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휴경논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2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휴경논 식생조사 결과 1아군집, 5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고마리군집(Polygonetum thunbergii Lohm. et Miyawaki 1962)의 고마리전형아군집, 골풀군락, 갈대군락, 물달개비군락, 사마귀풀군락, 부들군락. 요인분석에서 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사마귀풀군락과 물달개비군락은 토양 전질소와 음의 상관관계, 갈대군락과 고마리아군집은 토양 pH가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tosoci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allow paddy vegetation in Korea. The vegetation data of total 22 relev$\'{e}$s were analyzed by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Six syntaxa (1 subassociations and 5 communities) of fall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휴경논의 식생과 토양 특성을 분석해서 서식지 토양환경에 따른 휴경논의 식생유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경논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식생은 어떻게 구분되었는가? 총 2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ü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휴경논 식생조사 결과 1아군집, 5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고마리군집(Polygonetum thunbergii Lohm.
식물군락이란? 이러한 휴경논과 같은 농업지대의 서식지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된 식생구조를 통해 식물종의 양적 변화와 식물군락의 구조에 대한 식생학적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식물군락은 자연 속에 실제로 존재하는 식물사회의 구조, 즉 생물적 그리고 비생물적 조건에 따른 식물사회의 종조성 방식에 대한 통계적 다변량(multivariate)의 산물이다. 따라서 식물군락에 대한 군락분류학(syntaxonomy)은 식물사회의 연속적 및 불연속적 종조성에 대한 질적 그리고 양적 동정(identification)과 분류(classification)로 이루어지고 식물사회에 대한 원기재(original diagnosis), 명명형(nomenclatural type), 국제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군락분류 체계(syntaxonomical hierarchy) 등을 통하여 하나의식생단위로서의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기재하여 평가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식생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다(Mueller-Dombois와 Ellenberg 2002).
논을 휴경하면 생기는 일은? 논이나 그 주변에 발생하는 식물은 일사량이 많은 광조건 하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강한 빛에 적응하여 성장하는 종이 주로 발생한다(Miyawaki 1977; Tüxen 1972). 논을 휴경하면 토양내 존재하거나 수계를 통해 유입되는 다양한 식물들의 종자에 의해 식생이 형성되고 다양한 패치를 형성하면서 생물다양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휴경논과 같은 농업지대의 서식지 특성을 고려하여 구분된 식생구조를 통해 식물종의 양적 변화와 식물군락의 구조에 대한 식생학적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병화, 심상인, 김창석, 노영덕. 2001. 우리나라의 잡초 발생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1(2):83-98. 

  2. 국용인, 박태동, 권오도. 2002. 논 휴경 경과 년 수에 따른 잡초생태특성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22(2):137-146. 

  3. 권오도, 국용인, 천상욱. 2003. 휴경논 재경작에 따른 잡초발생양상과 벼 생육 및 수량. 한국잡초학회지 23(3):48-256. 

  4. 김종원, 남화경. 1998. 논경작지 식생의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1(3):203-215. 

  5. 김희동, 김영호, 주영철, 성문석, 최영진, 이동석. 1992. 최근의 경기지역 논 잡초분포 조사. 한국잡초학회지 12(1):46-51. 

  6. 오윤진, 구연충, 박근용. 1981. 최근 한국의 논 잡초 분포에 관하여. 한국잡초학회지 1(1):21-29. 

  7. 오영주, 손수인, 김창석, 김병우, 강병화. 2008. 논둑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분류. 한국환경농학회지 27(4):413-420. 

  8. Karajina, V. J. 1933. Die pflanzengesellschaften des Mlynica-tales in den vysoke tatry (hohe tatra). Mit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Okologischen verhaltnisse. Botan. Centralbl., Beih., Abt. II, 50:774-957. 

  9. Karajina, V. J. 1933. Die pflanzengesellschaften des Mlynica-tales in den vysoke tatry (hohe tatra). Mit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Okologischen verhaltnisse. Botan. Centralbl., Beih., Abt. II, 51:1-224. 

  10. Kim, J. W., and Lee. Y. K. 199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press. Korea. 240 p. 

  11. Kim, J. 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Univ. Vienna. 314 p. 

  12. Kim, J. W., and Manyko. Y. 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t East. Korean J. Ecol. 17:391-413. 

  13. Miyawaki, A. 1977. Vegetation of Japan compared with other region of world. Kakgen. Tokyo. 535 p. 

  14.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 p. 

  15.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2002. Vegetation ecology. The Blackburn press. 177 p. 

  16. Ter Braak, C. J. 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 67:1167-1179. 

  17. Tuxen, R. 1972. Richtlinien fur die aufstellung eines prodromus der europaischen pflanzengesellschaften. Vegetatio 24(1-3):23-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