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억새의 식물학적인 분류 및 형태, 선진국의 억새 육종, 재배 및 이용 현황 그리고 우리나라의 억새 연구성과 등을 고찰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에너지 자급율 제고를 위한 억새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국내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억새속 식물에는 17개종이 존재하는데 이 중 바이오 에너지용으로 중요한 종은 한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인 참억새(M. sinensis)와 물억새(M. sacchariflorus) 그리고 이들 두 종의 종간 교잡종인 3배체 억새(M. x giganteous) 등이다. 여러 가지 에너지작물 중 억새는 연간 바이오매스 수량이 많고 저온, 염해, 습해 등 열악 환경 적응성과 질소이용효율이 우수하며 에너지 산출/투입 수지가 가장 높고 지상부 줄기와 땅속줄기에 다량의 탄소를 저장하기 때문에 탄수수지가 가장 높다. 유럽, 미국 및 캐나다 에서는 1930년대부터 일본으로부터 3배체 억새를 도입하여 연료용 펠릿 생산, 열병합발전, 양액재배 배지, 건축자재 및 강화 플라스틱 원료로 이용한다. 현재 재배되는 3배체 억새 단점보완을 위한 품종육성연구와 사탕수수와 억새교잡종인 "Miscane" 육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억새 유전자원 수집이 착수된 이후 2009년에 바이오매스 수량이 많은 "거대억새1호"와 억새를 증식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억새대량증식방법"을 개발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억새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분자육종 등 새로운 육종기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우량 신품종을 육성하는 한편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당화 및 발효 등 셀룰로오스계 에탄올 생산공정에 관한 연구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uggest correct direction of researches on Miscanthus spp. which are promising bioenergy crop, authors had reviewed and summarized various literature about botanical taxonomy, morphology and present condition of breeding,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miscanthus. Among the genus of Mi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소고에서는 억새의 식물학적인 분류 및 형태, 선진국의 억새 육종, 재배 및 이용 현황 그리고 우리나라의 억새 연구 성과 등을 고찰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에너지 자급율 제고를 위한 억새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억새 연구는 2004년 자생지의 군락 분포, 종자 발아 등 생리 및 생태 연구 등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본격적인 품종육성 및 재배법 개발연구는 2007년 농촌진흥청의 억새 유전자원 수집으로 시작되었다. 연구목표는 국내 억새 유전자원 수집 및 특성검정, 바이오매스 수량이 많은 우량군락 현지선발 그리고 저비용 대량 증식체계 확립 등이다. 2010년 8월 현재 수집한 억새 유전자원은 720점으로 2010년 말까지 1,000점, 2011년까지 1,500점을 수집할 계획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억새란? 억새는 화본과(Poacea) 중 C4 광합성 경로를 가진 식물 군인 기장아과(Panicoideae)의 쇠풀족(Andropogoneae) 억새속(Miscanthus)에 속하는 식물이다. 세계적으로 억새속 식물에는 17개 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Trevor 등 2002a; Chen과 Stephen 2006).
억새속 식물 중 바이오에너지용으로 중요한 종은? 세계적으로 억새속 식물에는 17개 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Trevor 등 2002a; Chen과 Stephen 2006). 이 중 바이오에너지용으로 중요한 종은 그림 1과 같이 한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인 참억새(M. sinensis)와 물억새(M. sacchariflorus) 그리고 3배체 억새(M. x giganteous) 등이다(Lewandowski 등 2000).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억새속 식물의 수는? 억새는 화본과(Poacea) 중 C4 광합성 경로를 가진 식물 군인 기장아과(Panicoideae)의 쇠풀족(Andropogoneae) 억새속(Miscanthus)에 속하는 식물이다. 세계적으로 억새속 식물에는 17개 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Trevor 등 2002a; Chen과 Stephen 2006). 이 중 바이오에너지용으로 중요한 종은 그림 1과 같이 한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인 참억새(M.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ale, C. V., and S. P. Long. 1995. Can perennial $C_4$ grasses attain high efficiencies of radiant energy conversion in cool climates? Plant Cell Environ. 18:641-650. 

  2. Beale, C. V., D. A. Bint and S. P. Long. 1996. Leaf photosynthesis in the $C_4$ -grass Miscanthus giganteus, growing in the cool temperate climate of southern England. J. Exp. Bot. 47: 267-273. 

  3. Bullard, M., and P. Metcalfe. 2001. Estimating the energy requirements and $CO_2$ Emission from production of the perennial grasses miscanthus, switchgrass and reed canary grass. ADAS Consulting Ltd, USA. 94 p. 

  4. Chen, S., and A. R. Stephen. 2006. MlSCANTHUS Andersson. Flora of China 22:581-583. 

  5. Chris, S., Y. Heather, T. Caroline Taylor, C. D. Sarah and P. L. Stephen. 2010. Feedstocks for Lignocellulosic Biofuels. Science 329:790. 

  6. Christian, D. G., and E. Haase. 2001. Agronomy of Miscanthus. In : Jones, M. B., Walsh, M. (Eds.), Miscanthus for Energy and Fiber. James & James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pp. 21-45. 

