따라서 추정결과가 상이하기 때문에 추정목적에 부합하는 크리깅 기법 선택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크리깅, 정규크리깅, 일반크리깅을 사용하여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압밀층 두께를 추정하였으며, 크리깅 기법에 따른 추정결과의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순크리깅은 정규크리깅과 일반크리깅에 비하여 측정자료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압밀층 두께를 크게 추정하며, 추정결과의 신뢰성도 낮았다. 일반크리킹은 측정자료와 멀리 떨어진 일부 위치에서 압밀층 두께를 음의 값으로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밀층 두께를 추정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크리깅 기법은 가장 신뢰성이 높고 물리적으로 합당한 추정범위 내의 값을 추정한 정규크리깅 기법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rig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layers and soil properties in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area. Since the selected kriging technique may provide different values of estimation, the selection of method is important in the geotechnical estimation. In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확률변수 Z(“)와 ZQa)의 실현치로 미지 값 犯)와 측정 값 2(如를 취급할 때 추정오차(estimation error)인 Z*( h)-Z(")를 역시 확률변수로 취급할 수 있다. 모든 종류의 크리깅 기법들은 추정 값이 편향되지 않은 식 (3)의 조건 하에서 식 (2)로 표현되는 오차분산(error variance), 。%仞)를 최소화흐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나 크리깅 추정 방법들에 따라서 공간적인 추정결과의 특징과 신뢰성 이상 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추정특성을 파악하여 최종적으로 설계에 적용할 크리깅기법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다. 논문에서는 김동휘 등(2010)의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크리깅 기법에 따른 추정결과의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단순크리깅, 정규크리깅, 일반크리깅을 사용하여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압밀층 두께 분포를 추정하였으며, 각각의 크리깅기법에 따른 압밀 층 두께 추정결과의 신뢰성을 잭나이프 검증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 미지값 추정 시 자료를 너무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추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인접한 자료들의 국부적인 자료특성을 고려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너무 작은 수의 자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국부적인 영역의 평균값을 적절하게 추정할 수 없어 크리깅 사용 자료의 개수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크리깅 사용 자료 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 자료 수에 따른 잭나이프 검증결과의 신뢰성을 MMPE를 이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이 단순크리깅은 분석에 사용한 자료의 범위(8~24 개)에서 MAPE가 일정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규크리깅과 일반크리깅은 12개 이상을 크리깅에사용할 경우 약간 신뢰성이 증가하나 자료 수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신뢰성을 보인다.

가설 설정

  • 일반크리깅은 알.못하는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평균 께(“)가 분석영역 전체에서 변한다고 즉 경향성을 보인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향성은 식 (6)과 같이 함수力㈣의 선형조합으로 모델링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동휘, 류동우, 최영민, 이우진 (2010), "인천 송도지역 지층분포 추정을 위한 크리깅과 역거리가중치법의 적용",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6권 1호, pp.5-19. 

  2. 선창국 (2009), "공간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전 지역의 부지 응답에 따른 지진재해 구역화",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5권, 1호, pp.5-19. 

  3. 윤길림, 이강운, 채영수, 유광호 (2005), "지구통계학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1권, 3호, pp.5-17 

  4. 천성호, 선창국, 정충기 (2005), "지반 정보화를 위한 지구 통계학적 방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C호, pp.103-115. 

  5.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6. Baise, L. G., Higgins, R. B., and Brankman, C. M. (2006), "Liquefaction hazard mapping-Statistical and spatial characterization of susceptible unit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2, No.6, pp.705-7I5. 

  7. Cressie, N. A. C. (1991), Statists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8. Goovaerts, P.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9. Goovaerts, P. (1999), "Geostatistics in soil science: state-of-the-art and perspectives, Geoderma, 89, pp.1-45. 

  10.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1989),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1. Journel, A. G., and Huijbergts, C. J. (1978), Mining geostatistics: Academic Press, London. 

  12. Parsons, R. L., and Frost, J. D. (2002), "Evaluating site investigation quality using GIS and geostatistics", Jou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28, No.6, pp.451-461. 

  13. Santra. P., Chopra, U. K., and Chakraborty, D. (2008),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and its application in predicting surface map of hydraulic parameters in agricultural farm", Current science, VoI.95, No.7, pp.937-945. 

  14. Soulie, M., Montes, P., and Silvestri, V. (1990), "Modelling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arameter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27(5), pp.617-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