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제품 내 탄소 저장량 추정 : 계정 방법 및 시사점
An Estimation of the Carbon Stocks in Harvested Wood Products: Accounting Approaches and Implications for Korea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8 no.6, 2010년, pp.507 - 517  

최수임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주린원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이수민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안한 HWP 탄소계정 방법을 이용하여 HWP 내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였고 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산림 부문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용 중에 있는 제재목, 목질보드류, 기타 산업용 목재, 종이 및 판지를 대상으로 하여 목제품 내 탄소저장량의 변화량을 추정하였다. 1970년부터 2008년 동안 사용 중에 있는 목제품 내 이산화탄소 저장량의 연간 변화량은 접근법에 따라 -9,023 Gg $CO_2$/yr에서 4,052 Gg $CO_2$/yr으로 추정되었다. 우리나라는 목제품의 순수입국이기 때문에 탄소 축적 변화 접근법이 가장 유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각 접근법이 목제품의 벌채량 및 교역량, 바이오에너지로의 목재 이용과 재활용에 미치 는 영향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계정 방법에 대한 우리나라 입장을 결정할 때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대한 영향뿐 아니라 미래에 추진할 산림정책 방향도 고려하여 야기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d the amount of carbon stocks in harvested wood products (HWP) using accounting approaches suggested by 2006 IPCC guidelines and analyzed the impacts of different approaches o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the forest sector in Korea. The change in carbon stocks was calc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와 비교하여 HWP 탄소 계정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2007년 기준 축적 변화 접근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HWP 내 7.
  •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안한 HWP 계정 방법별로 HWP 내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고 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미치는 효과와 산림 부분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HWP 계정 논의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방법은 국내에서 생산한 HWP만을 대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HWP의 교역량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제품의 수출이 다른 나라의 저장량에 이전되지 않고 생산국가가 배출이 발생할 때 수출된 목제품으로부터의 배출을 보고한다. 수입되는 제품은 수입국의 탄소 저장량에 계상되지 않는다.

가설 설정

  • 이론적으로 지구 차원에서는 어떠한 계정 방법을 선택한다고 해도 계정 방법별로 추정된 HWP 내 탄소 저장량은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국가 차원에서는 각 국가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계정 방법별로 HWP 내 탄소 저장량의 추정치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Hashimoto 등, 2002; UNFCCC, 2005; Green 등, 2006; Dias 등, 2007; 최 등, 2006; 최와 강, 2007).
  • 한편 목제품의 부후율(매년 일정한 비율로 HWP가 부후(연소ㆍ부후)되는 반감기)과 탄소 전환계수(carbon factor)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구 개발된 자료가 없어 IPCC에서 제공하는 기본값을 이용하였다. 즉, 제재목과 목질보드류의 반감기는 30년, 종이 및 판지는 2년으로 가정하였다. 원목과 제재목의 밀도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산림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는 산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오랜 기간 산림바이오매스와 토양 내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그러나 산림이 지니는 이러한 효과는 산림 내 이산화탄소의 저장량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HWP 탄소계정 방법은 어디에서 제안했는가?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안한 HWP 탄소계정 방법을 이용하여 HWP 내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였고 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산림 부문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용 중에 있는 제재목, 목질보드류, 기타 산업용 목재, 종이 및 판지를 대상으로 하여 목제품 내 탄소저장량의 변화량을 추정하였다.
온실가스의 감축을 위한 해결 방안으로 지구 탄소순환에 대한 목제품의 역할에 관심이 증가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산림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는 산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오랜 기간 산림바이오매스와 토양 내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그러나 산림이 지니는 이러한 효과는 산림 내 이산화탄소의 저장량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장기적으로 산림이 지속가능하게 경영 된다면 생장을 통해 흡수하는 탄소의 양과 벌채에 의해 방출되는 탄소의 양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결과적으로 안정적 상태에 접근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온실가스의 감축을 위한 해결 방안으로 지구 탄소순환에 대한 목제품의 역할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주린원, 정병헌, 이성연, 김철상, 배재수, 이경학, 김경하, 김재준, 박찬우, 한상열, 김의경, 최관, 윤여창. 2007. 산림부문의 추세 및 장기 전망.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7-19. 

  2. 최수임, 배재수, 정병헌. 2006. 기후변화협약 하에서 목재품 탄소계정 논의 동향 및 국내 탄소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임학회지 95(4): 405-414. 

  3. 최수임, 강학모. 2007. 우리나라의 수확된 목제품 탄소저장 변화량 및 배출량 평가. 한국임학회지 96(6): 644-651. 

  4. Brown, B. and B. Lim. 1999. Evaluating approaches for estimating net emissions of carbon dioxide from forest harvesting and wood products. IPCC/OECE/IEA Programme o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51p. 

  5. Dias, A. C., M. Louro, L. Arroja, and I. Capela 2007. Carbon estimation in harvested wood products using a country-specific method: Portugal as a case study.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10: 250-259. 

  6. Green, C., V. Avitabile, E. Farrell, and K. Byrne. 2006. Reporting harvested wood products i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mplications for Ireland. Biomass and Bioenergy 30:105-114. 

  7. Hashimoto, S., M. Nose, T. Obara, and Y. Moriguchi. 2002. Wood products Potential carton sequestration and impact on net carbon emissions of industrialized countrie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5(2): 183-193. 

  8. IPCC 2004. IPCC Good Practice Guidance for LULUCF. Chapter 3: LUCF Sector Good Practice Guidance. Appendix: 3a.1 Harvested wood products Basis for future methodological development 3.257-3.272. 

  9.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ume 4: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 12.1-12.33. 

  10. Pingoud, K. 2003. Harvested wood products: Considerations on issues related to estimation, reporting and accounting of greenhouse gases. Final Report delivered to the UNFCCC Secretariat. 

  11. Sampson, F., M. Apps, S. Brown, C. Cole, J. Downing, L. Heath, D. Ojima, T. Smith, A. Solomon, and J. Wisniewski. 1993. Workshop summary statement - Terrestrial biospheric carbon fluxes - Quantification of sinks and sources of $CO_2$ .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70(1-4):3-15. 

  12.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ce (UNFCCC). 2003. Estimation, reporting accounting of harvested wood products FCCC/ TP/2003/7. 

  13.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ce (UNFCCC). 2005. Data and information on changes in carbon stocks and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from harvested wood products and experiences with the use of relevant guidelines and guidance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CCC/SBSTA/2004/MISC.9. 

  14. United Natioa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ce (UNFCCC). 2009. Report of the Ad Hoc Working Group on Further Commitments for Annex I Parties under the Kyoto Protocol to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serving as the meeting of the Parties to the Kyoto Protocol at its fifth sessioa. FCCC/KP/AWG/2009/L15. 

  15. Winjum, J. K, S. Brown, and B. Schlamadinger. 1998. Forest harvests and wood products: Source and sinks of atmospheric carton dioxide. Forest Science 44(2): 272-284. 

  16. Watson, R., M. Zinyowera, R. Moss, and D. Dokken. 1996. Climate change 1995. Impacts adaptations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scientific and technical analy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