  7. Christian, D. G., A. B. Riche and N. E. Yates. 2008. Growth, yield and mineral content of Miscanthus x giganteus grown as a biofuel for 14 successive harvests.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8:320-327. 

  8. Dafu, W., R. Archie, Jr. Portis, P. M. Stephen and P. L. Stephen. 2008. Cool $C_4$ photosynthesis : Pyruvate Pi dikinase expression and activity corresponds to the exceptional cold tolerance of carbon assimilation in Miscanthus x giganteus. Plant Physiology 148:557-567. 

  9. David, M. B., L. T. Thomas, J. H. Jonathan and P. B. David. 2009. Dry matter partitioning and quality of Miscanthus, Panicum, and Saccharum genotypes in Arkansas, USA. Biomass and Bioenergy 33:610-619. 

  10. David, M. B. 1997. Chromosome transmission and meiotic behavior in various sugarcane crosses. J. American Society of Sugar Cane Technology 17:38-46. 

  11. Farrell, A. D., J. C. Clifton-Brown, I. Lewandowski and M. B. Jones. 2006. Genotypic variation in cold tolerance influences the yield of Miscanthus. Annals of Applied Biology 149(3):337-345. 

  12. Fernando, E. M., B. V. Maria,, P. L. Stephen and A. B. German.2008.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anagement factors on Miscanthus x giganteus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8:1280-1292. 

  13. Heaton, E. A., J. Clifton-Brown, T. Voigt, M. B. Jones and S. P. Long. 2004. Miscanthus for renewable energy generation : European Union experience and projections for Illinois. Mitigation Adapt. Strategies Global Change 9:433-451. 

  14. Hirayoshi, I., K. Nishikawa, R. Kato and M. Kitagawa. 1955. Cytological studies on forage plants. (III) Chromosome numbers in Miscanthus. Jap. J. Breeding 5(1):49-50. 

  15. Hirayoshi, I, K. Nishikawa, M. Kubono and T. Murase. 1957. Cytological studies of forage plant. VI . On the chromosome number of ogi (Miscanthus sacchariflorus). Research bulletin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Gifu University 8:8-13. 

  16. Jorgensen, U., J. Mortensen, J. B. Kjeldsen and K. U. Schwarz. 2003. Establishment, development and yield quality of fifteen Miscanthus genotypes over three years in Denmark. Acta Agriculturae Scandinavica, Section B-Plant Soil Science, Published by Talyor and Francis, Informa Ltd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pp. 190-199. 

  17. Kim, G. Y., C. W. Lee and G. J. Joo. 2004. The evaluation of early growth pattern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after cutting and burning in the Woopo Wetland. Korean J. Limnol. 37(2):255-262. 

  18. Koonin, S. E.. 2006. Getting serious about biofuels? Science 311 :435. 

  19. Laurent, G, C., J. C. Daniels,? and A. D'Hont. 2004. A review of recent molecular genetics evidence for sugarcane evolution and domestication. Ethnobotany Research & Applications 2:9-17. 

  20. Lewandowski, I. 1998. Propagation method as an imp::mam factor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iscanthus giganteus. Ind. Crops Prod. 8: 229-245. 

  21. Lewandowski, I., J. Clifton-Brown, J. M. O. Scurlock and W. Huisman. 2000. Miscanthus : European experience with a novel energy crop. Biomass Bioenergy 19:209-227. 

  22. Lewandowski, I., M. O. S. Jonathan, L. Eva and C. Myrsini. 2003. The development and current status of perennial rhizomatous grasses as energy crops in the US and Europe. Biomass and Bioenergy 25:335-361. 

  23. Lewandowski, I., and A. Heinz. 2003. Delayed harvest of miscanthus-influences on biomass quantity and quality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energy production. Eur. J. Agron. 19:45-63. 

  24. Lewandowski, I., and U. Schmidt. 2006. Nitrogen, energy and land use efficiencies of miscanthus, reed canary grass and triticale as determined by the boundary line approach.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12:335-346. 

  25. Moon, Y. H. 2010. Report of official foreign trip "America and Canada trip for learning breeding methods and surveying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miscanthus". http ://btis.mopas.go.kr/ 

  26. Qingguo, X. 2003. Potential of giant grass Triarrhena lutarioriparia to grow in cold, dry and saline conditions as energy source.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energy Utilization and Environment Protection-6th LAMNET Project Workshop, Dalian, China SESSION 5 : BIOMASS RESOURCES. 

  27. Syozo, A., and S. Itaru. 1960. The cytotaxonomy of the genus Miscanthus and its phylogenic status. Bulletin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Mie University 25: 1-24. 

  28. Trevor, R. H., W. C Mark, T. Chigusa, J. L. IlIa J., D. B. Michael and A.R. STEPHEN. 2002a. The use of DNA sequencing (ITS and trnL-F), AFLP, and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to study allopolyploid Miscanthus (Po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9(2):279-286. 

  29. Trevor, R. H., W. C. Mark, M. D. Lled, S. Nicolas and A. R. Stephen. 2002b. Phylogenetics of Miscanthus, Saccharum and related genera (Saccharinae, Andropogoneae, Poaceae) based on DNA sequences from ITS nuclear ribosomal DNA and plastid trnL intron and trnL-F intergenic spacers. J. Plant Res. 115:381-3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